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here
Science, Nature, Springer, Elsevier등의 많은 대형 출판사들은 논문 접수 시, 논문 보충 자료(Supplementary materials or Supporting information, SI)를 함께 업로드 할 것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논문 보충 자료는 무엇이며, 어떻게 작성하고, 활용하면 좋을까요?
과학 또는 학술 분야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그래픽 초록(graphical abstract)과 인포그래픽(infographic)의 차이를 이해하는 것은 중요합니다. 그래픽 초록과 인포그래픽은 목적이 동일하지 않으며 같은 맥락에서 사용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이 글은 그 차이점을 설명하고 여러분의 논문에 어떤 것이 필요한지를 결정하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 파브리시오 팜플로나
- 2023년5월12일
- 조회수 554
학술 출판 업계에서 AI 가능성이 급속히 확산 중입니다. 연구 및 학술 출판 분야에서 인공지능(AI)의 발전은 흥미롭습니다만, 이 모든 단계에서 AI에 대한 전적인 의존은 지양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 기사에서는 학술 출판 업계에서 몇 가지 중대한 AI의 발전을 살펴보고, 이를 어떻게 잘 활용하고 보완할 수 있을지 알아봅니다.
- Anonymous
- 2023년3월28일
- 조회수 534
논문의 키워드는 논문 제출과 출판 과정에서 논문의 분류와 출판 후 논문 색인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기사를 통해 영어 논문에서 적합한 키워드를 선정하는 방법을 풍부한 사례와 함께 확인하세요.
안녕하세요. 며칠 전에 논문을 저널에 투고했는데, 저널로부터 "데이터노트"와 "F1000Research"에 대한 안내 메일을 받았습니다. "데이터 노트"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이미 논문을 투고했는데 데이터를 "F1000Research"에 추가로 게시하라는 뜻인지, 문제가 없는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표절문제를 염두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만약에 제가 서비스를 신청한다면, 적합한 서비스는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 Anonymous
- 2023년1월27일
- 조회수 551
2023년부터 eLife저널이 출판 모델을 변경합니다. 더 이상 피어 리뷰 프로세스에 따라 논문을 거절하거나 승인하는 결정을 내려지 않는 것이 핵심입니다. eLife저널이 결정한 새로운 프로세스를 함께 알아보고, 이번 변화가 담고 있는 중요한 함의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 Anonymous
- 2022년11월18일
- 조회수 596
오픈 액세스는 누구나 연구를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전제를 기반으로 합니다. 이 글에서는 오픈 액세스의 종류와 그 개요를 설명하고, 논문 투고 및 출판 과정에서 구독 모델 또는 오픈 액세스 모델을 선택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에 대해 설명합니다.
이 글에서는 약탈적 학술지(predatory journals) 및 위조학술지(hijacked journals) 정의와 이러한 학술지가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이유, 문제의 발생 원인과 이러한 학술지를 식별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