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here

에디티지 인사이트에 등록하시고 맞춤화된
저널 투고 지원 서비스
를 누려보세요.
피어리뷰(동료검토) 사기의 원인과 방지 대책
읽음
학술 출판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피어 리뷰 시스템은 출판 전 연구의 질을 평가하는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수단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피어 리뷰 시스템에 대한 과도한 의존은 그것을 악용하려는 저자, 에디터, 서비스 제공자를 낳았습니다. 최근 드러난 무더기 게재 취소 사례와 피어 리뷰 사기와 관련된 많은 사건은 현대 출판 체계가 가진 허점과 그것의 재평가 필요성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사례연구] 저널 측의 지연으로 논문연구 주제를 빼앗긴 사례
읽음
한 저자가(A 저자) 논문을 저명한 저널에 투고하였습니다. 저널의 의사 결정 과정은 몹시 느리게 진행되는 듯했으며 투고 후 아홉 달이 지나고 저자가 에디터에게 여러 차례 메일을 보냈음에도 논문 상태는 여전히 “리뷰 중(under review)”이였습니다. 그동안 또 다른 저자는(B 저자) 같은 주제로 같은 결과를 낸 논문을 빠른 출판 저널을 통해 출판했습니다. A 저자는 저널 측의 지연으로 자신의 지난 노고가 모두 헛수고가 되었다는 생각에 몹시 화가 나 에디티지에 조언을 구했습니다.
읽음
에디티지의 교정을 받아 2016년 5월 28일 논문을 Irrigation Science에 투고하였습니다. 투고한 지 한 달이 넘었는데 논문 상태가 여전히 "편집부 처리 대기 중(Awaiting Editorial Office Processing)"입니다. 저는 돌아오는 6월에 졸업을 앞두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진행 상태로는 돌아오는 6월까지 논문의 게재 승인을 받을 수 없을 것 같아 걱정입니다. 논문의 심사 진행을 빠르게 할 방법이 없을까요?
읽음
저는 “Reject - Resubmission Allowed”라는 상태를 처음 봅니다. 그리고 저널 에디터가 말한 내용은 이렇습니다.  “논문에 대한 더 상세한 이해를 위해 아래 제시된 코멘트를 검토해주시기 바랍니다. 만약 저자가 리뷰에 제기된 쟁점들을 해결할 수 있다면 저널은 수정본을 검토할 의사가 있습니다. 이 리뷰를 제시한 리뷰어 중 적어도 한 명의 리뷰어가 재투고 논문의 리뷰어로 초청될 것임을 유념해주시기 바랍니다. 따라서 아래 언급된 주요 문제들이 반드시 다루어져야 합니다. 수정본을 기대합니다.” 이 말은 제가 코멘트에 따라 논문을 수정하면 게재될 가능성이 있다는 의미인가요? 아니면 논문을 다른 저널에 투고해야 할까요?
읽음
제 논문이 저널의 게재 승인을 받았습니다. 저는 협력자(coworker)입니다. 에디터에게 게재 예정 증명서 요청 메일을 어떻게 써야 하는지 (샘플 편지를 통해) 알려주실 수 있나요? 게재 예정 증명서가 책임 저자(responsible writer)에게는 발송되었는데 협력자들은 모두 받지 못했습니다. 감사합니다. 그럼 답변을 기다리겠습니다.
저널 에디터가 변경되어 논문이 거절된 사례
읽음
조건부 승인을 받고 논문을 수정하여 제출하였는데 저널 내부적인 문제인 담당 에디터 변경건으로 논문이 거절된 케이스, 대처 방법은?
[사례연구] 동물 연구 보고 시 출판 가이드라인과 논문 투고 윤리
읽음
한 저자가 전임상(pre-clinical) 시험을 보고하기 위해 국제 저널에 논문을 투고하였습니다. 저널 에디터는 메일을 통해 저자에게 필요한 모든 규정을 준수했는지 질문했고 ARRIVE 체크리스트를 제출할 것을 요청하였습니다. 저자는 ARRIVE 체크리스트에 대해서는 들어본 바가 없었습니다. 
읽음
안녕하세요. 다름이 아니라 말 그대로 이중투고입니다. RSPH(Royal society for public health)의 A라는 저널에 작년 12월에 투고 하였습니다. 하지만 2달 가까이 assignment하지 않아... B라는 곳에 다시 투고하였습니다. (사실 이 저널또한 RSPH에서 발행하는 저널이고, 찾아간 경로도 RSPH 홈페이지를 통해서였죠.) 둘 중에 먼저 Under review 되면 진행하고 나머지는 취소를 하려 하였으나... 전에 투고했다는 사실도 까맣게 잊고 시간이 지났습니다. 그 와중에 늦게 투고한 B 저널은 1차 revision을 마친상태입니다. 선투고 저널(A)은 지금으로 부터 한달전에 under review가 시작되었네요(투고 4개월 만에 reviewer selection이 끝난듯 합니다.) Editorial board도 한 사무실인듯 하구요..(물론 담당자는 다를 수 있겠으나). 처음 너무 진행이 되지 않아 아무 생각 없이 같은 곳에 투고했는데... 지금...
읽음
SJIF 임팩트 팩터가 3.7인 저널에 논문을 투고하였습니다. 나중에서야 SJIF 임팩트 팩터를 실제 임팩트 팩터로 간주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저널에서 이미 논문 게재가 승인되었으나 논문을 철회하고 싶습니다.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요?
읽음
2015년 4월 30일에 투고하고, 2016년 5월 2일에 1년이 지나서 논문심사 최종결과가 reject가 떴습니다. Decision letter의 심사내용을 살펴보면, critical issue가 아니고 수정보완 가능한 내용들입니다. 따라서 최종결정이 minor revision and resubmit나 major revision and resubmit이 아닌 바로 reject를 받은 사유가 궁금해서 관련 문의 이메일을 보내고자 하는데 괜찮을지 궁금합니다. 또한 이런 이메일을 보내서 최종결과가 번복되는 사례도 있었는지 궁금합니다. 답변 기다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Anonymous
  • 2016년5월16일
  • 조회수 23,013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