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here

Results 61 - 70 of 78

검색결과

Free Content
전문가

[학계 밖 경력 탐색 시리즈 03] 파이펫을 놓은 연구자, MSL(Medical Science Liaison)의 세계- 조인수 박사 (Ph.D.) 인터뷰

조인수 / 글로벌 제약사 사노피 (Sanofi) 특수질환 사업부, 희귀질환, 신경계질환 메디컬팀 리드 Medical Lead Language Korean 조인수 박사님(Ph.D.)은 10년 간 함께한 파이펫과 실험복, 연구실의 실험 과학자 여정에 마침표를 찍고, 글로벌 제약회사 메디컬팀(의학부) MSL(Medical Science Liaison)을 거쳐, 현재 글로벌 제약사 사노피 (Sanofi)의 특수질환 사업부에서 희귀질환, 신경계질환 메디컬팀 리드 ...

날짜: 2023년 01월 20일
Free Content
전문가

[학계 밖 경력 탐색 시리즈 04] 전문성과 확장성을 동시에 추구하는 융합적 투자자, 바이오헬스케어 전문 투자심사역(VC) 곽용도 박사 (Ph.D.) 인터뷰

곽용도 / 바이오헬스케어 전문 투자심사역, 유안타인베스트먼트 Language Korean 곽용도 박사님 (Ph.D.)은 뇌질환과 생체리듬 간의 분자적 연결고리 연구로 박사학위를 마치고 산업계에서 다양한 뇌질환의 신약개발 연구를 하다가, 현재는 학계와 산업계의 경험을 바탕으로 투자업계에서 바이오 헬스케어 전문 벤처캐피탈리스트(Venture Capitalist)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과학적 전문성에 뿌리를 두고 다양한 영역으로 가지를 확장해 나가고 있습니다 ...

날짜: 2023년 04월 10일
Free Content
동영상

연구자들이 정책 입안자와 협업이 필요한 이유와 방법: 마르타 풀리도 박사와의 인터뷰 (2부)

Interview with Marta Pulido: Why and how researchers should collaborate with policymakers (Part 2)

Interview with Marta Pulido: Why and how researchers should collaborate with policymakers (Part 2) evidence-based policy planning science communication 경력개발 career choices after PhD networking skills for researchers communicating research 과학커뮤니케이션 연구자커리어 ...

날짜: 2023년 04월 13일
Free Content
동영상

연구자들이 정책 입안자와 협업이 필요한 이유와 방법: 마르타 풀리도 박사와의 인터뷰 (3부)

Interview with Marta Pulido: Why and how researchers should collaborate with policymakers (Part 3)

Interview with Marta Pulido: Why and how researchers should collaborate with policymakers (Part 3) evidence-based policy planning science communication 경력개발 career choices after PhD networking skills for researchers communicating research 과학커뮤니케이션 연구커뮤니케이 ...

날짜: 2023년 04월 28일
Free Content
전문가

[학계 밖 경력 탐색 시리즈 05] 데이터 과학자와 유튜브 크리에이터가 된 공학 박사, 김포닥 인터뷰

김경환 / 데이터 과학자, 웹툰 스타트업 Tappytoon & 유튜브 크리에이터, 김포닥 (podockim) Language Korean 김포닥 님은 기계공학 박사후 연구원을 거쳐, 웹툰 회사에서 데이터 과학자로 일하고 있습니다. 비전공자에서 데이터과학자로서 진로를 바꾸기까지 흥미로운 경험과 조언을 들어보세요! * 이 인터뷰는 연구자들을 위한 ‘ 학계 밖 경력 탐색 ’을 주제로 다양한 전문가와 만나고, 학계 밖의 직업과 커리어 전환 여정을 탐구하 ...

날짜: 2023년 05월 18일
Free Content
기사

“제가 학계에서 알고 있는 사람들은 모두 비학문적 영역에서 멋진 반향을 일으킬 준비가 되어 있습니다.” 카일 아이어턴 박사가 전해주는 산업 분야로의 전환에 대한 경험과 팁!

박사 학위와 같은 전문 학위는 박사과정 수료생들에게 다양한 직업 경로를 제공해야 하는 것이 이상적입니다. 그리고 이런 측면에서 박사 학위는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것도 사실입니다. 박사 과정 동안 습득한 기술은 다양한 직업 분야에서 귀중하게 활용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박사 학위를 막 수료한 졸업생들은 (혹은 박사 후 과정에 있는 경력직 연구원들 조차도) 기존의 학문적 영역에서 선택할 수 있는 직업의 선택지에서 벗어난 영역에서의 직업 탐색 기회 ...

날짜: 2023년 08월 23일
Free Content
기사

그래픽 초록 vs 동영상 초록: 연구 시각화 방법

지난 20년 동안 정보 의 소비, 처리, 전파 방식 에 엄청난 변화가 있었 습니다. 디지털 미디어는 의사소통 방식에 큰 변 혁을 가져왔습니다. 과학 커뮤니케이션 역시 청중의 변화하는 요구에 맞춰 변화해 왔습니다. 오늘날 소셜 미디어는 과학자들이 본인의 생각을 공유하고, 연구를 홍보할 수 있는 플랫폼이 되었습니다. 오늘날 페이스북 (Facebook), 유튜브 (Youtube), 트위터 (Twitter) (X로 변경)와 같은 온라인 미디어 채널이 청중에게 ...

날짜: 2024년 09월 11일
Free Content
기사

노벨상 수상자 한강이 번역으로 세계를 연결하다

2024년 10월 10일 자로 스웨덴 아카데미는 2024년 12월 10일에 저명한 한국 작가 한강에게 노벨 문학상을 수여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 상은 현재까지 117회 수여되었지만,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 출신 여성이 수상한 것은 이번이 최초입니다.   노벨위원회는 "역사적 트라우마에 맞서고 인간의 삶의 연약함을 드러내는 강렬한 시적 산문"으로 그녀에게 이 상을 수여했으며, 그녀가 자신의 작품에서 탐구하는 테마의 보편적 매력을 인정했습니 ...

날짜: 2024년 12월 09일
Free Content
기사

주석이 달린 참고문헌: 주석이 달린 참고문헌의 정의와 서식화 방법?

문학, 언어학, 미디어학 등의 분야에서의 연구자라면, "주석이 달린 참고문헌"에 대한 요구 사항을 접하실 수 있습니다. 이러한 분야에서 주석이 달린 참고문헌은 독자를 참조한 출처와 연결하는 데 귀중한 도구입니다. 그런 연유에서 주석이 달린 참고문헌에 대한 소개를 한 자리에 모아놨습니다.  주석이 달린 참고문헌이란?  주석이 달린 참고문헌에는 출처 목록뿐만 아니라 각 출처에 대한 평가와 설명 견해가 포함되었다는 점에서 일반 참고문헌과는 ...

날짜: 2024년 12월 13일
Free Content
기사

논문 주제문(Thesis Statement)은 어떻게 작성하나요?

학술 논문를 작성할 때는 집중력을 유지하고 일관된 방향이 아닌 옆 길로 새는 글의 산만함을 피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 논문 주제문을 작성해놓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논문 주제문을 미리 작성해놓으면,   글의 초점을 놓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글의 일관성에 방해가 되는 관련 없는 정보를 제거할 수 있습니다.   논문 구성을 체계적이고 중요한 구조를 따라가며 길을 잃지 않습니다.   글의 핵심 주장을 독자가 이해하기 쉽도록 도와줍니다.    논문 주 ...

날짜: 2024년 12월 19일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