You are here

에디티지 인사이트에 등록하시고 관심있는
기사를 마이 라이브러리에 담아보세요.
지난 20년간 실험심리학 보고에 있어 상당한 발전이 이루어졌는데, 이는 특히 미국심리학회에서 발간한 <심리학 실험의 보도기준> 덕분
읽음
심리학 실험의 보고서 작성 시 빠뜨리거나 불완전하게 기술하는 경우가 많지만 매우 중요하고, 특히 실험의 재현 가능성을 위해서 필수적인 요소들을 살펴보겠습니다.
학술 논문에서 생물의 학명을 표기하는 4가지방법
읽음
과학에서 양화(집계 및 측정)는 무척 중요하고 연구와 불가분의 관계를 가지기에, 양적 요소를 나타내기 위한 엄격한 법칙과 관습이 발전해 국제단위계(Le Système International d’Unités: SI)가 만들어졌습니다. 이와 마찬가지로 구체적이고 엄격한 것이 바로 생물의 이름을 나타내는 시스템입니다. 이 시스템은 보통 ‘명명법(nomenclature)’ 이라고 일컬어지며, 그 예로 ‘국제 동물 명명법’, ‘국제 박테리아 명명법’, ‘국제 조류, 균류 및 식물 명명법’ 등이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모든 이름에 적용할 수 있는 네 가지 핵심 개념에 대해 다루고자 합니다.
의학 논문에서 “케이스”, “환자”, “피실험자” 중 가장 적절한 표현
읽음
인간이 참여하는 실험을 할 때 연구자들은 데이터의 원천인 개인들보다 데이터에 집중하곤 합니다. 과학은 주체성보다 객관성을 우선하기에 연구 논문에서는 “나”, “우리”등의 주어가 잘 쓰이지 않으며 수동태를 선호합니다.아마도 개인에 대한 언급을 피하기 위해 “케이스(case)”, “피실험자(subject)” 심지어 “데이터포인트(data point)” 등의 용어를 사용하는 경향 때문에 AMA 스타일 매뉴얼에서는 정확하며 선호되는 단어 및 구 안내에 이에 관련된 상황이 명시된 것 같습니다.
과학 논문에서 “woman”과 “female” 구분해서 사용하기
읽음
최근 들어 인류를 나타내는 “mankind”를 “humankind”로, 의장을 의미하는 “chairman”을 “chairperson”으로, 노동력을 나타내는 “manpower”를 “workforce”로 (또는 “human resource,” “labour force”, “personnel” 등의 표현을 쓰기도 합니다) 대체하는 것이 통상적입니다. 저자가 젠더 특정적인 용어를 사용했다 할지라도, 교정자가 이를 보다 적절한 젠더 중립적인 대체어로 바꾸는 것입니다.
[의학영어]의학 논문에서 인명을 딴 질병, 증상, 사물 이름 대문자 표기
읽음
인용과 임팩트 팩터가 중요해지기 이전에는, 과학자들의 업적을 기리는 방법 중 하나는 “보일의 법칙”, “플랑크 상수”, “페트리 접시”, “에를렌마이어 플라스크” 와 같이 그들의 발견이나 발명품에 과학자의 이름을 붙이는 것이었습니다. 
읽음
논문을 저널에 투고하기 전 동료 두 사람에게 조언을 부탁했습니다. 한 동료는 논문 초록에 통계 데이터를 넣어서는 안 된다고 했고, 또 다른 동료는 초록에 통계 정보가 충분치 않다고 했습니다. 누구의 말이 옳을까요? 초록에 통계 요소를 넣을 때 따라야 하는 규칙은 무엇인가요?
  • Anonymous
  • 2014년10월24일
  • 조회수 8,281
논문 집필에 사용되는 다양한 영어
읽음
저널 출판, 특히 “과학, 기술, 의학”의 약자인 STM 저널 출판은 미국, 영국, 유럽의 몇 출판사의 전유물이며, 이들 저널에서 인정하는 영어는 적어도 스타일에 있어서는 미국 영어와 영국 영어가 전부입니다. 스타일 상의 차이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대부분 사소합니다
읽음
영어에는 다양한 시제 구분이 있지만, 연구 논문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시제는 단순과거와 단순현재이며, 이를 현재완료와 과거완료가 보충합니다. 여기서 ‘완료’란 동작이 완성되어 끝이 났다는 의미로, ‘완료시제’는 두 가지 사건의 시간적인 관계를 특정할 때 사용합니다. 
좋은 논문 제목 작성을 위한 3가지 팁
읽음
논문의 제목을 정하는 것은 단순한 일처럼 보이겠지만 사실은 많은 생각이 필요한 작업입니다. 독자들은 데이터베이스 검색이나 논문의 참고문헌을 통해 논문 제목을 접하는데, 이때 논문의 주제와 본인 연구와의 관련성 등을 제목을 통해 추론하게 됩니다. 
논문 게재 거절로 이어질 수 있는 5가지 기본 실수
읽음
저자라면 누구나 논문을 출판하고 싶어합니다. 하지만 참신하고 독창적인 결과를 가진 논문이라 해도 집필 과정에서의 기초적인 실수 때문에 출판을 거절당할 수 있습니다. 이 같은 사태를 피하기 위해서는, 서론, 실험, 결과, 토론, 결론 항목에서 다음과 같은 실수들을 조심하십시오.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