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here
검색결과
논문작성법 책추천
<Science Research Writing>은 현장에서 쓰인 책입니다. 저자는 과학 전공 학생들에게 30년 이상 학술적인 목적의 영어를 가르쳤으며, 특히 지난 15년은 런던 Imperial College의 English Language Support Program에서 논문을 작성하는 학생, 교원과 밀접한 1:1 수업을 통해 경험을 쌓았습니다. 이 책이 다른 가이드북과 차별화되는 점은 이 책이 독자들을 안심시켜주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는 것입 ...
노벨상 수상은 어떤 기분일까요? 노벨상 수상자 팀 헌트(Tim Hunt) 박사 인터뷰
Dr. Tim Hunt, Nobel Laureate Language Korean 20+ 팀 헌트 박사는 세포주기 조절 연구로 2001년 리 하트웰 (Lee Hartwell) 박사, 폴 너스 (Paul Nurse) 박사와 함께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한 저명한 과학자입니다. 팀 헌트 박사는 세포 분열을 비롯한 세포주기 조절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단백질 사이클린(cyclin)을 발견했습니다. 그전에는 적혈구의 헤모글로빈 합성 조절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습니 ...
오픈액세스 기본 알아보기 (무료 PDF 다운)
신진 연구자의 경우 자신의 논문을 출판하고 연구에 대해 알리는 것이 굉장히 중요합니다. 이런점에서 오픈액세스 출판은 최대의 노출로 연구자들에게 기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오픈 액세스는 정확히 무엇일까요? 아래 인포그래픽을 통해서 오픈 액세스에 관한 기본적인 사실을 함께 알아보세요! PDF 파일로도 무료 다운로드가 가능합니다. This infographic was created by Jayashree Rajagopalan. 신진 연구자의 경우 자 ...
[린다우 노벨상 수상자 회의] 수상자들로부터 ‘교육받고, 영감을 얻고, 소통하는’ 기회
Heikensten 박사의 이 말만큼 린다우 노벨상 수상자 회의의 가치를 잘 나타낼 수도 없을 것입니다. 노벨상 은 가장 명망 높은 과학상이자 많은 젊은 과학자들에게는 그들이 꿈꾸는 성공의 집약체이기도 합니다. 젊은 과학자에게 노벨상 수상자는 먼 곳에서 바라볼 수밖에 없는 존재로 느껴집니다. 만약 노벨상 수상자들을 만날 기회뿐 아니라, 그들과 커피 한 잔을 나누며 연구에 대한 생각들을 나눌 기회가 주어진다면 어떨까요? 매년 열리는 린다우 노벨상 수상 ...
사회과학, 인문과학 논문 초록 작성법
Language Korean 사회과학이나 인문과학 분야의 논문을 쓸 때 초록 작성 방법이 알고 싶습니다. 초록 구성에 대해 찾아보면 주로 사회과학, 인문과학이 아닌 의학, 공학 분야의 도움말만 찾을 수 있는데 인문 분야 초록에 관한 도움을 부탁드립니다. 인문과학, 사회과학 분야의 초록은 대부분 구성 방법이 따로 없습니다. 즉 서론, 방법론, 연구결과 등의 항목으로 나누어지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보통, 이 분야의 논문 초록들은 논문의 내용과 범위를 다 ...
한일 오픈 액세스 인터뷰- 서정욱 교수, 타니후지 미키코
한일 오픈 액세스 인터뷰- 서정욱 교수, 타니후지 미키코 open access in Korea open access in Japan Open Access Week 오픈엑세스 학술전문가 인터뷰 이 영상은 에디티지 인사이트 편집장 Clarinda Cerejo가 일본 국립재료과학원의 오픈액세스 편집장 타니후지 미키코, 그리고 서울대병원 병리과 서정욱 교수와 진행한 대담입니다. 오픈액세스 전문가인 두 분은 이번 대담에서 오픈액세스에 대한 각자의 생각, 그리고 ...
팀헌트(Tim Hunt) 박사 인터뷰- 연구에서 가장 어려운 점
Dr. Tim Hunt, Nobel Laureate Language Korean 20+ 팀 헌트 박사는 세포주기 조절 연구로 2001년 리 하트웰 (Lee Hartwell) 박사, 폴 너스 (Paul Nurse) 박사와 함께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한 저명한 과학자입니다. 팀 헌트 박사는 세포 분열을 비롯한 세포주기 조절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단백질 사이클린(cyclin)을 발견했습니다. 그전에는 적혈구의 헤모글로빈 합성 조절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습니 ...
타겟 저널에 실린 제 연구분야의 모든 논문을 제 논문에 인용해야 할까요?
Language Korean 저널을 선택할 때, 이 저널에서 출판한 논문 중 제 연구분야의 모든 논문을 인용해야 하나요? 또, 이 저널의 입장과는 상관없이 저의 의견을 가장 잘 표현한 논문만을 인용해도 될까요? 논문 승인을 고려하기 전에 저널 편집자가 하는 질문은 무엇입니까? 저널에 논문을 출판하기 위해 충족해야 하는 기준으로는 어떤 것들이 있습니까? 투고하려는 저널에서 출판한, 같은 연구분야의 모든 논문을 인용할 필요는 전혀 없습니다. 질문자님의 연구 ...
사례연구: 표절 의혹을 받은 저자는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사례: 한 저자의 논문이 데이터 표절 의혹으로 심사에서 탈락했습니다. 3명의 리뷰어 중 2명이 긍정적이고 건설적인 피드백을 주었지만, 3번째 리뷰어는 저자의 데이터 일부가 기존 연구에서 표절한 것이라며 문제를 제기했습니다. 모든 실험을 직접 수행했으며 전체 데이터를 직접 도출해내었던 저자는 이에 충격을 받았습니다. 그뿐만 아니라, 저자가 실험에서 사용한 시약은 2000년대 이후에야 판매가 가능한 것이었는데, 리뷰어가 언급한 기존 논문의 실험은 1990년 ...
투고 후 2주동안 “under consideration”으로 뜨는데 무슨 의미입니까?
Language Korean 얼마 전 Wiley에 논문을 투고했습니다. 그런데 2주째 “under consideration” 이라는 상태 메시지가 떠 있습니다. 그럼 제 논문이 피어리뷰 단계로 넘어갈 수 있다는 뜻인 걸까요? 원고 심사 과정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연구를 시작한 지 얼마 지나지 않은 제게는 이번이 첫 논문인 탓에 안절부절못하고 있습니다. 논문을 저널에 투고하고 나면, 각 담당 편집자에게 배당되어 저널의 기본 요건을 준수했는지 확인하는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