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here
최신기사
Free
기사
2015년 08월 17일
의견 0
과학 연구의 품질과 영향력 측정은 모든 연구개발 관계자들의 관심사였습니다. 연구 평가 방법 중 가장 중요한 두 가지로 피어 리뷰, 그리고 양적 지표(quantitative metrics)를 들 수 있습니다. 숙련된 연구자들이 원고를 평가하는 피어 리뷰는 널리 인정받는 방식으로, 원고의 품질에 큰 가치를 더해 주는 것으로 간주되고 있습니다.
Free
기사
2015년 08월 13일
학술 논문 작성에 있어서 대문자를 지나치게 많이 사용하는 실수가 그 반대로 대문자가 들어가야 할 곳에 소문자를 쓰는 실수보다 보다 흔히 일어납니다.
Free
기사
2015년 08월 11일
지표(Metrics)와 순위(ranking)는 학술 커뮤니케이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전체적인 수준에서 보면, 지표와 순위는 우리가 산출하는 연구의 빅데이터(big data)이며, 우리가 연구의 동향과 패턴을 이해하고 현명한 의사결정을 하기 위해 이 데이터를 이용할 필요성과 역량을 반영합니다. Imperial College London에 재직 중이던... 자세히보기
Free
기사
2015년 08월 10일
코플리 메달은 세계 최초의 과학상으로, 노벨상보다 170년이나 앞선 1731년 왕립학회에 의해 시작된 상입니다. 올해 코플리 메달의 주인공은 피터 힉스 교수로, 힉스입자 이론에 있어 선구적인 업적을 남긴 공로로 이 상을 받게 되었습니다.
Free
기사
2015년 08월 04일
과학의 기본 전제는 연구가 결과의 유효성 및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세심하고 객관적이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출판된 논문은 연구가 수행된 방식, 결과를 얻어낸 방식, 그리고 분석적 도구를 적절히 사용해 결론에 도달한 방식을 명확하고 투명하게 기술해야 합니다.
Free
Q&A 포럼
2015년 08월 03일
저널에 프리 서브미션을 보내고 싶습니다. 그런데, 이메일을 어떻게 써야 할 지 모르겠습니다. 어떤 내용이 들어가야 할까요? 또 투고 전 문의사항을 남길 수 있는 이메일이 편집장의 이메일 주소가 아닙니다. 편집장에게도 같은 이메일을 보내야 할까요? 그리고 이메일에 제 논문과 커버레터도 첨부해야 합니까?
프리미엄
기사
2015년 07월 31일
“특허 괴물(Patent trolls)”이라는 문제가 수십 년째 과학의 혁신에 해악을 끼쳐왔습니다. 그런데, “특허 괴물”이란 무엇이며 어떻게 작동하는 것일까요? 대학 역시 이러한 특허 괴물일까요? 이 글에서는 ‘특허 괴물’의 모든 것을 설명하고, 특허 괴물이라는 세계적 현상이 가진 법적, 경제적 악영향을 알려드리는 동시에 이 복잡한 문제를 해결할... 자세히보기
Free
기사
2015년 07월 29일
한동안 경제위기를 겪던 그리스는 국제통화기금(IMF)에 17억 달러의 채무 상환 일정을 이행하지 못함에 따른 정치적, 경제적 파국에 접어들었습니다. 국가가 파산하고, 유로존과 EU를 탈퇴하는 최초의 국가가 될지도 모른다는 두려움 속에서, 연구자들은 그리스의 경제적 위기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될 그리스의 연구개발, 의료 시스템, 그리고 두뇌유출율에 대해 높은... 자세히보기
Free
기사
2015년 07월 23일
한 저자 (저자 A)가 저널에 논문을 제출했습니다. 논문은 승인되어 저널의 1월호에 출판되었습니다. 저자는 저널의 1월호와 2월호를 무료로 받아 보게 된다는 안내를 받았습니다. 2월호를 받은 저자는 깜짝 놀랐는데, 자신이 쓰지 않은 논문에 저자로 이름이 올라 있었던 것입니다. 논문의 실제 저자 (저자 B)는 자신의 논문이 도용을 당했다고 생각하고 저널... 자세히보기
Free
기사
2015년 07월 22일
학술 논문에서는 본문 내용을 보충하는 표, 그림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글에서는 표와 그림의 한 요소인 제목(title)을 작성하는 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