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here
Primary tabs
야틴드라는 국제 생명과학 분야 전문 자격 편집자(BELS-certified editor with Diplomate status, Board of Editors in the Life Sciences)이며, 에디티지 인사이트의 출판컨설턴트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한국 연구자분들께 인사이트를 통해 풍부한 학술출판지식을 전달해 드리고자 합니다.
위 저자에 의해 작성된 기사
Free
기사
2014년 10월 10일
의견 0
주제 문법 및 논문작성법 | 조회수 335,747
영어에는 다양한 시제 구분이 있지만, 연구 논문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시제는 단순과거와 단순현재이며, 이를 현재완료와 과거완료가 보충합니다. 여기서 ‘완료’란 동작이 완성되어 끝이 났다는 의미로, ‘완료시제’는 두 가지 사건의 시간적인 관계를 특정할 때 사용합니다.
Free
기사
2014년 08월 25일
주제 문법 및 논문작성법 | 조회수 145,863
학술 논문에서 감사의 말은 아마 가장 쓰기 쉬운 부분일 겁니다. 누가 어떤 도움을 주었는지 잘 알고 있으니 이름을 나열하는 게 어려울 리가 없지요. 하지만, 이렇게 쉬운 감사의 말이라 해도 때로는 생각보단 어려울 때가 있습니다. 다음은 감사의 말 항목을 작성할 때 도움이 될 만한 조언들입니다.
Free
기사
2014년 08월 18일
주제 스타일과 포맷팅 | 조회수 184,637
학술논문을 작성할 때 불릿포인트(bulletpoint)를 활용하기도 합니다. 불릿포인트 목록에서 각 항목의 첫 단어가 대문자인지 여부는 항목 앞에 등장한 문장부호에 따라 다릅니다. 보통 대문자는 문장의 시작을 표시하지요.
태그:
Free
기사
2014년 07월 28일
주제 논문구조 | 조회수 29,387
보통 IMRaD 포맷이라고 불리는 논문에서는 서론, 재료 및 방법, 결과, 토론이라는 구성요소를 각 항목 제목에 그대로 반영하지만, 독자들이 여러분의 논문의 범위와 구성을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제목을 붙일 수도 있습니다.
프리미엄
기사
2014년 07월 25일
주제 스타일과 포맷팅 | 조회수 954,181
연구자가 오직 혼자만의 힘으로 논문을 출판하는 경우는 흔치 않습니다. 한 논문에는 여러 명의 공동 저자들이 있는데, 과학 분야의 협력연구가 증가함에 따라 평균 저자의 수 역시 늘고 있습니다.
Free
기사
2014년 06월 26일
주제 스타일과 포맷팅 | 조회수 98,879
연구논문에서 가장 많이 인용되는 출처는 저널을 통해 발표된 다른 논문입니다. 그러나, 특히 인문학 분야에서는 단행본이 그 뒤를 바짝 따라붙게 됩니다. 과학 분야에서도 단행본이 주로 논문의 소재 및 방법론 항목에서 표준 과정과 테크닉에 관한 정보의 출처로 인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Free
기사
2014년 06월 09일
주제 테이블과 그림 | 조회수 39,491
그래프는 종종 그림, 혹은 숫자로 간주되곤 합니다. 그래프는 일련의 숫자 이면의 의미를 담고 있으며, 이 의미를 한 눈에 이해할 수 있도록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Free
기사
2014년 05월 29일
주제 문법 및 논문작성법 | 조회수 318,157
신진 연구자들은 종종 논문에서 'I'나 'We'를 써서는 안 된다는 지적을 받습니다. 객관적여야 하는 학술 논문에서 1인칭을 사용하면 독자들에게 주관적인 견해로 받아 들여질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학술 논문에서 일인칭을 사용해서는 안 된다는 일반적인 규칙은 존재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