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here

Results 651 - 660 of 661

검색결과

Free Content
기사

국제신장학회저널 (Kidney International) 가이드라인에 맞춘 그래픽 초록 제작법

논문을 시각적으로 요약하는 그래픽 초록은 연구의 핵심 메시지, 가장 중요한 내용을 독자에게 ‘한눈에’ 빠르고 효과적으로 전달합니다. 보통 학술 논문에 첨부되어 연구의 주요 발견은 무엇인지, 해당 연구는 왜 중요한지 등 연구에 관한 중요한 질문에 대한 답을 제공하죠.  이번 아티클에서는 국제신장학회저널(Kidney International) 의 가이드라인을 바탕으로 그래픽 초록을 만드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전문가에게 그래픽 초록 제작 의뢰하기     저 ...

날짜: 2025년 05월 29일
Free Content
기사

네이처(Nature) 투고용 그래픽 초록 제작법

웹 기술의 시대, 과학 논문을 새롭고 혁신적인 방법으로 독자에게 제시하는 것은 과학 출판사의 주목표 중 하나입니다. 그래픽 초록은 이를 실현하는 훌륭한 방법이죠.   고품질의 일러스트 전문가에게 요청하기   그래픽 초록과 네이처 케미스트리 2011년 8월 네이처 케미스트리(Nature Chemistry) 에 게재된 논문 ‘The art of abstract’ 에 따르면, 적어도 화학 부문 저널에서는 그래픽 초록이 꽤 오래전부터 활용되어 왔습니다. 해당 ...

날짜: 2025년 06월 05일
Free Content
기사

출판 후 피어리뷰 – 출판을 넘어, 연구 진실성을 향해

연구 논문의 여정은 출판과 함께 끝나는 걸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새로운 단계, 출판 후 피어리뷰(post-publication peer review, PPPR)의 시작이죠. 이 단계에서는 더 넓은 연구 커뮤니티가 참여해 토론하고 추가 검토를 진행합니다. 전통적인 피어리뷰가 여전히 표준이기는 하나, 출판 후 피어리뷰는 여러 긍정적 평가와 함께 점점 더 인정받고 있습니다. 우선, 대개 피드백이 빠릅니다. 또한, 대체로 공개되어 있기 때문에 다양한 배경의 ...

날짜: 2025년 06월 19일
Free Content
기사

AI가 하지 못하는 것 – 학술 출판에서 인간의 통찰력이 왜 중요한가

예상대로 AI는 놀라운 속도로 다양한 산업과 워크플로에 통합되고 있습니다. 학술 출판계도 예외는 아니죠. AI 기반 시스템은 단 몇 분 만에 연구 논문을 스캔하여 잠재적으로 의심스러운 데이터를 놀라운 정확도로 발견합니다. 다양한 요구 사항에 따라 맞춤형으로 시스템을 설계할 수도 있죠. 이렇듯 시스템의 효율성은 놀랍고 능력도 무한해 보입니다. 그런데 이것만으로도 충분한 걸까요? 단순히 연구 논문의 데이터 강건성(robustness)을 평가할 수 있는 것만 ...

날짜: 2025년 06월 27일
Free Content
기사

논문은 오픈 액세스가 되어야 할까요? 학술 커뮤니티의 의견을 들어봤습니다

2024년 국제 오픈 액세스 주간(International Open Access Week)에 이루어진 논의 중 하나는, 석사 및 박사 학위 논문이 오픈 액세스를 통해 대중에 널리 공유되고 있는 현황에 관한 것이었습니다. 지난 20년간 석사, 박사 학위 논문을 전자 출판하고 공개하는 것이 일반화되어 왔습니다. 물론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지만, 책이나 음악처럼 출판된 여타 창작물과 달리 사용료는 없죠. 실제로 오픈 액세스와 비(非)오픈 액세스의 유일한 차이점 ...

날짜: 2025년 06월 27일
Free Content
기사

하이임팩트 저널에 논문 게재하기 위한 팁

솔직히, 학문적 여정을 시작하면서 하이임팩트 저널에 논문을 게재하는 것을 꿈꾸지 않았나요? 못 할 것 없죠! 연구가 주목을 얻을 때 받는 인정과 존경은 그 무엇과도 비교할 수 없을 겁니다. 하지만 이 여정에는 전략과 노력, 인내가 필요합니다. 하이임팩트 저널에 논문을 게재하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할지 알아봅니다.   1. 적합한 저널 선택 모든 것은 적합한 저널 선택에서 시작합니다. 연구 내용이 저널의 범위와 맞지 않으면 데스크 리젝(desk rejec ...

날짜: 2025년 07월 03일
Free Content
기사

그래픽 초록 직접 만드는 방법- 3단계만 따라 하세요!

이미 많은 과학 저널이 논문 게재 시 그래픽 초록을 요구하고 있죠. 다른 저널들도 독자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옵션으로 그래픽 초록을 제안하고 있습니다. 과학 커뮤니케이션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해지면서 그래픽 초록과 일러스트는 연구자들을 위한 강력한 도구가 되고 있죠. 그러나 아타나소프(Atanasov)와 공동 연구진의 연구 에 따르면, 그래픽 초록 제작 시 일부 요소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부정적인 결과를 낳을 수도 있습니다.     더 나은 과학 ...

날짜: 2025년 07월 03일
Free Content
기사

[무료 핸드북 다운로드] 그래픽 초록, 어디부터 시작해서 어떻게 그려야 할까?

그래픽 초록은 연구의 핵심적인 요소와 결과를 시각적 형식으로 전달하여 독자가 연구의 본질을 쉽게 이해하도록 돕는 초록의 형태입니다. 요약의 기능은 물론, 주요 내용을 강조하는 기능도 함께 수행하죠. 잘 만들어진 그래픽 초록은 연구와 독자 사이에서 다리 역할을 하면서 독자의 연구 이해도를 높일 뿐 아니라, 매일 수천 편씩 출판되는 논문의 바다 속에서 내 연구가 돋보일 수 있도록 도우며, 오늘날과 같은 디지털 시대에서 더 넓은 독자층에게 내 연구가 공유되는 ...

날짜: 2025년 07월 10일
Free Content
기사

자기 표절(self-plagiarism)의 정의와 이를 피하는 방법

표절은 타인의 작업물을 자신의 것으로 주장하는 행위입니다. 학술 출판의 경우, 타인의 작업물이란 보통 타인이 작성한 글의 일부, 그림, 사진, 방정식 등이 해당하지요. 자기 표절(self-plagiarism)이란, 과거에 자신이 도출한 자료를 인지하지 못한 채 혹은 의도적으로 새로운 것이라며 다시금 주장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자기 표절 사례 예를 들어서, 과거에 개발한 실험 절차를 이미 논문에 기재하여 출판한 적이 있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이번 연 ...

날짜: 2025년 07월 10일
Free Content
기사

과학적 시각화는 연구 영향력을 어떻게 높이는가

과학적 시각화(scientific visualization)란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우주에서 지구를 관측하는 수십 대의 위성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 위성들은 기후 변화부터 기상 예보, 재난 관리, 자원 탐사 등 다양한 분야의 데이터를 모니터링하고 전송하죠. 이 위성들 중 두 대에는 중간 해상도 영상 분광계(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MODIS)라는 장비가 탑재되어 있는데요. MODIS는 ...

날짜: 2025년 07월 10일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