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here

Results 191 - 200 of 209

검색결과

Free Content
전문가

WAME: 보다 높은 수준의 편집을 위해 적극 참여하는 전 세계의 저널 편집자들

Dr. Lorraine Ferris, President, World Association of Medical Editors (WAME) Language Korean 로레인 페리스 박사는 세계 의학 학술지 편집인협의회 (World Association of Medical Editors: WAME) 의 총무, 부회장을 거쳐 현재 회장직을 맡고 있습니다. 로레인 페리스 박사는 세계의학학술지편집인협의회 (World Association of Medical Ed ...

날짜: 2014년 12월 15일
Free Content
이벤트

윤리적인 데이터 수집, 고품질의 논문 집필, 철저한 리뷰

Language Korean 히로시마 대학교 대학원생들은 종일 개최된 <에디티지> 워크샵을 통해, 연구에서 발생하는 윤리적 딜레마를 논의하고, 논문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여러 가지 활동에 참여하고, 리뷰를 철저히 수행하는 방법을 배우는 특별한 기회를 얻었습니다. 히로시마 대학교 대학원생들은 종일 개최된 <에디티지> 워크샵을 통해, 연구에서 발생하는 윤리적 딜레마를 논의하고, 논문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여러 가지 활동에 참여하 ...

날짜: 2014년 12월 18일
Free Content
Q&A 포럼

저널의 표절 검사를 통과하기 위해 논문의 어떤 부분을 더 수정해야 할까요?

Language Korean SCI 저널에 논문을 투고했는데, 표절 검사에서 표절률이 19%로 나와 거절당했습니다. 이후 최대한 수정했는데, 저널의 표절 검사를 통과하기 위해서 어떤 부분을 더 수정해야 할까요? 질문자님의 고민이 이해 됩니다. 영어가 모국어가 아닌 연구자가 영어 텍스트를 자신의 말로 새롭게 표현하려면 어려운 점이 많지요. 논문 표절 검사 이후 논문을 수정했으니, 분명 표절률이 낮아졌을 것입니다. 그래도 불안하시다면, 논문 표절 검사를 제 ...

날짜: 2014년 12월 19일
Free Content
기사

저널 알아보기: BBRC (Biochemical and Biophysical Research Communications

범위 BBRC (Biochemical and Biophysical Research Communications)는 생화학, 생물물리학, 세포생물학, 발생생물학, 면역학, 분자생물학, 신경생물학, 식물생물학, 단백체학 등 다양한 생물학 분야에서 시의 적절하고 중요도가 높은 실험 결과의 빠른 보급을 사명으로 하는 국제 저널입니다. 출판주기 주간 출판사 Elsevier (Academic Press 산하) 편집자 정보   편집장:  E. Carafoli; 편집위 ...

날짜: 2014년 12월 22일
Free Content
기사

학술 글쓰기를 위한 영어: 연구자들을 위한 사전 추천

글쓰기를 위해 가장 중요한 자질은 적합한 단어의 사용입니다. 학자와 연구자들은 수준 높은 어휘를 구사합니다. 한 분야의 전문용어에 숙달하려면 수 년이 걸립니다. 그런데, 언어 사용의 문제에 있어 학자들이 어려움을 느끼는 부분은 어떤 분야의 특수한 용어가 아니라, 주제나 분야와 무관하게 학술 글쓰기 전반에서 널리 쓰이는 단어에서 옵니다. 연구자들을 위한 사전 추천으로 옥스포드 학습자용 학술영어사전(Oxford Learner’s Dictionary of A ...

날짜: 2014년 12월 24일
Free Content
Q&A 포럼

주저자(lead author)와 공동저자(co-author)는 무슨 의미인가요?

Language Korean 논문의 주저자(lead author)가 되기 위해서는 어떤 요건을 갖추어야 하나요? 공동저자(co-author)란 무엇입니까? 이 두 가지 용어들이 정확히 어떤 뜻인지 알고 싶습니다. 여러 명의 저자가 존재하는 연구 논문에서, 한 명의 저자가 주저자를 맡게 됩니다. 주저자(lead author)의 요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원고 전체에 대한 책임을 맡을 것 주로 교신저자(corresponding author), 즉 다른 저자들 ...

날짜: 2014년 12월 26일
Free Content
Q&A 포럼

논문 투고 이후에 논문의 오류를 수정할 수 있을까요?

Language Korean 원고를 수정해서 다시 제출했는데, 제출 후에야 원고에 실수가 있다는 점을 알아차렸습니다. 한 문장을 다시 수정하고 싶습니다. 제 논문이 승인될지 여부는 알 수 없는데, 이 오류를 고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조언 부탁 드립니다. 저널 투고 시스템 중에는 투고한 파일을 수정할 수 있는 기능이 있는 곳도 있습니다. 접수 페이지에 들어가 접수 번호를 클릭해 보십시오. 바로 수정할 수 있거나, 아니면 기존 파일을 수정한 파일로 ...

날짜: 2014년 12월 29일
설문조사

연구논문(결과)을 소셜네트워크를 통해 알리고 계신가요?

Choices 네, 트위터, 페이스북등을 통해 알리고 있습니다. 네, 블로그를 통해 알리고 있습니다. 네, 포럼을 통해 알리고 있습니다. 아니요, 알리고 있지 않습니다. ...

날짜: 2014년 09월 01일
Free Content
기사

“표 2를 보라”, “그림 6 참조” 등의 표현은 피하자.

English 텍스트에 대해 부가적으로 표, 그림을 사용하는 것은 논문에서 일반적입니다. 그림은 언어로는 전달하기 힘든 정보를 담을 수 있으며, 표는 글자보다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제시할 수 있습니다. 논문 독자들은 이 사실을 알고 있습니다. 실제로 독자들은 문서를 빠르게 넘기다가 표나 그림에서 멈춰 문서의 주된 내용을 짐작하기도 합니다. 표, 그림, 부록 등의 부가자료에는 번호를 붙이며, 본문에서 해당하는 위치에서 번호로 지시하게 됩니다. 독자들은 이러 ...

날짜: 2014년 04월 11일
Free Content
기사

라틴어 표기법

English 학술 논문에는 라틴어가 사용되는 경우들이 있습니다. 축약어로서건 (et cetera를 etc. 로, et alii를 et al. 로 줄여쓰는 경우) 풀어 쓰건 (in vitro, in vivo, in situ) 말입니다. 이때, 라틴어는 이탤릭체로 써야 할까요? 자주 묻는 질문이지만, 사실 꼭 정해진 답은 없습니다. 그러나 최근의 경향은 이탤릭체를 쓰지 않는 것입니다. 여러 출판사, 스타일 가이드에서 위와 같은 라틴어구를 쓸 때 이탤릭체를 ...

날짜: 2014년 04월 11일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