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here

Results 181 - 190 of 190

검색결과

Free Content
Q&A 포럼

영문 초록에서 단어 단락 바꾸기

Language Korean 영문초록 적을때 궁금한게 있습니다. 적다보면 단락 줄이바뀌면서 단어가 끊어질때가 있잖아요? 영문초록을 적어보니 단어가 다 끊어지는데... 이렇게 되는 경우 단어를 자르나요? 아니면 자간을 조정하나요? 띄우나요? 영문 원고에서는 단어 일부를 한 줄에, 나머지 부분을 다음 줄에 나누어 적지 않습니다. 전문성이 떨어진다는 인상을 주기 때문입니다. 마이크로소프트 워드를 사용할 경우에는 수동으로 조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공간이 모자랄 ...

날짜: 2015년 12월 28일
Free Content
Q&A 포럼

저널의 특집호(thematic special issues)도 SCI 등재지로 취급하나요?

Language Korean <Journal of Nanoscience and Nanotechnology> (www.aspbs.com/jnn) 에 논문을 투고했습니다. 편집자는 제 논문이 저널의 출판 승인을 받았으며, 2016년 JNN 특집호 “Application Nanotechnology in Biomaterials and Bioassays”에 수록될 것이라는 이메일을 보냈습니다. 그런데 잘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제 논문이 SCI 데이터 ...

날짜: 2015년 12월 31일
Free Content
슬라이드쉐어

효과적인 슬라이드 발표를 위한 10가지 팁

저널에 논문을 출판하는 것뿐만 아니라, 연구 발표에 자주 사용되는 형태는 그래프나 수치를 사용하는 구두 발표인데, 대개 회담 및 과학관련 회의와 기금모금 행사와 부서별 평가, 아니면 다루는 주제를 알려줄 때에 이용됩니다. 에디티지에서 발표용 슬라이드에 대한 10 가지 도움말을 통해  효과적인 슬라이드를 만들고, 슬라이드를 준비할 때 생길 수 있는 실수를 조금이나마 줄일 수 있도록 안내해드리겠습니다.   Language Korean 43345591 스타일 ...

날짜: 2015년 01월 19일
Free Content
기사

논문양식, 중요한가?

저널에 투고할 논문 준비를 돕는 일을 일상적으로 하고 있는 학술 교정자인 저는 저널의 가이드라인에 따라 논문 양식을 수정하는 일을 하고 있습니다. 이 가이드라인은 종이 크기와 언어 형식 등 기본적인 지시에서부터 각 항목의 포맷, 데이터의 제시방식, 참고문헌 작성법까지 다양한 사항을 포괄합니다. 포맷 가이드라인은 스펠링, 문장부호, 데이터의 명확한 제시(참고문헌 목록 등) 등의 측면에 일관성을 유지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시카고 스타일 매뉴얼 ...

날짜: 2015년 01월 22일
Free Content
기사

[논문쓰는법] IMRAD를 기억하자!

논문이 아이디어를 잘 전달하려면 짜임새 있는 구조가 중요합니다. 대부분의 저널에서는 과학논문의 경우 전통적인 포맷인 IMRaD (서론, 자료 및 방법, 결과, 토론) 포맷으로 작성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논문이 연구 내용을 잘 전달할 수 있도록 IMRaD 의 각 항목을 구성하는 방법에 대해 간단히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서론  (Introduction) 서론에서는 연구 대상과 연구 이유를 명확하게 설명해야 합니다. 연구의 맥락을 설정하는 것 ...

날짜: 2015년 02월 10일
Free Content
기사

유전자, 유전자 생산물의 표기 방식

표기 법칙 중 어떤 것은 단순하고 직설적이지만, 무엇을 다루느냐에 따라 깊은 이해가 필요하기도 합니다. 유전자와 그 생산물이 이런 경우입니다. “종의 학명은 이탤릭체로 쓴다”, 그리고 “유전자 기호는 이탤릭체로 쓴다” 같은 단순한 지시사항도 있는 반면, 유전자의 명칭은 보다 복잡합니다. 이 글에서는 단순한 설명보다는 이렇게 복잡한 사항에 대해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유전자 명칭 표기가 복잡한 까닭 중 하나는, 표기 방식이 생물의 종류에 따라 다르기 때문입 ...

날짜: 2015년 02월 16일
Free Content
기사

논문 제목 뒤의 콜론과 마침표는 생략한다

제목(heading 또는 headline)은 일반적인 맞춤법 관행에 엄격히 지배를 받지 않는 특수한 텍스트입니다. 특히, 제목을 독립된 줄에 쓸 때(소제목에 이어지는 텍스트가 다음 줄에서 시작될 때) 소제목에 콜론(colon)이나 마침표(full stop)를 쓸 필요가 없습니다. 유럽 연합 출판국(The Publication Office of the European Union)[1] 은 이 문제를 다음과 같이 간단명료하게 정리하고 있습니다. “제목 뒤, ...

날짜: 2015년 05월 11일
Free Content
기사

과학 논문에서 비율 표기하기

속도(예: 시간 대비 킬로미터), 농도 (예: 리터 당 그램), 복용량(예: 체중 1킬로그램대 밀리그램) 등의 양을 어떻게 표현할 수 있을까요? 답은 두 가지입니다. 예를 들어 시간당 60킬로미터를 60 km∕h 또는 60 km h −1 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둘 중 어떤 방법을 선택할지 결정할 때 중요한 포인트를 논의해 보겠습니다. 1. 마이너스(−) 기호 사용 마이너스 기호 대신 많은 저자들은 하이픈을 사용하지만, 이는 틀린 사용입니다 ...

날짜: 2015년 05월 15일
Free Content
기사

소제목(major headings, subheadings, minor headings) 사용법

이런 테스트를 해 봅시다. 여러분의 연구 주제에 대해 거의 아무것도 모르는 사람 한 명을 골라서, 논문 초안을 준 다음에 여러분이 사용한 소제목을 가지고 조직도 (organogram, organizational chart)를 만들어 보라고 해보십시오. 만약 그 사람이 소제목을 적절한 위치에 배열해 조직도를 만들 수 있다면 성공입니다.   소제목을 적절하게 구성하고 일관성 있게 배치하면 독자들이 논문을 훑어볼 때 전체적인 내용을 대략 파악하기가 더 쉽습니 ...

날짜: 2015년 11월 05일
Free Content
Q&A 포럼

APA 스타일에 따라 논문을 포맷팅하는 법

Language Korean 제가 behavioral sleep medicine 이란 저널에 논문을 투고하고 싶은데요, 자세한 내용은 없고 APA 규정을 따른다고 만 되어 있는데.. 보통 논문 작성 가이드라인(문서양식, 이미지형석, 분량 등)이 있는걸로 알고 있는데, 어디서 상세 정보를 얻을수 있을까요! 조언부탁드려요. 저널이 저자 가이드라인을 통해 논문 분량이나 문서 형식 등에 대한 정보를 주지 않는 경우는 그리 흔치 않습니다. 저도 해당 저널 웹사이 ...

날짜: 2015년 12월 09일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