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here
논문을 투고하고 답변을 받았는데 "Electronic versions of Figures submitted with the manuscript should contain a link to data" 및 "Add Figure numbers on pages where figures appears" 등의 답변을 받았습니다. manuscript에 figure가 어디에 나타나는지 표시를 하라는것 같은데 어떻게 표시 하면 될까요? 처음 투고 해보는거라 정말 궁금합니다.
- Anonymous
- 2016년9월6일
- 조회수 23,216
안녕하세요? 미리 도움에 감사드립니다. 저는 논문 투고를 하기 직전입니다. 가이드라인의 한 부분이 잘 이해가 안되어 여쭈어보려 합니다. 제 논문에는 figures 가 있고 가이드라인에는 이 figures 들을 main text 로부터 떼어내어 별도로 붙이라고 되어 있는데, 업로드해야 하는 파일의 구성 중에 Main text 와 참고문헌 사이에 "Indication of Figures and Tables"라는 항목이 있습니다. 여기에 붙여넣으라는 것인지, 아니면 따로 문서를 만들고 그것에 넣은 다음, 거기에 있다고 indicate 하라는 것인지 잘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아무래도 저의 영어 이해가 부족해서 그런 듯 합니다. 무슨 의미이고, 어떻게 해야 할까요?
- Anonymous
- 2016년6월18일
- 조회수 19,505
연구 논문에서 표(table)는 행과 열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행과 열마다 그 안에 담긴 내용에 대해 특정한 정보를 주는 소제목(heading)이 달려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행과 열의 소제목이 표 제목을 부연할 수 있도록 작성하는 방법을 다룹니다.
각주 기호는 주변에 있는 본문으로부터 튀어 보여야 합니다. 이 때문에 각주 기호로 문자, 숫자를 위첨자로 나타낼 때 볼드 처리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볼드 처리를 하는 동시에 이탤릭체로 쓰면 효과가 더 좋습니다
각주는 학술 문헌에 흔히 쓰입니다. 과거만큼 자주 쓰이지는 않지만 현재에도 표에 각주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글에서는 표에 각주를 활용하는 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