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here
검색결과
박사 과정을 시작하기 전에 가족들에게 알려주어야 할 사항
얼마전 저는 이모와 일상에 관한 대화를 나누다가, 하루가 좀 편안했고 연구실 작업이 많지 않다고 말했습니다. 이에 대한 이모의 답변에 저는 어리둥절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어차피 박사과정은 일이 많지 않잖아? 그러니 마음이 편한 날이 많을 수밖에 없지.” 이모는 회계사이고, 업계에서 능력도 인정받는 유능한 사람입니다. 이모뿐 아니라, 제 가족구성원 대부분은 고학력을 요구하는 전문직에 종사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과학 분야의 박사 학위에 관해서는 고등 교육 ...
대학원생의 낮은 자기효능감에 대처하는 방법
[편집 노트] 전 세계 사람들이 사랑에 대해서 이야기하는 시간, 밸런타인데이가 다가왔습니다. 에디티지 인사이트는 연구자로서 자신을 사랑하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하고 싶습니다. 연구자 쿠비 님은 자신의 대학원 생활을 바탕으로 연구자들이 느끼기 쉬운 우울감, 그리고 스스로 어떤 성공이나 성취를 할 자격이 없는 ‘가면을 쓴 사기꾼’이라고 여기는 가면 증후군(Imposter Syndrome)에서 벗어나 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매일의 습관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
ChatGPT 활용에 대해 연구자가 알아야 할 4 가지 중요한 질문
2022 년 11 월 Open AI 가 개발한 ChatGPT(Chat Generative Pre-trained Transformer, 사전 학습형 문장 생성 변환기) 의 챗봇 출시 당시만 해도 학계 로 부터 많은 주목을 받지 못했습 니다. 하지만, 이 고급 인공 지능 (AI) 모델은 몇 주 후 질문 에 대한 다양한 자연어 처리 작업, 예를 들면 고객 문의에 답변을 하거나 소셜 미디어 게시물 작성, 연구 논문을 작성하는 등의 작업 수행 에서 광범위한 유용 ...
[여성의 날 특집] 여성 과학자의 특별한 기쁨과 슬픔, 그리고 당신에게 전하고 싶은 말- 4명의 여성 과학자 이야기
여성의 날을 맞아, 모든 여성 연구자, 과학자 여러분들에게 축하를 보냅니다! 세계의 여성들에게 용기와 영감을 주는 날인 세계 여성의 날을 맞아, 에디티지 인사이트는 과학을 사랑하고, 연구하는 한국의 여성 연구자, 그리고 연구를 바탕으로 산업 분야에서 활동 중인 여성들에게 물었습니다. 왜 /어떻게 과학을 사랑하게 되었나요? 여성 과학자로서 특별한 기쁨 또는 슬픔이 있을까요? 여성 연구자로서 후배 여성 연구자에게 하고 싶은 말, 조언 한 가지를 나누어 ...
저는 일 년 내내 “No”라고 거절했고, 정말 멋진 결과를 가져왔습니다
의도한 것은 아닙니다. 그저 그럴 수밖에 없는 상황에 놓여있었던 거죠. 한두 달 전, 몇 가지 새로운 일을 시작하려 할 때였습니다. 제가 일 년 넘게, 아이가 태어나기 전 부터, 새로운 일이나 추가 일을 피해 왔다는 사실을 깨달았습니다. 수많은 추가 업무를 요청 받는 많은 여성과 잘 드러나지 않는 사람들이 자주 듣는 조언이 있습니다. " 거절하는 법을 익히세요 ". 경력 발전에 도움이 되지 않는 일에 시간을 낭비 ...
트랜스젠더 박사과정 학생의 하루
[편집자 주] 매년 3월 31일, “트랜스젠더 가시화의 날”입니다. 이 날을 맞아 트랜스젠더 연구자/대학원생의 삶을 담은 스토리를 만나보시기 바랍니다. * 이 글의 작성자인 Bask Biology는 남부 캘리포니아의 박사과정 1학년 학생의 가명입니다. Bask는 생물학 박사 학위 중이며, DNA 복원을 세부전공으로 희망하고 있습니다. 또한 후성유전학, 유전 조건, LGBTQ+ 권리에도 열정을 가지고 있습니다. 논바이너리 학생으로, 대학원 생활 외에 파 ...
연구자들이 정책 입안자와 협업이 필요한 이유와 방법: 마르타 풀리도 박사와의 인터뷰 (1부)
Interview with Marta Pulido: Why and how researchers should collaborate with policymakers (Part 1) evidence-based policy planning science communication 경력개발 career choices after PhD networking skills for researchers communicating research 네트워킹 과학커뮤니케이션 연구 ...
[학계 밖 경력 탐색 시리즈 04] 전문성과 확장성을 동시에 추구하는 융합적 투자자, 바이오헬스케어 전문 투자심사역(VC) 곽용도 박사 (Ph.D.) 인터뷰
곽용도 / 바이오헬스케어 전문 투자심사역, 유안타인베스트먼트 Language Korean 곽용도 박사님 (Ph.D.)은 뇌질환과 생체리듬 간의 분자적 연결고리 연구로 박사학위를 마치고 산업계에서 다양한 뇌질환의 신약개발 연구를 하다가, 현재는 학계와 산업계의 경험을 바탕으로 투자업계에서 바이오 헬스케어 전문 벤처캐피탈리스트(Venture Capitalist)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과학적 전문성에 뿌리를 두고 다양한 영역으로 가지를 확장해 나가고 있습니다 ...
연구자들이 정책 입안자와 협업이 필요한 이유와 방법: 마르타 풀리도 박사와의 인터뷰 (2부)
Interview with Marta Pulido: Why and how researchers should collaborate with policymakers (Part 2) evidence-based policy planning science communication 경력개발 career choices after PhD networking skills for researchers communicating research 과학커뮤니케이션 연구자커리어 ...
트랜스젠더, 대학원에서의 기억
* [편집자 주] 이 글을 필자의 요청으로 익명으로 발행되었습니다. 저는 대학원에 입학을 한 후에야 비로소 트랜스젠더로, 논바이너리로 정체화를 하고, 조교비와 장학금을 긁어 모아 의료적인 트랜지션을 진행하였습니다. 때문에 대학원 생활의 절반 가량은 꽤나 빈곤했습니다. 바꿀 때가 한참은 지난 구형 휴대전화를 최저요금제로 써 가며, 식비를 아끼고 취미를 없애가며 극단적으로 허리를 졸라맨 생활을 몇 년 간 유지했습니다. 그 기간 동안은 거의 학교에 살면서 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