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here

Results 341 - 350 of 351

검색결과

Free Content
기사

국제신장학회저널 (Kidney International) 가이드라인에 맞춘 그래픽 초록 제작법

논문을 시각적으로 요약하는 그래픽 초록은 연구의 핵심 메시지, 가장 중요한 내용을 독자에게 ‘한눈에’ 빠르고 효과적으로 전달합니다. 보통 학술 논문에 첨부되어 연구의 주요 발견은 무엇인지, 해당 연구는 왜 중요한지 등 연구에 관한 중요한 질문에 대한 답을 제공하죠.  이번 아티클에서는 국제신장학회저널(Kidney International) 의 가이드라인을 바탕으로 그래픽 초록을 만드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전문가에게 그래픽 초록 제작 의뢰하기     저 ...

날짜: 2025년 05월 29일
Free Content
전문가

[신진 연구자 에디티지 장학금 수상자 01] 유성펜으로 종이 위 유체를 조종하는 이도환 교수

이도환 교수 Language Korean- '2024년 에디티지 장학금' 프로그램에서 1위를 수상하신 광운대학교 이도환 교수님이 어떻게 종이 위에서 유체 흐름을 조종하는 스마트 페이퍼를 개발하게 되었는지, 인터뷰했습니다. 2024 년, 에디티지는 신진 연구자 여러분이 연구 커리어 초기의 어려운 연구 환경을 효과적으로 헤쳐나갈 수 있도록 돕고자 ‘에디티지 장학금’ 프로그램을 진행했습니다. 그리고 대망의 1등에는 ‘현장 진단 장치의 재정의 ...

날짜: 2025년 03월 28일
Free Content
기사

인포그래픽으로 보여준다면? 생물의학 연구에서 시각적 커뮤니케이션의 역할

“제2형 당뇨병은 말초 조직에서 포도당 흡수 장애와 간에서의 포도당 생산 조절 장애로 인해 발생하는 인슐린 저항성, 상대적 인슐린 결핍, 고혈당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 대사 이상입니다.” 생물의학 분야 전문가는 이 문장을 완벽히 이해할 수 있을 겁니다. 하지만 그 밖의 분야에 있는 사람들에게는 이해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게 참 어려운 부분이죠. 중요한 과학적 사실은 종종 어려운 전문 용어들이나 기술적 언어로 인해 접근하기 어렵습니다. 이렇듯 중요한 연 ...

날짜: 2025년 06월 12일
Free Content
기사

연구를 내러티브로 – 생물의학 연구에서 스토리텔링의 힘

2012년,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을 앓고 있던 7살짜리 소녀 에밀리 화이트헤드(Emily Whitehead) 는 수차례의 항암화학요법을 시도했지만 모두 실패하고 남은 방법이 없는 상태였습니다. 에밀리과 가족은 실험적인 치료법인 CAR-T 세포 치료를 시도하겠다는 용감한 결정을 내렸죠. 에밀리는 해당 치료를 받은 최초의 어린이였습니다. 그리고 치료는 기적적으로 성공했습니다! 에밀리의 암은 관해되었고, 에밀리의 회복 사례는 많은 이에게 희망을 주었으며 대중 ...

날짜: 2025년 06월 19일
Free Content
기사

논문 디펜스 성공기 – 의학박사 논문 통과에 이르기까지의 여정

이 글은 내과 의학박사(MD) 논문을 제출하기까지의 여정을 기록한 것입니다. 저는 방글라데시 치타공(Chittagong)에 있는 대학에서 학위를 취득했습니다. 이 대학은 2001년부터 의과 교육을 제공하기 시작했으며, 저는 2005년에 입학했습니다. 당시의 MD 과정은 초기 단계였기 때문에 교육 시스템과 인프라가 아직 완전히 정착하지 않은 상태였습니다. 당시에는 MD 학위를 취득하는 데 보통 5년이 걸렸으며, 마지막 2년은 연구를 바탕으로 논문을 작성해 ...

날짜: 2025년 06월 19일
Free Content
기사

오픈 액세스 연구에 그래픽 초록이 미치는 영향

오픈 액세스 논문은 연구자, 정책 입안자, 실무자, 일반 대중 사이에서 지식 전달을 촉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지만, 더 넓은 독자층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서는 텍스트 이상의 창의적인 방법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그래픽 초록 은 학계와 일반 독자 사이의 다리 역할을 합니다. 연구 결과를 정확히 이해하고 그것이 현실 세계에 반영되도록 돕죠. 오늘날의 세상은 시각적 요소가 지배적이라는 데 큰 이견은 없을 겁니다. 시각적 요소는 이목을 집중시키고 복잡한 정보를 ...

날짜: 2025년 06월 12일
Free Content
기사

AI가 하지 못하는 것 – 학술 출판에서 인간의 통찰력이 왜 중요한가

예상대로 AI는 놀라운 속도로 다양한 산업과 워크플로에 통합되고 있습니다. 학술 출판계도 예외는 아니죠. AI 기반 시스템은 단 몇 분 만에 연구 논문을 스캔하여 잠재적으로 의심스러운 데이터를 놀라운 정확도로 발견합니다. 다양한 요구 사항에 따라 맞춤형으로 시스템을 설계할 수도 있죠. 이렇듯 시스템의 효율성은 놀랍고 능력도 무한해 보입니다. 그런데 이것만으로도 충분한 걸까요? 단순히 연구 논문의 데이터 강건성(robustness)을 평가할 수 있는 것만 ...

날짜: 2025년 06월 27일
Free Content
기사

에디티지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2025년 정기학술대회’에 가다!

2025년 6월 25일부터 27일까지 부산 벡스코(BEXCO)에서는 ‘Academy-Industry Convergence: Driving Future Innovations’ 라는 주제로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2025년 정기학술대회 및 국제심포지엄(KMB 2025) 이 개최되었는데요. 이번에도 에디티지 는 연구자 여러분을 만나기 위해 부산으로 달려갔습니다!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는 1973년 한국산업미생물학회로 창립한 후 오늘날 미생물·생명공학 분야 ...

날짜: 2025년 07월 04일
Free Content
기사

효과적인 동영상 초록 만드는 방법

그래픽 초록 은 이미 학술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죠. 그렇다면 동영상 초록(비디오 초록)도 들어보신 적 있나요? 동영상 초록 역시 그래픽 초록과 마찬가지로 다양한 연구 분야에서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동영상 초록은 기본적으로 특정 주제에 관해 2~3분에 걸쳐 동영상으로 전달하는 형태인데요. 애니메이션, 모션 그래픽, 오디오 등을 활용해 최소한의 텍스트로 논문 내용을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동영상 초록은 연구 논문의 전체 내용을 눈길을 사로잡 ...

날짜: 2025년 07월 17일
Free Content
기사

예술은 어떻게 과학 커뮤니케이션의 파급력을 확대하는가

“ 예술은 말로는 표현할 수 없는 세상을 보는 방식이다.” – 장 뤽 고다르(Jean-Luc Godard)   과학은 고등 교육을 받은 전문가만을 위한 배타적인 영역 으로 인식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과학계 밖에도 과학을 이해하고 과학적 증거에 관심을 두는 사람이 많지만, 과학 지식이 많은 이의 삶에 가져줄 가치를 인정하지 않는 사람도 여전히 많죠. 과학 커뮤니케이션은 과학을 더 투명하게 만들고, 일반 대중에 지식을 전달하며, 정책 입안자에 인사이트를 제 ...

날짜: 2025년 07월 18일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