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국제 저널에서 그래픽 초록을 요청하고 있지요. 연구 논문을 바탕으로 효과적인 그래픽 초록을 설계하는 일이 벅차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영향력 있는 그래픽 초록을 설계할 때 무엇이 필요한지 헷갈려 하는 연구자 분들이 많죠.
이에 이번 아티클에서는 그래픽 초록 설계 시 흔히 저지르는 실수 다섯 가지를 살펴보고, 이를 피할 수 있는 팁을 공유해 드리려 합니다.
그래픽 초록 설계 시 흔히 저지르는 실수들
전 세계의 저자들이 연구의 가시성 강화를 위해 그래픽 초록을 설계하는 데 점점 익숙해져 가고 있죠. 그러나 그 과정에서 흔히 발견되는 몇 가지 실수들이 있습니다.
1. 레이아웃에 대한 고민이 부족하다
독자들은 논문을 본격적으로 읽기 전에 가장 먼저 그래픽 초록부터 접합니다. 명확하고 일관성 있는 시각적 표현과 따라가기 쉬운 레이아웃을 적용하면, 독자들이 연구에 더 몰입할 수 있습니다. 초록 디자인 시 아래의 질문들을 고민해 보세요.
내 그래픽 초록은 위에서 아래로 읽기와 좌에서 우로 읽기 중 무엇이 더 어울릴까?
2차원 표현과 3차원 표현 중 내 논문의 데이터에 적합한 방식은 무엇일까?
어떻게 해야 독자가 논문을 참고하지 않고 그래픽 초록만 보고도 이해할 수 있도록 텍스트, 데이터 그래프, 차트 유형, 픽토그램 사이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을까?
위의 포인트들을 고민하면 독자의 눈길을 사로잡는 가독성 높은 그래픽 초록을 만드는 데 도움이 될 겁니다.
2. 아이콘과 폰트에 일관성이 없다
광고나 포스터에 각기 다른 크기로 픽토그램(그림문자) 들어가 있거나, 통일되지 않은 폰트로 규칙성 없이 연결된 무작위 아이콘이 들어가 있다고 생각해 보세요. 어수선하게 느껴지겠죠. 시각적 표현에 일관성이 없기 때문입니다. 일관성 있도록 요소를 넣을 때 아래를 고려해 보세요.
이미지에 들어가는 시각 요소는 되도록 같은 라이브러리에서 가져오는 것이 좋습니다. 하나의 도식에 여러 출처에서 가져온 픽토그램, 기호, 아이콘 등을 사용하는 건 지양하세요.
폰트 종류와 크기는 모두 통일해야 합니다.
선의 굵기, 색상 팔레트, 디테일 수준(LOD)과 같은 시각적 요소의 디자인이 전체적으로 통일되어야 합니다.
저널 가이드라인을 확인해 포맷팅(양식) 요건을 확인하면 그래픽 초록을 디자인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3. 잘못된 배경을 선택한다
그래픽 초록을 만드는 목적은 독자가 연구의 핵심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임을 명심하세요. 대비가 낮거나 무늬가 있는 배경으로 인해 시각 요소가 한눈에 들어오지 않으면 독자가 흥미를 잃을 수도 있습니다.
그래픽 초록은 앞에 배치한 시각 요소들과 대비되는 배경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예컨대, 초록에 밝은색 혹은 어두운색의 시각 요소가 들어가 있다면 옅은색을 배경으로 선택하는 게 좋을 수 있겠죠. 반면 시각 요소가 옅은 색조를 띤다면 어두운색 배경을 사용하는 편이 좋습니다.
더불어 패턴이 있는 배경은 피하는 게 좋습니다. 시각적으로 산만해 보일 수 있습니다.
4. 불필요한 요소를 추가한다
그래픽 초록의 레이아웃을 정했다면 불필요한 요소를 추가하지 마세요. 간혹 디자인을 발전시켜 가면서 그래픽 초록과 관련이 있는 것처럼 보이는 요소 추가하곤 하는데요. 이것이 꼭 필요한 요소인지 고민할 필요가 있습니다. 아래의 질문을 바탕으로 한 번 고민해 보세요.
이 요소는 내 그래픽 초록 설계에 어떤 가치를 더해 주는가?
이 아이콘/픽토그램/화살표를 추가하면 기존의 디자인이 이미 제공하는 것보다 더 많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가?
큰 그림에서 봤을 때, 이 요소는 독자가 내 논문의 핵심 메시지를 이해하는 데 중요하게 작용할까?
다양한 요소를 한데 욱여넣는 건 일반적인 그래픽 초록 디자인 실수입니다. 그래픽 초록에 과도하게 많은 요소를 넣는 건 피하고, 최소한의 디자인을 유지하세요.
5. 너무 많은 색상을 사용한다
‘사공이 많으면 배가 산으로 간다’고 하죠. 정도가 지나치면 없느니만 못한 경우가 많습니다.
색상을 최대한 많이 사용하면 눈길을 끌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하기 쉽습니다. 하지만 이는 역효과를 낼 수 있다는 사실! 과도한 색상 요소로 독자가 부담스러워하지 않도록 디자인에 활용하는 색은 네 가지 이하로 정하세요. 그렇지 않으면 그래픽 초록의 핵심 메시지에서 독자의 주의가 분산될 수 있습니다.
효과적인 그래픽 초록 제작을 위한 팁
그래픽 초록에서 흔히 저지르는 실수를 피하고 싶다면 아래의 팁을 참고하세요!
그래픽 초록은 논문을 완성한 뒤에 디자인하세요. 그래야 그림 형식으로 연구 내용을 잘 요약할 수 있습니다.
일관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부족합니다. 아이콘, 픽토그램, 폰트, 화살표, 색감, 라벨 등 전반적인 어우러짐을 더블체크 하여 디자인에서 튀는 부분이 없는지 확인합니다.
Simple is the best! 과유불급을 명심하세요. 그래픽 초록 디자인에서는 단순하고 미니멀한 접근방식을 취해야 효과적인 결과물을 얻을 수 있습니다.
연구의 영향력을 높이고 영향 범위를 확대하고 싶나요? 에디티지의 그래픽 초록 디자인 서비스를 확인해 보세요. 전문가의 도움으로 여러분의 연구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