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here

연구 계획서란? 연구 계획서 개요 작성하는 법

EJ Jun Lee | 2025년4월25일 | 조회수 523
연구 계획서(thesis proposal)란? 연구 계획서에 포함되는 내용과 개요, 예시

앞으로 진행할 연구에 관한 개요를 설명하는 연구 계획서(thesis proposal)를 처음 작성한다면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어떤 내용을 넣어야 할지, 구조는 어떻게 잡아야 할지 막막할 겁니다. 연구 논문 작성 전, 연구 계획서는 어떻게 쓰면 좋을지 알아봅시다. 

 

연구 계획서란? 

연구 계획서는 여러분이 제안하는 연구 프로젝트의 개요를 보여주는 문서입니다. 잘 쓰인 연구 계획서에는 아래와 내용이 포함됩니다. 

  • 명확한 연구 주제를 제시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접근법을 설명합니다. 

  • 연구의 독창성 또는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 연구 주제가 속한 분야에 있는 기존의 연구를 어떻게 발전시킬 것인지 혹은 반박할 것인지 설명합니다. 

  • 지도 교수에게 자신이 이 연구를 수행하기에 적합한 인물인 까닭을 설명합니다. 

 

연구 계획서 양식 

엄밀히 말하면, 연구 계획서에 절대적인 표준이 있지는 않습니다. 모든 건 여러분이 속한 기관이 어떤 표준을 채택하는지, 여러분이 어떤 국가에서 연구를 수행하고 있는지에 달려 있죠. 각 대학에는 저만의 양식이 있습니다. 따라서 대학교 웹사이트에서 해당 대학이 제시하는 양식 가이드라인을 반드시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더불어, 지도 교수님과 상의하여 어떤 양식을 사용해야 하는지 미리 확인해 보는 것도 좋습니다. ‘아직 시간 있으니까’라고 생각하며 미루다가는 마감 직전에 엄청난 스트레스 폭탄을 맞을 수도 있습니다. 

연구 계획서의 분량 역시 양식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소속 학부에 문의하거나 지도 교수님께 여쭤보는 게 좋습니다. 일반적인 분량은 3,000단어가량입니다. 

 

연구 계획서의 구조 

기본적으로는 다음의 구성 요소가 포함되며, 다른 학술적 글쓰기와 비슷합니다. 

  • 서론과 서론을 보완하는 논문 리뷰 

  • 연구를 통해 던지는 질문과 가설, 이를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 

  • 방법론 

  • 예상되는 결과 

  • 해당 연구의 중요성(기존의 지식에 어떤 가치를 더할 것인지, 학술계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지) 

  • 연구 진행 일정 

대개 석사, 박사 과정을 밟는 대학원생이라면 이 연구 계획서를 작성해서 내야 합니다. 그래야 학교가 연구자의 의도를 파악하고, 필요하다면 지도 교수와 상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연구 계획서 예시 

연구 제목: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 검출을 위한 진단 검사 개발 

연구 목적: 

  • 2020년 국내 첫 코로나19 확진자 확인 이후 코로나19 확진자 선별 검사 수요가 급증하였음1 

  • PCR 검사는 민감도가 좋고 정확도가 높으나, 샘플 채취부터 샘플 분석 및 결과 확인까지 오랜 시간이 소요되며 비전문가가 다룰 수 없고 한정된 인원인 전문가만 분석하고 해석할 수 있는바, 전염성이 강한 코로나19 검사로 전문 인력들의 인력난이 발생함2 

  • 코로나19로 국제 무역에 제재가 걸리면서 원자재 공급 및 검사 시약에 대한 공급이 원활하지 않음

  • 기존 검사법과 비교하여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자체 개발 검사 방안의 필요성이 대두됨 

  • 전문가 인력난 및 수입 의존으로 인한 공급 차질을 해소하기 위해 국내 자체 개발 검사 진행이 필요함4 

  • 2021년 2월 기준, 국내 식약처로부터 긴급 사용 승인을 받은 기업 일곱 군데 진행 

  • 현재 시중에서 진행되는 코로나19 체외 진단 검사 안정성 문제 야기 

  • 민감도는 양성 확진자를 음성으로 판단하여 양성 확진자가 격리 및 치료 없이 다른 잠재적 환자에게 전염시키기 때문에 민감도가 높은 검사 방법 개발이 필요함 

  • 개발하고자 하는 연구 기술 소개 

  • 연구 계획서를 통해 제시하고 싶은 기대 효과 서술 

연구 방법: 

  • 개발하고자 하는 연구에 필요한 시약 및 기구 

  • 샘플 채취 방법 

  • 개발 연구 정량 평가 

  • 개발 연구 민감도 평가 

  • 개발 연구 및 기존 연구 비교 

  • 통계 처리 방법 

  • 단계별 시간 계획 

연구 결과 및 분석: 본 연구 진행 전 사전 연구를 진행하였다면, 연구 방법에 따른 분석 진행 후 결과 내용 해석하여 연구 계획서에 본 연구 진행 가능성 제시 

고찰: 해당 연구를 통해 앞서 언급한 문제 해결 접근성 및 가능성 해석 

참고 문헌(예): 

  1. 식품의약품안전처. (2020.05.22.). 보도자료: K-방역 진단시약, 포스트 코로나까지 살핀다. 

  1. Devex. (2020.3.6). UK government to fund coronavirus rapid diagnostic test. 

  1. Devex. (2020.3.17). Why the UK wants a new coronavirus test to be made in Senegal. 

  1. World Health Organization. (2021.5.28). COVID-19 Virtual Press conference 28 May 2021. 

 

스크랩하기

해당 기사를 스크랩해보세요!

지식은 모두에게 함께 공유되어야 한다는 것이 에디티지 인사이트의 이념입니다. 해당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모든 기사는 Creative Commons license로 재포스팅 및 스크랩이 가능합니다. 아래의 가이드라인만 유념해주신다면 언제든지 무료로 에디티지 학술 전문가의 지식을 가져가실 수 있습니다!


  • 주의 : 에디티지 학술 전문가들은 해당 콘텐츠를 만들기 위해 많은 시간과 노력을 쏟고 있습니다. 기사를 스크랩 및 재포스팅 하실 때는 명확한 출처를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 이미지 재사용: 이미지를 원본이 아닌 편집 재사용하실 때는 에디티지 인사이트의 허가가 필요합니다.

코드를 복사하셔서 기사 공유를 원하시는 사이트에 적용하시면 에디티지 인사이트 기사를 가장 쉬운 방법으로 공유하실 수 있습니다.
 
위 코드를 복사하시어 원하시는 곳에 다시 포스팅 하실 수 있습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