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here

Results 171 - 180 of 190

검색결과

Registered Content
기사

피어리뷰어는 리뷰를 왜 거절하는가?

학술출판에서 피어리뷰는 필수적인 과정입니다. 따라서 출판되는 논문의 품질을 높이고, 의심스러운 연구는 솎아낼 수 있는 피어리뷰어는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매년 출판되는 논문의 양이 늘어나기에, 피어리뷰어가 받는 리뷰 요청 또한 늘어납니다. 피어리뷰는 연구자들이 빈 시간에 하는 자원봉사에 가까운 일로, 보통 수고비가 없습니다. 이 때문에, 리뷰를 거절하는 피어리뷰어가 늘어나고, 저널 편집자는 리뷰어를 선정하기 어려워집니다. 피어리뷰어의 거절 사유를 ...

날짜: 2015년 12월 11일
Free Content
Q&A 포럼

'최종 거절(Final Decision Reject)'과 단순한 '거절(Reject)'에 차이점이 있나요?

Language Korean <Critical Care> 저널에 제출한 제 논문이 거절되었습니다. 사실 같은 논문에서 기존에 논문이 거절된 경험이 있습니다. 하지만 지난번에는 거절 통지에 “최종 거절(Final Decision Reject)”이라고 적혀 있었는데, 이번에는 단순히 거절이라고만 적혀 있었습니다. 혹시, 다시 논문을 제출하면 또 다른 기회를 얻을 가능성이 있다는 의미입니까? “최종 거절”과 단순한 “거절”이 명확하게 구별되는 것은 ...

날짜: 2015년 12월 14일
Free Content
Q&A 포럼

'리뷰 평가 중(evaluating reviews)'은 무슨 뜻일까요?

Language Korean 저널에 논문을 제출했는데, 상태 메시지가 “리뷰 중(under review)”에서 “리뷰 평가 중(evaluating review)”으로 바뀌었습니다. 무슨 의미입니까? “리뷰 평가 중”은 리뷰 보고서가 도착해 편집자 또는 편집위원이 질문자님의 논문 승인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리뷰 내용을 살펴보는 중이라는 뜻입니다. 편집자가 리뷰에 만족했을 시에 결정을 내리게 됩니다. 만약 편집자가 리뷰 수가 부족하다고 생각하거나, 리뷰어 ...

날짜: 2015년 12월 14일
Free Content
Q&A 포럼

학술 논문에서 자신을 칭할때 어떻게 해야 하나요?

Language Korean 논문에서 자신은 뭐라고 지칭해야하나요? '필자는 A에 대하여 ~라고 생각한다.' 이런 식으로 써야하나요? 대부분의 국제 저널은 과학논문을 쓸 때 3 인칭 보다는 1 인칭을 선호합니다. 3 인칭인 ‘the author’ 를 사용하는 것보다 ‘I’ 나 ‘We’ 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APA 스타일 (APA style)' 이나 ' 시카고 양식 매뉴얼 (The Chicago Man ...

날짜: 2015년 12월 14일
Registered Content
기사

저자권(Authorship): 진화하는 개념

 [이 글은 Wolters-Kluwer 의 저자 뉴스레터인 Author Resource Review 에 실렸던 것을 협의 후 재가공한 것입니다.] 과학, 의학 출판에서 저자권(authorship)의 역할과 정의는 최근 들어 더욱 복잡해졌습니다. 사회과학, 인문학, 법학 등 다른 형태의 출판에서는 공동저자가 3명, 많아도 4명에 그칩니다. 하지만 과학 연구와 보도에 있어서 ‘저자권’은 이제 하나의 범주로 보기에는 곤란합니다. 이 말은, 실제로 논문을 집필 ...

날짜: 2015년 12월 03일
Free Content
Q&A 포럼

논문 수정본에 관해 저널이 승인 결정을 내리는 데 시간이 얼마나 걸릴까요?

Language Korean 에디 박사님 안녕하세요. 과학 저널에 논문을 수정해서 제출했는데, “필수 리뷰 완료(required reviews completed)” 상태로 바뀌기까지 한 달이 걸렸습니다. 왜 이렇게 오랜 시간이 걸리는 걸까요? 리뷰가 끝나면 편집자가 저자에게 이 사실을 통지하겠지만, 어서 최종 결정을 알고 싶어 초조합니다. 정말 중요한 논문이라서요. 저널 편집자가 저자로부터 논문 수정본을 받으면, 편집자가 직접 논문을 검토할지, 다시 2 ...

날짜: 2015년 12월 21일
Free Content
Q&A 포럼

왜 논문 출판을 위해 편집위원단(editorial board)의 승인이 필요할까요?

Language Korean 논문을 두 번 수정했습니다. 두 번째 피어리뷰에서 “논문이 출판에 적합함에도, 두 번째 리뷰를 권고함.” 이라는 의견을 받았습니다. 그래서 저는 논문을 수정한 뒤 저널에 보냈고, 논문의 상태는 한 달 이상 “리뷰 중(under review)”이었습니다. 그 뒤, 상태 메시지는 2015년 12월 2일 “결정 중(decision in process)”으로 바뀌었습니다. 저는 제 논문에 대해 저널에 문의했는데, 답변은 다음과 같았 ...

날짜: 2015년 12월 21일
Free Content
기사

사례연구: Graphical abstract이란?

사례: 한 저자가 저널에 논문을 제출해서 피어리뷰를 받았습니다. 리뷰어가 내린 결정은 상당 부분에 대한 수정 (a major revision)이었습니다. 수정 단계에서 피어리뷰어의 의견이 저자에게 전달하며 편집자는 논문에 50단어로 이루어진 텍스트 초록과 함께 그림 초록 (graphical abstract) 을 첨부해야 한다고 언급했습니다. 저널의 저자 가이드라인에는 그림 초록에 대한 언급이 없었기에 저자는 당황했습니다. 저널 가이드라인에는 200단어의 ...

날짜: 2015년 12월 24일
Free Content
Q&A 포럼

같은 연구로 학회지와 석사논문을 투고 할 수 있을까?

Language Korean 같은 연구로 학회지 투고를 하였고 이것으로 양을 늘이고 수정하여 석사논문을 제출하려고 합니다. 이것 또한 표절인지요? 표절이 되지 않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논문 여러 편을 모아서 학위논문으로 제출할 수 있습니다. 요즘에는 많은 연구자가 기존에 출판하거나 투고한 논문의 2편, 3편을 모아 학위논문으로 묶습니다. 최근에는 이런 형태의 학위논문이 받아들여지고, 여러 대학에서 이를 장려하기도 합니다. 질문자님의 경우 ...

날짜: 2015년 12월 24일
Free Content
슬라이드쉐어

2015년 출판 전문가 인터뷰 베스트

2015년에는 출판계에 어떤 일이 있었을까요? 에디티지는 여러 출판전문가와 만나 학술출판의 새로운 경향을 논의했습니다.전문가들은 학술출판에 대한 무척 흥미로운 관점을 우리와 공유해 주었는데요 슬라이드를 통해 알아보겠습니다. Language Korean 56120766 학술전문가 인터뷰 academic publishing industry Good Publication Practice publication advice tips for young resear ...

날짜: 2015년 12월 28일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