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here
검색결과
Publons 의 시스템이 피어 리뷰가 나아갈 길일까?
피어리뷰는 출판될 가치가 있는 과학 논문을 선택할 때 가장 효율적인 방법으로 꼽히지만, 역설적이게도 리뷰어들의 공로가 인정받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노력에 대해 인정이나 보상을 받지 못하는 피어리뷰가 힘들기만 하고 보람없는 일인지 또는 학계에 대한 의무인지 의문을 품는 리뷰어들도 많습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직 학자인 앤드류 프레스턴과 대니얼 존스턴은 오픈 엑세스 피어 리뷰 플랫폼인 Publons 를 만들었습니다. 2013년 설립된 P ...
저널의 표절 검사를 통과하기 위해 논문의 어떤 부분을 더 수정해야 할까요?
Language Korean SCI 저널에 논문을 투고했는데, 표절 검사에서 표절률이 19%로 나와 거절당했습니다. 이후 최대한 수정했는데, 저널의 표절 검사를 통과하기 위해서 어떤 부분을 더 수정해야 할까요? 질문자님의 고민이 이해 됩니다. 영어가 모국어가 아닌 연구자가 영어 텍스트를 자신의 말로 새롭게 표현하려면 어려운 점이 많지요. 논문 표절 검사 이후 논문을 수정했으니, 분명 표절률이 낮아졌을 것입니다. 그래도 불안하시다면, 논문 표절 검사를 제 ...
주저자(lead author)와 공동저자(co-author)는 무슨 의미인가요?
Language Korean 논문의 주저자(lead author)가 되기 위해서는 어떤 요건을 갖추어야 하나요? 공동저자(co-author)란 무엇입니까? 이 두 가지 용어들이 정확히 어떤 뜻인지 알고 싶습니다. 여러 명의 저자가 존재하는 연구 논문에서, 한 명의 저자가 주저자를 맡게 됩니다. 주저자(lead author)의 요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원고 전체에 대한 책임을 맡을 것 주로 교신저자(corresponding author), 즉 다른 저자들 ...
논문 투고 이후에 논문의 오류를 수정할 수 있을까요?
Language Korean 원고를 수정해서 다시 제출했는데, 제출 후에야 원고에 실수가 있다는 점을 알아차렸습니다. 한 문장을 다시 수정하고 싶습니다. 제 논문이 승인될지 여부는 알 수 없는데, 이 오류를 고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조언 부탁 드립니다. 저널 투고 시스템 중에는 투고한 파일을 수정할 수 있는 기능이 있는 곳도 있습니다. 접수 페이지에 들어가 접수 번호를 클릭해 보십시오. 바로 수정할 수 있거나, 아니면 기존 파일을 수정한 파일로 ...
피어 리뷰 조작: 저자들이 피어 리뷰어를 추천하는 관례는 계속되어야 할까?
최근 < 효소 억제 및 의료화학 저널 (The Journal of Enzyme Inhibition and Medicinal Chemistry)> 그리고 < 바이오메드 센트럴 (BioMed Central)> 저널의 저자들이 논문 출판을 위해 피어 리뷰 시스템을 조작한 사건이 발생해 피어 리뷰 조작이 과학출판계의 이슈로 떠올랐습니다. 피어 리뷰는 과학 출판물의 품질 관리를 보장하는 시스템이라는 신뢰 하에 여러 명망 높은 저널에서 채택하 ...
[논문컨설팅] 논문을 다른 저널에 투고하는 경우 피어 리뷰어가 동일인일 수도 있습니까?
Language Korean 거절당한 논문을 다른 저널에 투고했습니다. 그런데 새로운 저널의 피어리뷰어가 제기한 질문이, 처음 투고했던 저널의 피어리뷰어가 한 질문과 똑같습니다. 그렇다면 같은 피어리뷰어가 제 논문을 검토한 것입니까? 제 논문이 또 거절당하게 될까요? [논문컨설팅] 같은 피어리뷰어가 질문자 님의 논문을 검토했을 수도 있습니다. 특정 주제에 대한 논문을 몇 명의 특정 리뷰어가 전담하는 경우들이 있기에, 두 번째 투고 저널에서 동일인에게 질 ...
공동저자가 아닌 사람이 논문 수정에 도움을 줄 수 있을까?
Language Korean 저는 영어 원어민 사용자가 아니며 이번에 첫 논문을 썼습니다. 제 논문은 상당한 수정 요청을 받은 조건부 승인 상태인데, 권장한 수정 사항이 대부분 언어에 대한 문제입니다. 공동저자는 아니지만 영어 교정에 도움을 줄 수 있을 만한 사람의 도움을 받아도 좋을까요? 논문을 수정할 때 언어 교정을 받는다 해도 아무 문제가 없습니다. 사실, 언어 교정을 통해 논문의 품질이 향상되고, 독자들이 내용을 이해할 수 있는 가독성 또한 높아 ...
[저널투고규정] 실험을 수행할 때 준수해야 하는 가이드라인은 무엇입니까?
Language Korean 저널 편집자가 저에게 이런 의견을 보냈습니다. “연구에서 수행한 모든 실험이 모든 필수 가이드라인을 준수했음을 표시해 주시겠습니까? 상세 기술 바랍니다.” 저는 어떤 답변을 보내야 하나요? 여기서 ‘가이드라인’ 이란 무엇을 의미하나요? 이 질문에 답변을 드리기 위해서는 질문자님의 연구 분야, 논문 주제, 그리고 연구에서 수행한 실험의 종류를 알아야 합니다. 기본적으로 논문 작성 시에는 수행된 실험이 필수 가이드라인을 준수했음 ...
[논문투고 컨설팅] 임팩트 팩터가 높은 저널에 투고하기 위해 논문 투고를 철회하는 사례
논문투고 컨설팅/ 사례: 저자가 <에디티지>를 통해 논문 교정을 받으면서 적절한 저널 선택을 도와주기를 요청했습니다. <에디티지>에서는 2개 저널을 후보로 추천했습니다. 저자는 두 저널 모두에 대해 투고 전 사전 질의를 했습니다. 한 저널(저널 A)에서는 며칠 내로 저자의 원고에 관심을 보이며 답신을 보냈습니다. 임팩트 팩터가 더 높은 다른 저널(저널 B)에서는 응답이 없었습니다. 1, 2주를 기다린 끝에 저자는 저널 A에 논문을 ...
[논문 소속기관 표기방법] 은퇴한 이후 과거에 재직하던 기관을 소속기관으로 표기해도 될까?
Language Korean 은퇴한 이후 주저자 또는 교신저자로서 논문을 투고할 때 과거에 재직했던 기관을 소속기관으로 표기해도 될까요? 소속기관이 있든 없든 일단 저널에 논문은 투고할 수 있는데요 은퇴를 했다면 소속기관을 표기할 때는 두 가지 선택지가 있습니다. 1. 자신을 독립 연구자(Independent Scholar)로 표기하고 소속기관을 표시하지 않는다. 2. 해당 연구를 기관 재직 중에 시작했고 (최소한 연구의 일부라도) 기관의 펀딩을 받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