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here
검색결과
STAP 세포에 관하여: 의혹을 통해 과학은 발전할 수 있을까?
본 기사는 2014년 3월 20일에 올려진 내용을 국문으로 번역해서 포스팅된 내용입니다. 8월 5일 공저자인 사사이 요시키(笹井芳樹·52) 일본 이화학연구소 발생·재생과학연구센터 부소장의 자살소식을 접했는데 STAP논문 파문이 확대될 것으로 보입니다. [3월 20일 기사 국문번역본] STAP 세포에 대한 최종의견을 기다리는 지금, 한 가지 사실은 분명합니다. 실험실 밖의 생명체에 대해서는 과학적 사고의 원칙이 흐트러진다는 것입니다. 증거를 수집하고 ...
세계적인 박사 붐(Ph.D Boom) 속에서 중국의 위상
오늘날 전 세계적으로 매년 가장 많은 박사를 배출하는 국가는 중국으로, 2008년부터는 미국조차도 뛰어넘는 성과를 보이고 있습니다. 영향으로 인해 멈췄던 중국의 박사후과정 프로그램이 1978년이 되어서야 재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중국이 배출하는 박사 수는 기하급수적으로 늘고 있습니다. 1978년에 중국에서 박사과정에 등록한 학생 수는 18명에 불과했지만 그 이후로 매년 평균 24%씩 늘어나 지난 10년간 기하급수적인 성장세를 보였습니다. 2002년에 중 ...
만약 어느 날 연구 데이터가 전부 날아간다면 어떤 일이 일어날까요?
만약 어느 날 연구 데이터가 전부 날아간다면 어떤 일이 일어날까요? 이는 연구자들의 가장 끔찍한 악몽이고, 운 나쁜 연구자라면 실제로 겪을 수도 있는 일이겠지요. 데이터 소실도 충격적이지만, 더 충격적인 건 일부 연구자들이 고백한 데이터 저장 방식입니다. 밴쿠버 브리티시 콜럼비아 대학교에 재직 중인 진화 환경학자 티모시 바인스(Timothy Vines)는 “논문이 발표되고 시간이 흐를수록 연구 데이터의 가용성은 줄어든다” 라는 논문을 통해, 일부 연구자 ...
문헌 읽기 습관에 관한 전문가의 조언
뛰어난 실력을 선보이고자 한다면 그 전에 갖춰야 할 몇 가지 기본기가 있습니다. 기본기는 시간을 통해 축적된 훈련과 경험에서 나옵니다. 과학 연구는 복잡한 작업이기에, 연구자들은 연구질문 선택하기, 연구 프로젝트 기획, 실험 데이터 분석, 논문 집필 등 여러 가지 기본기를 갖춰야 합니다. 또, 이런 기술과 경험을 체득하기 위해서는 숙달된 논문 및 연구 보고서 검토 능력과 훈련, 연구 과정 참여 등이 꼭 필요합니다. 그런데 이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것은, ...
어떤 표절이든 반드시 논문 게재가 철회되어야 할까?
표절은 논문 게재철회의 주된 사유 중 하나입니다. 그러나 어떤 형태의 표절이든 반드시 게재 철회로 귀결되는 것일까요? 응집물질 물리학자이며 인도 대학교 연구보조금 위원회장을 역임한 프라빈 차다 박사는 <네이처>에 기고한 글을 통해 “저널 편집자는 표절 논문에 대해 주먹구구식으로 게재를 철회하지 않고, 철회 결정 전 저자의 의도를 가늠해 보려는 결정을 해야 하지 않을까?” 라는 흥미로운 질문을 던집니다. 이 개념을 설명하기 위해 차다 박사는 ...
[설문조사] 국제 출판 가이드라인 ICMJE와 GPP2에 대해 얼마나 알고 계십니까?
최근 학술 출판에서의 부정행위와 비윤리적 행위는 우려될 만큼 늘어나고 있습니다. 미디어의 집중보도가 쏟아졌던 STAP 세포 사례 와 같은 사진 조작, SAGE의 논문 대량 철회사태 와 같은 피어 리뷰 부정심사 등이 저자, 저널, 그리고 학술 출판계 전체에 경종을 울렸습니다. 여러분은 다만 논문 통과만을 목표로 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분의 명성에 큰 해를 끼칠 수 있는 윤리적 스캔들을 막을 수 있을 정도로 출판 윤리에 대한 깊은 지식을 갖추고 있습니까? 윤 ...
국제 학술저널에 부정적인 연구결과가 잘 출판되지 않는 이유
Language Korean 오랜 시간을 들여 연구한 끝에 제 가설이 틀렸음을 알았습니다. 하지만 제 분야의 다른 연구자들에게도 도움이 될 만한 중요한 결과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 연구 결과를 출판하려 했지만 두 군데 저널에서 제 논문을 거절했습니다. 부정적인 연구결과가 긍정적인 연구결과에 비해 널리 출판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저널이 선생님의 연구를 즉각 출판하지 않았다니 안타깝습니다. 잘 알려진 바대로, 출판과 보도편향 은 과학 출판계에서 ...
저널 제목 변경 시 임팩트 팩터(Impact Factor) 계산법
Language Korean 에디 박사님. JCR의 규정에 따르면 저널이 명칭을 바꿀 때 그 해의 IF(임팩트 팩터)는 기존의 저널 제목에 할당되고 새로운 저널 제목에는 할당되지 않습니다. 명칭이 바뀐 다음 해에는 새로운 제목과 오래된 제목이 각각 다른 IF를 갖게 됩니다. 그러면 이때 각 제목마다 갖게 되는 IF는 어떻게 계산할 수 있나요? 왜 두 개의 제목이 각기 다른 IF를 갖게 되나요? 또, 제목이 바뀐 그 해의 IF는 예전 제목 하에 실린 논문 ...
[피어 리뷰] 보람없는 일인가, 학술 공동체에서의 의무인가?
피어 리뷰 시스템은 오랫동안 과학 분야 학술 출판의 근간이었습니다. 대부분의 유명 저널에서는 피어 리뷰를 출판 과정에서 일종의 품질 관리 방법으로 이용하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피어 리뷰의 과정을 잘 모르는 일반 대중들조차 논문이 출간되기 전 객관적인 검증을 거친다는 사실을 알고 있고, 이 때문에 학술 논문을 높이 평가합니다. 그러나 피어 리뷰에도 몇 가지 문제가 있습니다. 검토자의 편견, 표절, 개인적인, 혹은 직업적인 시기심 등이 그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