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here
검색결과
연구에 가장 적합한 방법론(methodology)을 선택하는 법
박사 논문, 석사 논문 또는 보고서를 쓸 때 연구 수행은 디딤돌의 역할을 합니다. 올바른 연구 방법론을 선택하면 연구와 연구 보고서, 논문의 성공과 전반적인 품질을 결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연구 초기 단계에서 이를 제대로 파악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이 글에서는 연구 방법론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고 여러분의 연구를 위해 어떤 방법을 선택해야 하는지 식별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합니다. 다양한 연구 방법 (research methods) 의 이해 데이터 ...
영어 논문에서 키워드를 정하는 간편 가이드!
연구자들은 논문을 쓰는 동안 매력적인 제목을 만들고, 포괄적이지만 간결한 초록을 작성하는 데 상당한 시간을 소비하게 됩니다. 이 단계에서는 적절한 키워드를 선택하는 데 집중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키워드란 무엇이며 왜 중요한가? 키워드는 원고의 주요 측면을 표현하는 단어 또는 짧은 구입니다. 이는 두 가지 주요 목적을 수행합니다: 논문 제출 /출판 과정에서 논문 분류 출판 후 논문 색인 첫번째와 관련하여, 학술지 담당자는 일반적으로 키워드를 포함하여 제출 ...
논문 쓰기 작업이 외롭고 힘들게 느껴질 때- 연구자들의 Writing Group 후기
매달 연구자 여러분들이 한자리에 모이는 시간이 있습니다! 바로 글쓰기라는 한 가지 목표를 가지고 말이죠. 연구자를 위한 글쓰기 모임 Writing Group 세션 입니다. 이 세션은 연구자를 위한 약 1 시간 동안의 온라인 글쓰기 모임입니다. 논문 작성 및 글쓰기 목표를 지속적으로 달성하도록 지원하고, 연구자 여러분의 글쓰기 생산성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 세션은 작업을 25 분 집중 시간 과 5 분의 짧은 휴식으로 구분하는 시간 관리 기법 ...
집중력, 생산성, 심리적 지지! 연구자를 위한 Writing Group 세션
연구자를 위한 글쓰기 모임 Editage Writing Group- 일시: 에디티지 온라인 강의 교육 페이지 확인- 장소: 온라인 미팅 * 세션에 등록하시면, 메일로 참여 링크를 보내드립니다. 이곳을 클릭 하고, 등록하세요. 원활한 세션 진행을 위해 참석 인원을 제한합니다. 초대장은 선착순으로 발송됩니다. ✓ 학위 논문, 저널 투고용 논문 작성 혹은 대학원 수업 글쓰기 과제 등을 위해 작업을 시 ...
[영어 논문] 하이픈(hyphen), 엔 대시(en dash), 엠 대시(em dash) 사용법
연구자로서 여러분은 다른 사람들이 알아차리지 못하는 사소한 일을 여러분의 연구 분야와 연결시켜 생각할 때가 있을 것입니다. 알렉산더 플레밍이 다른 사람들에게는 단지 유리접시에 불과하던 사물을 보면서, 박테리아의 성장을 저지하는 푸른곰팡이의 힘을 알아차렸던 것처럼 말입니다. 이와 같이, 일반 독자들에게는 똑같아 보이는 대시 기호(—, 줄표) 역시 세심한 독자들에게는 각각 다른 기능을 가지고 있는 별개의 문장 부호로 보입니다. 1. 대시 가운데 가장 짧고 ...
백지 상태에서 첫 페이지를 채우는 방법: 학술 논문 작성에서 기쁨과 생산성 찾기
“글쓰기는 쉽습니다. 이마에 핏방울이 맺힐 때까지 백지를 응시만 하면 됩니다. ” —진 파울러, 저널리스트, 각본가, 소설가 글쓰기는 두려운 작업입니다. 실험실 또는 현장 연구가 더 흥미로운 일이지만, 연구자 여러분은 조만간 반드시 연구 결과를 논문 형태로 작성해야 합니다. 또 연구비 지원 제안서, 프로젝트 진행 보고서, 의견을 구하기 위해 보내 온 원고에 대한 리뷰 작성 등 연구자의 글쓰기 목록은 방대합니다. 연구자들 가운데 논문 작성에 얼마나 많은 ...
연구 논문의 서론(Introduction) 부분을 작성하는 4 단계 접근법
다른 사람들이 당신의 논문을 인용하기를 원한다면, 그들이 논문을 먼저 읽도록 만들어야 합니다. 논문 제목과 초록이 동료 연구자들이 논문을 보게끔 설득했다고 한다면, 다음은 서론 (Introduction) 에서 논문을 계속 읽게 만들어야 합니다. 연구 내용으로 독자를 끌어들이고, 논문의 다른 섹션 (방법, 결과, 고찰 및 결론) 으로 안내해야 합니다. 이 글에서는 논문의 서론에서 포함해야 하는 것과 제외해야 하는 것, 학술지 편집자 및 리뷰어가 논문의 서 ...
[에디티지 & SAGE 웨비나] 의학 글쓰기에서의 일반적인 오류와 SCI 의학 저널 투고- 4월 26일
4 월 26 일에 에디티지와 세계적인 학술 저널 출판사 세이지 (SAGE) 출판사가 공동 진행하는 무료 온라인 강의 소식을 알려드립니다! 이 웨비나에는 에디티지의 Song Eunyeong 박사와 세이지 저널 편집장 Lingling Tian 박사가 연사로 참여합니다. 날짜: 2003 년 4 월 26 일 (수) 오후 2:30 (한국 시간) 주제: 1부- 의학 글쓰기에서 한국 저자들이 흔히 범하는 오류 2부- SC ...
그래픽 초록 vs 인포그래픽: 연구를 전달하기 위해 무엇을 사용해야 할까?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에게는 그래픽 초록 (graphical abstract)과 인포그래픽 (infographic)이 기본적으로 같을 것입니다. 둘 다 연구에 포함할 수 있는 시각적 요소이며, 정보를 제공하고, 그것을 보는 사람들의 이해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전반적으로 이 두가지는 비슷하게 보입니다. 하지만 과학 또는 학술 분야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그래픽 초록과 인포그래픽의 차이를 이해하는 것은 중요합니다. 그래픽 초록과 인포그래픽은 목적 ...
[온라인 강연] 3분 요약: 효과적인 연구제안서 작성을 위한 15가지 팁!
연구자를 위한 영어 논문 교정, 학술 번역,저널 투고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에디티지는 매달 연구자 여러분들을 위한 다양한 무료 온라인 교육 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 효과적인 연구제안서 작성법 (Writing an effective research grant proposal)>을 주제로 한 [에디티지 무료 온라인 교육]에서는 독일 뮌헨 대학교 교육심리학 박사, 전남 대학교 간호학 박사이신 이미경 박사님께서 연구제안서 및 연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