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here

Results 171 - 180 of 333

검색결과

Free Content
기사

젊은 연구자를 위한 오픈 액세스 출판 가이드

편집자 주: 이 기사는 본래 2016 년에 게재되었으나 2017 오픈 액세스 주간을 맞아 새로 작성되었습니다. 최근 몇 년간 오픈 액세스가 점점 더 많은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요즘은 대부분 저널과 출판사가 오픈 액세스 출판 경로를 확보하고 있고 저자들도 오픈 액세스 출판을 할 수 있는 선택권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학계에 비교적 최근에 발을 들인 젊은 저자들은 아직 오픈 액세스 출판이 무엇인지 헷갈려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오픈 액세스란 무엇이며 ...

날짜: 2018년 03월 18일
Registered Content
기사

블록체인(blockchain)이 학술 커뮤니케이션의 모습을 바꿀 수 있을까?

블록체인이 개념화된 것은 불과 십여 년 전이고 사용이 시작된 것은 몇 해 전입니다. 비록 발생 초기 단계이기는 하나 블록체인은 특히 그것을 응용한 비트코인(디지털 암호화 화폐 지급 체계)으로 인해 전 세계에 돌풍을 불러일으켰습니다. 블록체인의 주요 특징은 데이터를 분산화하고 자율 규제할 수 있다는 것이며 이는 몇몇 산업에서 응용될 수 있습니다. 과학 연구의 일부 이해 관계자는 블록체인을 채택하여 과학 연구와 학술 커뮤니케이션을 괴롭히는 문제를 상당 부분 ...

날짜: 2018년 04월 01일
Free Content
Q&A 포럼

엠바고 기간은 오픈 액세스 논문에 적용되나요? 구독형 논문에 적용되나요?

Language Korean 논문 엠바고 기간이 오픈 액세스 저널에만 적용되는 사항인가요?  아니면  구독형 논문에도 엠바고 기간   지정이   가능한가요? 엠바고는 출판 논문을 무료로 공개할 수 없게 제한해 놓은 기간입니다. 오픈 액세스 출판의 목적 자체가 논문을 무료로 이용할 수 있도록 인터넷에 공개하는 것이므로, 이상적으로는 오픈 액세스 논문에 엠바고 기간을 지정하지 않아야 합니다. 하지만 저널에 따라 구독을 해야 볼 수 있는 논문에 대해 엠바고 ...

날짜: 2018년 04월 15일
Free Content
기사

빠른 출판을 지원하는 저널과 출판사 목록

빠른 출판에 관한 이전 기사 가 나간 후, 신속한 출판을 지원하는 저널과 출판사를 찾아 아래에 목록으로 작성하였습니다. 좀 더 신속하게 출판하고자 한다면 아래 저널과 출판사 리스트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 목록에 관하여: 이 목록은 빠른 출판을 지원하는 모든 저널과 출판사에 관한 포괄적이고 전체적인 디렉터리가 아닙니다. 저널 / 출판사 웹사이트에 나와 있는 승인 및 출판 절차에 관한 기본적인 정보를 수록하였습니다. 저널 및 출판사를 선택하기 전에 ...

날짜: 2018년 04월 21일
Free Content
기사

논문 출판, 그 너머를 생각해보셨나요? 재현 가능한 연구에 관한 시각

“ 과학 출판물에 실린 논문은 학문 그 자체가 아니라 단지 학문의 광고일 뿐이다.” <Reproducible Research for Scientific Computing: Tools and Strategies for Changing the Culture> David Donoho (1998)   저는 이 문구를 정말 좋아합니다. 이 문구를 보면 저널 논문이 무엇인지에 대해 생각하게 됩니다. 출판된 논문은 끝이 아니며 논문보다 더 광범위한 실제 ...

날짜: 2018년 05월 14일
Registered Content
기사

중요한 연구 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해 실천할 수 있는 4가지 팁

최근 중국은 자국 연구자들에게 과학 데이터를 국가 리포지터리에 기탁하고 데이터 세트에 대한 오픈 액세스 허용을 의무화하는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유럽연합과 같은 지역 기구가 다음 달 데이터 보호에 관한 법률 시행을 계획하고 있는 한편, 이는 데이터 보안을 강화하려는 중국의 움직임으로 보입니다. 데이터 보안에 관한 선택이 우리 연구 생활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우연히도 이 글을 쓰는 동안 박사학위 과정에 있는 친구가 전화를 걸어 동료의 끔찍한 이야기를 들 ...

날짜: 2018년 05월 24일
Registered Content
기사

박사후과정 과학자로서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맞추는 법

많은 사람이 박사후과정 연구원으로서의 삶을 살면서 동시에 가정을 꾸리거나 주택을 구매하거나 학자금 대출을 갚는 등의 새로운 개인적인 책무를 맡습니다. 박사후과정 연구직은 일반적으로 미래의 테뉴어 트랙(tenure track) 교수직을 위한 디딤돌입니다. 이 자리는 박사학위 과정의 연장으로 보일 수 있지만, 개인적 책무와 함께 부가된 직업적 책무를 관리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신입 박사후연구원의 경우 자신의 가치를 증명하고 명성을 쌓아야 하는 필요성 ...

날짜: 2018년 06월 07일
Registered Content
기사

연구자가 반드시 피해야 할 네 가지 통계적 오류

통계학은 둘 이상의 변수 간 관계를 가늠하고 연구 질문을 평가하는 데 사용되는 도구입니다. 좀 더 깊이 들어가, 통계학과 확률, 수학, 전산학을 결합한 생물통계학(biostatistics)은 의생명 과학 분야 문제들을 해결하는 데 사용됩니다. 연구자는 생물통계학을 연구에 적용하여 신약의 효과 여부, 질병의 원인 요소, 질병에 걸린 개인의 기대 수명, 인구의 사망률(mortality)과 이환율(morbidity) 등을 분석할 수 있습니다.   통계는 생의 ...

날짜: 2018년 06월 18일
Free Content
Q&A 포럼

연구 결과를 언론에 기고하면서 동시에 논문을 저널에 제출해도 괜찮을까요?

Language Korean 연구 결과를 언론에 기고하면서 동시에 저널에 논문을 제출해도 괜찮을까요? 언론에는 초록만을 제공할 예정입니다. 연구 결과에 관한 보도를 내기 위해서 보통 저자가 언론과 직접 연락을 취하지는 않습니다. 이는 학교나 소속 기관의 규칙에 어긋날 수  도 있으며, 학자나 저자가 알지 못하는 이해관계 상충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일반적으로   연구 기관에는 연구 홍보를 담당하는 커뮤니케이션 부서가 있습니다. 가장 일반적인 ...

날짜: 2018년 06월 30일
Free Content
기사

학문적 회복탄력성 개발을 위한 일곱 가지 비밀

누군가에게 끈기와 의지를 가지고 목표를 추구하도록 격려하거나 동기를 부여하기 위해 다양한 상황에서  '회복 탄력성 (resilience)' 이라는 단어가 사용되는 것을 들어보셨을 겁니다. 회복 탄력성은 실패하더라도 역경을 극복하고 다시 일어설 수 있는 능력을 말합니다. 또는 어떤 물질이나 사물이 원래 모양대로 돌아가는 힘을 말하기도 하지요.  그런데  이러한 회복 탄력성이 학술 분야에서도 적용되는 개념이라는 사실을 알고 계셨나요? 학문 ...

날짜: 2018년 07월 12일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