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here

Results 11 - 20 of 333

검색결과

Free Content
슬라이드쉐어

오픈액세스를 통해 눈 깜짝할 사이에 전 세계로!

당신이 발표한 중요 논문을 지구 반대편에 있는 당신의 동료가 존재조차 모른다는 사실 때문에 불만을 느낀적 있나요? Language Korean 33019803 출판과 학계 이야기 오픈엑세스 논문출판 저널출판 Free Select rating Give 오픈액세스를 통해 눈 깜짝할 사이에 전 세계로! 1/5 Give 오픈액세스를 통해 눈 깜짝할 사이에 전 세계로! 2/5 Give 오픈액세스를 통해 눈 깜짝할 사이에 전 세계로! 3/5 Give 오픈액세스를 ...

날짜: 2014년 04월 22일
Free Content
기사

왜 연구평가를 위한 목적으로 저널 Impact Factor를 사용해서는 안될까요?

English 저널 영향력지수(JIF)의 설립자인 유진 가필드는 원래 저널을 선택하는데 도움되는 수단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Impact Factor를 만들었습니다. 현재 JIF는 개별적인 연구 부분이나 뛰어난 논문의 영향력을 평가하기 위해서 부적절하게 사용되곤 합니다. 이 측정지수는 이러한 남용 탓에 상당히 비판 받고 있습니다.  JIF는 특정기간 동안 저널이 받은 논문의 인용 횟수를 이용하여 얻은 단순 평균가입니다. 이전 글에서 " 임팩터 팩터 ...

날짜: 2014년 04월 25일
Free Content
기사

논문 발표에 대한 압박감

전 세계의 연구자들은 “Publish or Perish”라는 격언을 너무나 잘 알고 있습니다. 연구는 고귀하고 보람된 과정이 돼야 하지만 제한된 학술적 자원과 논문 발표에 대한 압박감이 때때로 연구 프로젝트가 완료되면서 기대치 않은 결과를 얻는 기쁨보다 더 크게 다가올 때가 있습니다. 종종 연구자들의 학술 경로는 연구를 위한 열정보다는 성공적인 논문 발표에 의해 좌우됩니다. 연구자의 이름으로 발표된 논문의 갯수가 연구의 퀄리티보다 더욱 중요하게 느껴질 ...

날짜: 2014년 05월 08일
Free Content
기사

인용통계가 연구에 미치는 영향- H인덱스

English 최근 몇 년 동안, 많은 연구 단체들은  연구의 영향력을 측정하는 지표를 개발하기 위해 독립적으로 노력해 왔습니다.  저널 Impact Factor 는 저널의 명성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잘 알려진 지표입니다. 하지만 연구자 개인의 영향력을 어떻게 측정할 수 있는가에 대한 중요한 질문에 대해서는 답을 주지 못합니다. 이런 점에서 가장 중요한 혁신 중 하나는 h-지수 (h-index)이며 이 지수는 발명한 조지 허쉬 (Jorge Hirsch) ...

날짜: 2014년 05월 12일
Free Content
Q&A 포럼

학계에 머물러야 할까요, 업계에서 일하는 것이 좋을까요?

English Language Korean 저는 박사후연구원 5년차의 박사학위 소지자입니다. 논문게재실적도 좋은 편이고, 수업경력도 2년 있습니다. 지난 일 년 간 교직원 자리를 얻으려고 애썼지만 성공하지 못했습니다. 제 경력이 학계에 남기에는 불충분한지, 업계에서 다른 직업을 찾아야 하는지 확신이 서지 않습니다. 조언을 받고 싶습니다.   종신교수의 자리를 얻는 데는 많은 시간이 걸립니다. 통계에  따르면 최근 학계의 수요에 비해 박사급 연구원들이 과 ...

날짜: 2014년 05월 16일
Free Content
기사

임팩트 팩터를 대체할 새로운 연구 영향력 척도

저널 임팩트 팩터, h-인덱스 등 학술적 영향력에 대한 기존 척도들은 모든 연구자들에게 익숙할 것입니다. 그러나 인기에도 불구하고 인용횟수에 기반한 출판통계분석은 여러 가지 이유로 비판을 받고 있는데, 인문학 등 분야에서는 연구 영향력을 적절히 측정하기 힘들다는 이유 등입니다. 학술문헌의 온라인 출판이 늘어남에 따라 연구의 영향력은 형식적인 인용 이상으로 확장되었습니다. 학술출판은 과학 블로그, SNS, 온라인 토론 포럼 등을 통해 사용되고 의견이 오가 ...

날짜: 2014년 06월 02일
Free Content
기사

과학 분야에서 일본의 위상 변화

English 오늘날 학술 출판 업계가 아시아-태평양 지역을 주시하고 있다는 데는 의심의 여지가 없습니다. 그리고 이 사실은 놀라울 것이 없습니다. 이 지역이 내놓은 연구산출물은 지난 몇 년간 크게 증가했고, 이 때문에 과학계의 변화의 중심이었기 때문입니다. 인도와 중국에서의 저널 투고는 급격히 증가했으며, 일본이 중국을 바짝 따라잡고 있는 지금,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역학이 변하고 있습니다. 우선 팩트를 살펴봅시다. 2012년 네이처 출판 인덱스(NP ...

날짜: 2014년 07월 04일
Free Content
기사

기업에서 연구를 지원하는 이유

지난번에는 정부기관, 비정부기관의 연구비 지원에 대해 이야기했습니다. 오늘은 다른 형태의 지원에 대해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바로 기업의 연구 지원입니다. 최근에는 연구비 지원에 주도적인 기업들이 늘었습니다. 기업 회계의 이득과 손실만을 따지는 것이 아니라, 사회와 환경에 대한 관심 또한 기업 이념에 포함되는 추세이기 때문입니다. 이 “트리플 바텀 라인triple bottom line”이라는 개념은 연구 등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목표들을 지원하고 있습니 ...

날짜: 2014년 07월 07일
Free Content
기사

중동의 학계혁신

최근 중동에서 생겨난 변화의 배경 가운데는 또 다른 사회적 변화에 대한 요구가 있습니다. 바로 변화를 추진하고자 하는 요구입니다. 정부, 투자자, 대학들은 과학/기술분야 혁신을 일으키고자 연구비, 그리고 학계와 업계 간의 네트워킹을 증진시키기 시작했습니다. 그러나 연구자들은 이러한 연구비 정책이 실현되기까지 기다릴 수가 없을 것입니다. 오히려 중동의 연구자들은 이 지역에서 끈질기게 스스로 연구의 돌파구를 기획하는 과학자들이 택하는 기업가의 발자취를 따를 ...

날짜: 2014년 07월 09일
Free Content
기사

오픈 엑세스 출판에 대한 학계의 생각

오픈 엑세스(OA) 출판과 피어 리뷰, 사용권 계약, 재사용, 지표 등 관련 주제에 대해 학계에서는 어떻게 생각하는지 궁금하지 않습니까? 얼마 전 테일러&프랜시스 저널이 모회사 인포마(Informa)와 함께 한 조사에 관해 알게 되었습니다. 조사 결과는 여기 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조사 결과가 방대하기 때문에 이 포스팅을 통해 몇 가지 주요 내용만 요약해 보려고 합니다. 이 중 일부는 Scholarly Kitchen 블로그 에서도 읽을 수 있습 ...

날짜: 2014년 08월 05일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