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here
검색결과
[업스킬 프로젝트] 체계적 문헌고찰 체계적으로 이해하기
편집 노트: [연구자 업스킬 프로젝트] 시리즈 는 연구 스킬을 조금 더 업하고 싶은 연구자 여러분에게 꼭 도움이 될 온라인 강의를 하나씩 소개해 드립니다. 체계적 문헌고찰 (systematic review) 이 정확히 뭔지 혼란스러워요! 체계적 문헌고찰 (systematic review) 에 관한 정보를 찾고 계시나요? 체계적 고찰이 무엇인지도 혼란스럽고, 어떻게 작성해야 할지는 더더욱 막막하신가요? 저널은 주로 6가지 종류의 논문 을 출판하는데 ...
어떻게 하면 여성들이 학문적 목표를 더 잘 추구할 수 있을까요?- 학계 여성 5인의 이야기
학계에서 여성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긴 하지만, 성 격차는 여전히 중요한 문제입니다. 여성은 흔히 더 많은 책임을 떠맡고, 다양한 역할 사이에서 줄타기를 해야 합니다. 이 때문에 학문적 목표를 계속 추구하는 것이 어려워집니다. 여성들이 학문적 목표를 추구할 수 있도록 하는 데 필요한 한 가지 변화는 무엇일까요? 이 질문을 다섯 명의 뛰어난 여성들에게 던져 보았습니다. 그들의 통찰력 있고 흥미로운 관점을 소개합니다. 유피타 드위 친타 (Yufita Dwi ...
팬데믹 시대의 재택근무: 엄마 연구자 3명의 이야기
코로나 19 가 전 세계를 강타하면서 우리가 겪은 엄청난 변화 중 하나는 많은 사람들이 재택 근무를 시작한 것입니다. 이런 생활 양식의 변화를 환영하는 사람들 (저 포함) 이 있는 반면, 이 새로운 정상 ‘ 뉴 노멀 ’ 에 적응하는 것을 힘겨워 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그 가운데 팬데믹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은 사람들은 누구일까요? 우리 모두가 인지하다시피, 자녀 양육이나 가사를 돌보는 책임은 여전히 세계 어디서나 남자보다 주로 여자에게 지워져 있습니다 ...
여성 과학자들에게 공평한 경쟁의 장을: 이공계 여성을 괴롭히는 4가지 문제
유네스코 통계연구소 (UIS) 최근 추산에 따르면 전 세계 연구자 세 명 중 여성은 한 명 뿐입니다. 세계의 과학, 기술, 엔지니어링, 수학 (STEM) 연구는 여전히 남성이 지배하고 있습니다. 이 끈질긴 성 불균형 문제는 특히 엔지니어링과 컴퓨터 공학 분야에서 두드러집니다. 과학계에 만연한 “ 새는 송수관 현상 (leaky pipeline)” 은 학사 및 석사 과정에서는 남녀 비율이 균등한데도, 박사과정, 박사후과정으로 갈수록 점점 여성 비율이 줄어드 ...
학술회의에서의 성공적인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5가지 팁
“당신의 인맥은 당신의 순자산입니다." - Porter Gale 국내외 수많은 학술회의가 가상공간으로 전환되었다 해도 학회 참석의 중요성에는 변함이 없습니다. 학계의 연구자 및 영향력 있는 인사들과 교류하고, 인맥을 형성하는 매우 중요한 기회를 제공해 줍니다. 또한, 학계 관계자와의 네트워킹을 통해 취업 기회 모색과 논문 발표를 통해 여러분의 경력도 개발할 수도 있고, 학회 참관은 통찰력 및 네트워크 강화에도 도움됩니다. 앞으로 소개해 드릴 팁 ...
온라인 학술 컨퍼런스 백배 활용하기
코로나19 팬데믹은 우리의 삶 면면에 많은 영향을 미쳤습니다. 일상 뿐 아니라 업무의 많은 부분이 원격작업 또는 재택근무 등 비대면으로 전환되었지요. 학술계에서는 연례행사로 개최되었던 크고 작은 학술 세미나와 컨퍼런스가 취소되거나 온라인으로 전환되었습니다. 전환 초기에는 다소 어수선하게 준비되고 진행되었던 온라인 행사들이, 그간 짧게나마 쌓인 운영 노하우들을 토대로 이제는 좀 더 자리를 잡아가는 모습입니다. 참석자들도 스크린을 통해 연사의 발표를 듣고, ...
[연구 웹툰] 졸업 논문 디펜스 맛보기 – 경험담과 팁
학위 논문 디펜스 시즌을 앞두고, 많은 대학원생과 연구자 여러분들이 심사와 디펜스를 어떻게 준비해야 할지, 긴장된 마음이실 겁니다! 여기 미리 학위 논문 디펜스를 준비하고 경험하며, ‘ 디펜스 ’ 의 진짜 의미와 준비 팁을 나누어 주신 지노지노 연구자 님의 웹툰을 공유드립니다. * 이 콘텐츠는 저자의 블로그 미국박사생활, 지노다이어리 에 실렸던 콘텐츠를 재가공하여, 저자의 허락을 받고 발행하였습니다. + 본심사 디펜스 준비 팁! 지노 연구자 님의 ...
여러분의 연구를 위한 완벽한 엘리베이터 피치 법
당신을 완전히 매료시킨 연구를 수행한 한 교수님을 학술 컨퍼런스에서 마주쳤습니다. 필사적으로 이 분과 이야기를 나누고 싶었지만, 말문이 막혀 그럴 수 없었던 적이 있으신가요? 걱정하지 마세요. 당신만 그런 경험을 한 것이 아닙니다. 우리들은 모두 같은 상황을 겪습니다. 경력 초기의 신진 연구자들의 경우에는 특히나 더 그렇지요. 스스로의 사회성 기술에 의지해 네트워킹을 해야 하는 상황에서 우리는 종종 당황할 수 밖에 없고, 이는 초조함과 자신감 없는 몸짓 ...
오픈 액세스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오픈 액세스 주간 2021 – Part 1
R Discovery 와 함께, 2021 년 국제 오픈 액세스 (OA) 주간을 기념하기 위해 여러분과 “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AMA)” 세션을 진행하게 되어 기쁩니다! 연구 커뮤니티의 구성원들이 저희와 공유한 오픈 액세스에 관한 질문에 답변하고자, 학계 전문가 패널들을 초대했습니다. 세션 패널은 캐롤라인 셔튼 박사 (Caroline Sutton, Taylor & Francis 오픈 리서치 이사), 부르샬리 안다와테 (Vrushali Dandaw ...
이것만은 하지 마세요!- 석사 학위 논문 디펜스에서 놓치기 쉬운 5가지
스웨덴의 룬드대학교 (Lunds Universitet, Lund University)에서 석사 논문 디펜스(master's thesis defense)를 마친 지 1년 반 정도의 시간이 지났습니다. 석사 과정 학생으로서 두 편의 학위 논문을 썼고, 두 번의 디펜스를 마쳤습니다. 졸업 후 박사 과정을 시작한 이후 참관했던 타인의 석사 혹은 박사 논문 디펜스 숫자는 훨씬 많습니다. 글을 작성하는 시점에서 2주 후에는 제 박사 프로젝트와 연구 주제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