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here

대중과 신뢰 구축하기: 과학자를 위한 효과적인 전략

Michael Wilhide | 2025년1월31일 | 조회수 503
대중과 신뢰 구축하기: 과학자를 위한 효과적인 전략

이전 기사 “간극 해소: 과학자에 대한 대중의 신뢰 이해하기”에서 논의하고 퓨연구센터의 데이터에서 강조한 바와 같이(Pew Research Center, 2024), 현재 미국 성인의 76%는 과학자에 대해 상당한 또는 괜찮은 수준의 신뢰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신뢰는 전 세계적으로 확장되며, 조사대상 68개국 대부분에서도 과학자에 대한 신뢰를 보이고 있습니다(Cologna 외, 2024; Soliman, 2024). COVID-19 팬데믹 이전에는 미국 성인의 86%(2019년 1월), 팬데믹 시작 시점에는 87%(2020년 4월)가 비슷한 수준의 신뢰도를 보고했습니다(Pew Research Center, 2024). 그러나, 팬데믹이 진전되면서, 미국에서의 과학자에 대한 대중의 신뢰가 감소하기 시작했고, 결국 2023년 10월 73%까지 떨어졌습니다. 과학자에 대한 신뢰가 천천히 회복되는 중임에도 불구하고, 과학자들은 대중의 신뢰를 다시 세우고 강화하기 위해 계속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며, 특히 과학적 진보를 약화시킬 수 있는 정치적 역학을 고려하면 더욱 그러합니다. 대중의 신뢰를 효과적으로 되찾기 위해서는, 신뢰 손상을 초래할 수 있는 과학 커뮤니티 안에서의 주요 문제에 대해 먼저 이해해야 합니다.  

과학의 오점: 논문 철회, 진정성 문제, 그리고 대중의 신뢰에 미치는 영향 

최근에 과학계에서는 진정성 문제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만일 과학자들 사이에서 데이터 또는 발행물을 신뢰할 수 없다면, 대중이 과학자들에게 신뢰를 할 것이라고 어떻게 기대할 수 있을까요? 이러한 문제들을 다루는 것은 연구자들 사이 내부적인 신뢰와 대중으로부터의 외부적인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 중요합니다.  

지식 공유는 과학을 발전시키고 대중에게 그들의 세금이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에 대해 교육하는데 필수적이며, 특히 연구가 국립과학재단(NSF), 질병통제예방센터(CDC), 의료연구품질청(AHRQ), 그리고 식품의약청(FDA)과 같은 기관들의 재정지원을 받을 때 더욱 그러합니다. 논문을 발행하거나 컨퍼런스에서 결과를 발표하는 것을 통해  연구를 전파하는 것은 과학 발전을 촉진하고 공중보건에 기여합니다. 데이터 정확성이나 진정성 문제가 야기되어서 발표된 논문이 철회될 수 있으며, 이는 동료 검토(peer review) 시스템이 매우 중요한 이유입니다. 동료 검토는 과학적 절차의 진정성을 유지함으로써 고품질 연구만이 확산되도록 보장합니다. 

과거 10년간(2013–2023) Retraction Watch의 데이터에서는 철회된 논문의 수가 우려할 만큼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013년에는 1,510건의 논문이 철회되었으며, 2018년까지 그 수가 거의 두 배인 2,811건으로 증가했으며, 이는 2017년 1,891건에서 증가한 것입니다(Tran N, 2024). 또다른 상당한 증가가 2021년에 발생했으며, 이 때 2020년의 3,625건에 비해 많은 5,088건의 논문이 철회되었습니다(Tran N, 2024). 이러한 추세는 2023년에도 계속되어 경이적으로 9,619편의 논문이 철회되었습니다(Tran N, 2024). 논문 철회의 급격한 증가는 과학계에 심각한 문제를 일으키며, 과학 연구의 진정성에 대한 대중의 신뢰를 약화시킬 수 있습니다. 

  

A graph with numbers and a bar

Description automatically generated

  표1: Retraction Watch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논문 철회에 근거한 2013부터 2023년까지의 논문 철회 수 

논문 철회 수가 높은 주된 이유는 무엇일까요? Retraction Watch 데이터에 따르면, 47.7%를 차지하는 주도적인 원인은 데이터 조작, 논문 공장, 또는 무작위로 생성된 콘텐츠와 관련된 문제들입니다(Tran N, 2024). 그 다음으로 저자에 의한 논문 중복 16.2%, 표절 16%, 허위 동료 검토 8.3%, 그리고 기타 요인이 11.9%를 차지하며, 이 중 6.4%는 다양한 이유, 그리고 5.5%는 학술지나 발행사의 출판 오류입니다(Tran N, 2024).  

과학자에 대한 신뢰가 시간이 지나면서 왜 감소했는지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 신뢰 감소는 증가하는 논문 철회 수와 연결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는 납세자의 돈이 낭비되고 있다는 우려를 제기하고, 또한 과학적 진정성을 약화시키는 과학계 안에서의 신뢰 문제와도 관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한 가지 가능성 있는 기여 요인은 대학 순위와 학계에서의 경력 발전에 영향을 받는 연구 재원 확보를 위한 치열한 경쟁입니다. 대학 관리자와 학과장들은 종종 연구자들에게 결과를 발표하라며 압박하고, 이는 데이터를 조작하고 싶은 유혹으로 이끌 수 있습니다. 이 현상을 '발표 또는 도태(publish or perish)'라고 칭합니다. 

궁극적으로, 과학자들에게 가장 중요한 우선순위는 높은 진정성을 유지하고 대중에게 이로운 기술을 발전시키는 것이어야 합니다. 대학들은 학술지의 영향력 지수나 인용 횟수와 같은 학술지 기반 지표에 의존하기보다는 품질과 사회적 영향을 우선시하고 촉진할 필요가 있습니다(Tran N, 2024). 또한, 공공 연구 재원을 배분하는 공정한 시스템은 연구 제안서의 품질과 중요성에 기반을 두어야 하며, 연공서열이나 발행물 수 보다는 연구가 대중의 이익에 미칠 잠재적인 영향에 초점을 두어야 합니다. 

PubPeer 플랫폼과 Problematic Paper Screener와 같은 다른 도구들은 의심스럽거나 문제적인 논문을 표시함으로써 부정한 과학이 문헌을 통해 퍼지는 것을 방지하는 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 (Cabanac G, 2024). 그러나, 이 도구들은 개인 정치나 과학자들 간의 경쟁과 같은 편향에 영향 받기 쉬울 수 있습니다. 또한, 표시된 논문을 조사하는 것은 종종 학술지의 긴 검토를 필요로 하여 시간이 많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Cabanac G, 2024). 

과학자, 대학, 공공 세금으로 재원을 지원 받는 연구 기관, 그리고 학술지 편집 위원회는 그들이 지원하고 수행하며 발표하는 과학이 고품질—정확하고, 재생산 가능하며, 대중에게 유익하도록 보장하는데 책임을 져야 합니다. 우리는 과학자로서 지식을 공유하고 모든 실험 데이터가 과학적 진정성을 유지하며, 잠재적으로 대중의 더 큰 신뢰를 얻을 수 있도록 동료 검토를 거치도록 하는 것을 우선시해야만 합니다. 다른 이들이 실험을 재현할 수 있도록 연구자들이 본인의 방법과 시약을 공유하는 것은 중요하며, 이는 데이터의 신뢰성에 대한 확신을 구축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과학에 대한 대중의 신뢰를 강화하기 위한 전략 

대중은 종종 정치, 종교, 그리고 개인적인 신념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아 과학에 대해 회의적으로 접근할 수 있습니다. 과학자로서, 과학의 이점과 그것이 대중의 삶 또는 그들의 사랑하는 사람들의 삶을 어떻게 개선할 수 있는지를 입증함으로써 대중과 신뢰를 구축하는 것이 아주 중요합니다. 과학자와 대중 사이의 간극을 좁히기 위해서는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투명성, 그리고 공익을 위한 헌신이 필수적입니다. 아래는 과학자들이 대중과 더 큰 신뢰를 형성하고 유지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는 전략들의 요점입니다. 

대중과의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2024년 10월 Pew Research Center의 가장 최근 데이터는 미국 성인의 45%가 과학자들을 '좋은 의사소통자'로 보고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Pew Research Center, 2024). 이는 대중이 과학자들이 효과적인 의사소통에 부족하다고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시사합니다만, 과학자들은 종종 동료들과의 의사소통을 잘 하고 있다고 믿고 있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68개국 대상 조사에서, 54%는 과학자들이 일반 대중과의 과학적 커뮤니케이션에 참여해야 한다는 것에 강력히 동의합니다(Cologna et al., 2024). 우리는 과학자로서 대중과 명확하고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켜야 합니다. 다른 과학자들에게 인상을 남기기 위해 기술적 언어와 전문 용어에 의존하는 대신에, 더 넓은 청중과 소통할 때는 접근 가능하고 더 단순한 용어를 사용하는 데 집중해야 합니다. 우리 의사소통은 우리 연구의 중요성을 대중의 일상과 연결하는 더 크고, 공감할 수 있는 이야기들에 초점을 맞추어야 합니다. 또한, 과학의 본질에 대해 투명하고 정직한 것이 중요하며, 이는 과학이 절대적인 진리는 아니라는 것을 인정하고 연구의 중요성과 잠재적인 영향을 강조하는 것입니다. 

대중과의 소통 

우리는 과학자로서 대중과 더 정기적으로 소통하고, 개인을 우월한 존재로 여기기보다 동등하게 접근해야 합니다. 지역 학교, 교육 및 지원활동 기관, 공공 도서관, 박물관과 협력하고, 어린이와 성인 모두 접근 가능한 공공 강의을 제공해야 합니다. 이러한 활동들은 모든 연령대의 사람들 사이에서 과학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습니다. 또한, 소셜 미디어 플랫폼을 더 잘 사용하여 더 넓은 청중에게 다가가고, 실시간으로 연구를 공유하며, 대중의 질문들에 직접 응답해야 합니다. 언론인, 미디어와 협력하는 것 또한 과학을 홍보하고 대중이 과학적 주제에 참여하도록 독려하는 데 중요합니다. 

왜 우리 연구가 중요한가 

연구비 신청서나 논문을 작성할 때 우리는 과학자로서 우리 연구의 중요성을 설명하는 데 뛰어납니다. 그러나, 우리의 연구가 실제 삶에서 어떻게 응용되고 그들의 삶이나 그들이 사랑하는 사람들의 삶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명확하게 보여줌으로써 일반 대중에게도 동일한 수준으로 소통해야 합니다. 여기에는 더 나은 삶을 위한 의학, 환경 보호, 그리고 기술의 발전이 포함됩니다. 또한, 우리는 윤리적 사안들을 다루고, 세금으로 지원된 자금을 관리하는 데 있어 우리의 책임에 대해 투명하게 하면서 대중의 걱정들에 열려 있어야 합니다. 

커뮤니티 협력 

대중과 신뢰를 구축하기 위해, 우리는 과학과 기술 이니셔티브를 통해 커뮤니티와 적극적으로 협력하고 소통해야 합니다. 여기에는 그들을 연구 사업에 참여시키고, 과학에 대해 배울 기회를 강화하는 것이 포함됩니다. 우리의 연구와 사업들은 대중의 가장 다급한 걱정들을 다루어야 하며, 우리의 목표와 야망만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그들의 필요와 삶의 개선에 대한 바람을 들어야 합니다. 우리의 노력을 그들의 우선순위와 연계시킴으로써, 더 강한 유대를 형성하고 과학이 사회에 제공하는 실재적인 가치를 보여줄 수 있습니다. 

장기적인 관계 

신뢰는 얻기 어렵고 잃기 쉬운 것이므로, 우리는 일반 대중과 장기적인 관계를 발전시키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이러한 관계는 과학자와 대중 사이에 열린 의사소통으로 일관적이고 상호적으로 존중해야 합니다. 우리는 본인의 신념을 강요하지 않으면서 신뢰할 수 있고, 정확하며, 그리고 증거에 기반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과학의 장기적인 이점을 입증해야 합니다. 대신에, 대중이 스스로 이해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신뢰는 양방향의 길입니다: 대중이 우려, 질문, 그리고 의문을 제기할 때 우리도 그들을 신뢰하고 그들의 관점을 존중해야 합니다. 이러한 상호 존중과 대화는 더 깊은 이해로 이끌 수 있으며, 과학자와 사회 간에 지속적인 신뢰를 구축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잘못된 정보와 음모론 다루기 

COVID-19 팬데믹 이후, 종종 거짓이거나 근거 없는 주장에 근거한 잘못된 정보와 음모론이 더욱 만연해졌습니다. 이러한 증가는 부분적으로 정치적인 영향과 인터넷의 광범위한 접근에 있으며, 여기에서는 누구나 쉽게 오해나 허위 정보를 퍼뜨릴 수 있습니다. 온라인에서 허위 내용의 흐름을 멈추는 것은 어려운 일이지만, 이를 해결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들이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접근 방식은 사실, 증거와 함께 허위 주장을 정정함으로써 직접적으로 잘못된 정보를 반박하는 것입니다. 동일하게 중요한 것은 대중에게 비판적 사고 능력을 교육하는 것입니다. 사람들은 그들이 읽고 들은 것의 정확성을 평가하기 위해 신뢰할 수 있는 출처와 도구를 사용함으로써 독립적으로 사실을 확인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춰야 합니다. 

과학자들은 높은 진정성을 유지하고, 질 높은 연구를 수행하며, 공공 세금을 책임감 있게 사용함으로써 일반 대중과의 신뢰를 구축해야 하며, 대중의 이익에 부합하는 연구에 초점을 맞춰야 합니다. 효과적인 의사소통, 대중 참여, 그리고 협력이 이러한 노력의 핵심입니다. 과학자들은 또한 그들 연구의 중요성을 명확하고 받아들이기 쉬운 용어로 설명해야 하며, 잘못된 정보가 발생했을 때 적극적으로 해결해야 합니다. 

참고문헌: 

Pew Research Center, November 2024. “Public Trust in Scientists and Views on Their Role in Policymaking.”  https://www.pewresearch.org/science/2024/11/14/trust-in-science-2024-acknowledgments/ 

Cologna, V. et al. Preprint at OSF Preprints https://doi.org/10.31219/osf.io/6ay7s (2024). 

Soliman A. (2024. November 14). US trusts in scientists plunged during the pandemic – but it’s starting to recover. Nature. https://www.nature.com/articles/d41586-024-03723-5 

Tran N (2024. September 23). The publish-or-perish mentality is fuelling research paper retractions and undermining science. The Conversation. https://theconversation.com/the-publish-or-perish-mentality-is-fuelling-research-paper-retractions-and-undermining-science-238983 

Cabanac G. (2024. August 28). Chain retraction: how to stop bad science propagating through the literature. Nature. https://www.nature.com/articles/d41586-024-02747-1 

태그

태그: 

스크랩하기

해당 기사를 스크랩해보세요!

지식은 모두에게 함께 공유되어야 한다는 것이 에디티지 인사이트의 이념입니다. 해당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모든 기사는 Creative Commons license로 재포스팅 및 스크랩이 가능합니다. 아래의 가이드라인만 유념해주신다면 언제든지 무료로 에디티지 학술 전문가의 지식을 가져가실 수 있습니다!


  • 주의 : 에디티지 학술 전문가들은 해당 콘텐츠를 만들기 위해 많은 시간과 노력을 쏟고 있습니다. 기사를 스크랩 및 재포스팅 하실 때는 명확한 출처를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 이미지 재사용: 이미지를 원본이 아닌 편집 재사용하실 때는 에디티지 인사이트의 허가가 필요합니다.

코드를 복사하셔서 기사 공유를 원하시는 사이트에 적용하시면 에디티지 인사이트 기사를 가장 쉬운 방법으로 공유하실 수 있습니다.
 
위 코드를 복사하시어 원하시는 곳에 다시 포스팅 하실 수 있습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