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here
검색결과
데스크 거절의 가장 흔한 원인 5가지와 간단한 해결책
worst option? Prometheus Assessed? Research Measurement, Peer Review, and Citation Analysis. ...
간편한 네트워킹: 스마트한 연구자를 위한 10가지 팁
여러분들이 네트워크를 구축해야 하는지, 연구자들이 쉽게 네트워킹할 수 있는 10가지 중요한 팁을 알아보세요! networking skills for researchers ...
저자권(authorship)에 대해 무엇을 알아야 할 것인가?
살펴보자. 생물학연구정보센터(Biological Research Information Center, BRIC)에서 2015년에 실시한 설문조사 에 따르면 저자권과 관련된 갈등과 ...
에디티지 인사이트가 7살이 되었습니다!- 새 편집장이 보내는 메시지
오늘은 에디티지 인사이트 7 주년입니다! 그리고 오늘을 더욱 특별하게 만드는 것은 제가 에디티지 인사이트의 새로운 편집장으로서 이 글을 쓰고 있다는 것입니다. 이 새로운 역할을 맡게 되어 무척 기쁘고, 큰 책임감을 느낍니다. 저는 이 플랫폼과 시작부터 함께해 왔으며, 수년 간 연구자, 학술 출판사, 저널 편집자들과의 상호 작용을 통해 고유한 관점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새로운 자리에서 저는 개방적이고 포용적이며 긍정적인 연구 문화를 향한 저희의 여정을 ...
인간∙동물 대상 연구에서 반드시 기억해야 할 5가지 윤리 사항
Medical Research Involving Human Subjects ARRIVE guidelines- Animal Research: Reporting of In Vivo ...
한국의 코로나19 발표 논문 수는 왜 적은가?- 4명의 연구자 의견
올해 1 월부터 시작된 국내의 코로나 19 발병 이후, 감염병에 대한 한국의 대응은 국내외에서 긍정적인 평가 를 받고 있습니다. 그러나 코로나 19 연구에 관해서는 어떨까요? 팬데믹이 시작된지 거의 1 여 년의 시간이 흐른 지금, 많은 연구자들의 노력 덕분에 전 세계적으로 관련 논문이 쏟아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과학 분야에서 선도적인 연구 성과를 보이며, 코로나19 대응 방역에서도 모범이 된 한국이 코로나19 관련 연구에서는 상대적으로 빈약한 ...
[전문가 의견] 피어 리뷰의 신뢰를 높이기 위해 저널이 해야 할 일
경험이 부족한 학생들에게 넘겨지곤 합니다. 하지만, 연구자 입장에서 견실한 출판 목록은 연구자 경력에서 필수적입니다. 영국과 같은 국가에서는 REF(Research Excellence ... journals: the fate of submitted articles, submitted again. 1982. 6. Deceit and fraud in medical research ...
피어 리뷰 심사가 준비된 원고 투고를 위한 5가지 팁
“피어 리뷰는 망가졌다”, “과학이 망가졌다”는 원성이 점차 높아지고 있습니다. 코로나 19 팬데믹은 ‘ 인포데믹 (infodemic, 거짓 정보의 범람)’ 현상을 불러일으키며, 이름 있는 저널에서의 논문 철회도 잇따르고 있습니다. 연구자들은 “그렇게 큰 결함이 있는 논문이 피어 리뷰를 통과할 수 있다면 어떤 정보를 믿을 수 있을까? ”, “저런 논문이 피어 리뷰를 통과한다면 내가 출판하려고 애써야 할 이유가 있을까? ”라고 생각할지도 모릅니다. 첫 질 ...
석사 논문 발표 준비하는 학생들을 위한 가이드
편집 노트: 이 글은 저자의 블로그 Sue Moon's Blog 에 실렸던 글 을 저자의 허락을 받고 재발행하였습니다. 이번 주 월화 이틀에 걸쳐 석사 논문 심사를 했다. 내 지도학생 2명과 다른 학생들 포함해서 5번. 심사를 하면서 학생들의 슬라이드를 보니 내용에 상관없이 해주고 싶은 말이 많았다. 지도학생들이 슬라이드를 만들어오면 그때부터 잔소리를 했지 어떻게 준비하라고 따로 정리해서 얘기해준 적이 없는 것 같다. 해서 부리나케 적어본다. ...
아시아와 서양 연구자들의 업무 스트레스 인식은 어떻게 다를까?
연구 문화는 연구의 우수성을 위한 열쇠입니다. 긍정적인 연구 문화는 연구자들이 더 나은 성과를 내도록 격려하고, 직면하는 어려움에 대해 열린 대화를 가능하게 합니다. 그러나 전 세계적으로 연구 문화는 근본적으로 경쟁적이고, 스트레스가 많으며, 위계적인 경우가 많습니다. 우수한 연구를 위해 오랜 근무 시간과 업무 압력을 당연하게 받아 들이게 되는 일도 흔합니다. 이는 전 세계으로 볼 수 있는 현상이지만, 이 글에서는 아시아의 연구 문화를 좀 더 자세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