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here
최신기사
Free
기사
2015년 01월 07일
의견 0
2014년 한 해는 학술 출판에 있어 새로운 경향의 도입, 의미 있는 발견과 혁신 등 흥미진진한 일들이 가득했습니다. 변화의 시대를 맞아 <에디티지>에서는 출판 산업에 종사하는 전 세계의 전문가들의 인터뷰를 일 년 내내 진행하기도 했습니다. 이 글에서는 지금까지 이루어진 전문가 인터뷰 중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 부분들을 엄선해 소개하고자 합니다.
Free
Q&A 포럼
2015년 01월 07일
안녕하세요. 저는 북반구에서 유행하는 전염병에 대한 논문을 쓰고 싶습니다. 제 논문은 다른 저자들의 논문에 대한 사례 요약이 될 것입니다. 그렇다면 제 논문은 리뷰 논문으로 분류될까요? 두 번째 질문도 있습니다. 저는 박사 과정 학생인 동시에 실무도 하고 있는데, 제 소속기관으로 학교와 병원 둘 다 기재해도 될까요?
Free
기사
2015년 01월 05일
최근 <효소 억제 및 의료화학 저널(The Journal of Enzyme Inhibition and Medicinal Chemistry)> 그리고 <바이오메드 센트럴 (BioMed Central)> 저널의 저자들이 논문 출판을 위해 피어 리뷰 시스템을 조작한 사건이 발생해 피어 리뷰 조작이 과학출판계의 이슈로 떠올랐습니다.
Free
기사
2015년 01월 02일
심리학 실험의 보고서 작성 시 빠뜨리거나 불완전하게 기술하는 경우가 많지만 매우 중요하고, 특히 실험의 재현 가능성을 위해서 필수적인 요소들을 살펴보겠습니다.
Free
Q&A 포럼
2014년 12월 29일
원고를 수정해서 다시 제출했는데, 제출 후에야 원고에 실수가 있다는 점을 알아차렸습니다. 한 문장을 다시 수정하고 싶습니다. 제 논문이 승인될지 여부는 알 수 없는데, 이 오류를 고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조언 부탁 드립니다.
Free
Q&A 포럼
2014년 12월 26일
논문의 주저자(lead author)가 되기 위해서는 어떤 요건을 갖추어야 하나요? 공동저자(co-author)란 무엇입니까? 이 두 가지 용어들이 정확히 어떤 뜻인지 알고 싶습니다.
Free
기사
2014년 12월 24일
학자와 연구자들은 수준 높은 어휘를 구사합니다. 한 분야의 전문용어에 숙달하려면 수 년이 걸리지요. 하지만, 언어 사용의 문제에 있어 학자들이 어려움을 느끼는 부분은 어떤 분야의 특수한 용어가 아니라, 주제나 분야와 무관하게 학술 글쓰기 전반에서 널리 쓰이는 단어에서 옵니다.
Free
기사
2014년 12월 22일
BBRC는 생화학, 생물물리학, 세포생물학, 발생생물학, 면역학, 분자생물학, 신경생물학, 식물생물학, 단백체학 등 다양한 생물학 분야에서 시의 적절하고 중요도가 높은 실험 결과의 빠른 보급을 사명으로 하는 국제 저널입니다.
Free
Q&A 포럼
2014년 12월 19일
SCI 저널에 논문을 투고했는데, 표절 검사에서 표절률이 19%로 나와 거절당했습니다. 이후 최대한 수정했는데, 저널의 표절 검사를 통과하기 위해서 어떤 부분을 더 수정해야 할까요?
Free
이벤트
2014년 12월 18일
히로시마 대학교 대학원생들은 종일 개최된 <에디티지> 워크샵을 통해, 연구에서 발생하는 윤리적 딜레마를 논의하고, 논문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여러 가지 활동에 참여하고, 리뷰를 철저히 수행하는 방법을 배우는 특별한 기회를 얻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