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here
검색결과
연구 커뮤니케이션을 간결한 언어로 표현하는 5단계 과정
이 기사는 Centre for Plain Language 에 최초로 게재되었으며 허가를 받아 이곳에 다시 게재되었습니다. 복잡한 개념이나 생각을 전달할 때 중요한 것은 명확성입니다. 학술 출판을 위한 글을 쓸 때는 언어를 단순화하는 작업이 필요합니다. 복잡한 커뮤니케이션은 본래 의도한 의미를 전달하는 데 방해가 될 뿐 아니라, 중요한 개념 및 발상에 혼란을 가져옵니다. 학술적인 글도 읽기 편하고 이해하기 쉽게 쓸 수 있어야 합니다. 설명하고자 하는 개념 ...
저널은 어떻게 주장을 만들어 내는가: 출판업계에 대한 통찰
저는 19살 때 미국으로 여행을 간 적이 있습니다. 버스를 타고 전국을 여행하면서, 한 주에서 다른 주로 건너가는 동안 많은 책을 읽었지요. 그때 읽은 책 중 하나가 『피터 드러커의 자기경영노트 (The Effective Executive)』였습니다. 이 책의 핵심 메시지는 '당신이 하는 업을 알아라(know your business)' 입니다. 예를 들어, 당신이 석유산업에 종사하고 있다고 생각한다면, 그것은 잘못된 생각이며, 사실 ...
학술 커뮤니케이션은 혁신을 맞이할 준비가 되어 있는가?
학술 커뮤니케이션 업계의 혁신 실태 를 논할 때, 학자의 생애주기는 여전히 변화 없음(sameness)으로 볼 수 있습니다. 연구를 수행하는 동기도, 노력의 대가도, 여전히 똑같지만, 연구를 하는 방식에 있어서는 아래와 같은 완전히 새로운 도구들이 많이 등장했습니다. 대표적인 사례로 다양한 콘텐츠 형식과 양식을 통해 복잡한 과학을 핵심 독자와 대중 독자 모두에게 전달하는 웹 서비스들 이 있습니다. 그러나 연구 평가도구(metrics)는 아직까지 저널 ...
소셜 미디어 시대에 논문 홍보하기
[이 글은 Wolters-Kluwer의 저자 뉴스레터 Author Resource Review 에 게재된 글을 허가를 받아 재수록한 것입니다. 이 글은 Wolters Kluwer의 Associate Publisher인 Julie Rempfer가 저술하였습니다. Julie Rempfer는 Nursing and Health Care Management 저널 Publisher로 활동하고 있으며 열정적인 소셜 미디어 사용자이자 전략가입니다. julieremp ...
엘스비어(Elsevier), 가짜 피어 리뷰 의혹이 있는 논문 26편 게재 취소
올해 초 스프링거(Springer)가 107편의 논문을 대거 게재 취소 한 이후 또 다른 출판계 거인인 엘스비어(Elsevier)가 이를 뒤따르게 되었습니다. 12월 21일 엘스비어는 피어 리뷰 조작과 저자권(authorship) 부정으로 여섯 개 저널에서 논문 26편의 게재 취소 가 진행 중이라고 발표했습니다. 이 논문들은 2014년에서 2017년 사이에 게재되었으며, 이 중 24편의 교신저자는 모두 같은 인물로 테헤란 이슬라믹 아자드 대학(Islam ...
제출한 논문이 정규 논문으로 출판되기에 부족할 경우, 다른 형태의 논문으로 출판될 수 있을까요?
Language Korean 어떤 형태건 상관없이 저널에 출판하고 싶은 논문이 있습니다. 제가 제출하려는 저널에서는 연구 논문, 연구 노트, 연구 보고서 등 세 가지의 형태로 출판을 하고 있습니다. 연구 논문으로 출판되면 가장 좋겠지만, 노트나 보고서로 출판하는 것도 괜찮습니다. 저널에 커버 레터를 보낼 때 이런 생각을 전달해야 할까요? 그렇다면 커버 레터를 어떻게 쓰는 것이 좋을지 표본을 부탁해도 될까요? 여러 형태의 논문을 출판하는 저널에 투고할 ...
도표의 데이터를 재사용하고 싶은데, 저자에게 허가를 받아야 하나요?
Language Korean 인용한 논문에서 데이터를 가져와 저희가 도출한 공식을 증명하는 데 사용했습니다. 그 논문은 참고문헌 목록에 제시하였고, 변수 이름은 우리 연구에 맞게 바꾸어 사용했습니다. 그리고 우리의 데이터에 간단한 계산으로 도출한 변수를 추가했고, 그 논문에 나온 원본 공식을 참조로 사용했습니다. 우리 논문은 이미 게재 승인을 받아 곧 출판될 예정입니다. 인용한 논문의 저자에게 이 사실을 알려야 하나요? 알려야 한다면 어떻게 연락을 하는 ...
연구 문제는 논문의 어느 부분에 제시해야 하나요?
Language Korean 연구 문제가 논문에서 아주 중요하다고 배웠고, 공들여 연구 문제를 작성하였습니다. 하지만 논문의 어느 부분에 연구 문제를 제시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연구 논문은 통상 서론(Introduction), 연구 방법(Methods), 연구 결과(Results), 결론 및 논의(Discussion) 등의 섹션으로 나누어집니다. 이를 IMRA식 구성이라고 합니다. 연구 문제는 즉 연구의 목적이나 가설이라고도 하는데, 이는 연구의 맥 ...
연구 방법 섹션에서 기술된 모든 연구절차에 대해 결과 섹션에서 전부 보고해야 하나요?
Language Korean 연구방법 섹션에서 언급되고 사용된 모든 연구 방법에 대한 결과를 결과 섹션에서 전부 제시해야 한다는 이야기를 최근에 읽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저는 이때까지 연구 결과는 데이터의 검증과 요약을 통한 “데이터 분석” 안에 포함해야 한다고 생각해왔습니다. 어떤 것이 맞나요? 연구 결과 섹션은 연구를 통해 도출해 낸 주요 결과를 의미 추론 없이 제시하는 부분입니다. 이때, 연구 방법 섹션에서 논의된 순서에 따라 그 결과를 체계적으 ...
시제때문에 고민하다가 오게 됐습니다.
Language Korean 이러이러한 사실이 참인지 알아보려했다. 이런 식의 문장을 만드는데요 예를 들어 I sought to determine whether the fact is true. 만약 이렇게 쓴다면요 한 문장에 시제가 저러면 안 된다고 배웠는데 여러 논문을 읽어보니 주로 저렇게 쓰는 사람이 많더라고요. 그렇다고 I sought to determine whether the fact was true. 이렇게 쓰면 종속절이 과거니까 현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