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here

Results 151 - 160 of 209

검색결과

Free Content
기사

문헌 읽기 습관에 관한 전문가의 조언

뛰어난 실력을 선보이고자 한다면 그 전에 갖춰야 할 몇 가지 기본기가 있습니다. 기본기는 시간을 통해 축적된 훈련과 경험에서 나옵니다. 과학 연구는 복잡한 작업이기에, 연구자들은 연구질문 선택하기, 연구 프로젝트 기획, 실험 데이터 분석, 논문 집필 등 여러 가지 기본기를 갖춰야 합니다. 또, 이런 기술과 경험을 체득하기 위해서는 숙달된 논문 및 연구 보고서 검토 능력과 훈련, 연구 과정 참여 등이 꼭 필요합니다. 그런데 이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것은, ...

날짜: 2014년 09월 17일
Free Content
기사

학술 출판에서 이해관계 충돌(conflict of interests)에 대처하는 법

영어로 논문을 작성할 때 보통 저널에서는 마지막에 “이 논문에는 이해관계 충돌의 여지가 없음(the researcher claims no conflicts of interest.)” 을 명시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연구가 객관적이고 공정하다는 저자의 선언과 같습니다. 즉, 연구 결과는 긍정적인 결과를 위한 금전적 이득 등의 외적인 요소나 부정행위와 무관하다는 뜻입니다. 연구가 기업의 지원금을 받은 경우 저자는 이 연구에 편견이 개입하지 않았음을 공 ...

날짜: 2014년 09월 18일
Free Content
기사

DOAJ(Directory of Open Access Journals), 악덕 저널을 몰아내다.

<네이처> 의 보도에 따르면, 오픈 엑세스 저널 목록을 게재하는 웹사이트인 DOAJ(오픈 엑세스 저널 디렉토리: Directory of Open Access Journals)는  해당 웹사이트에 수록된 모든 저널은 더 엄격한 신설 기준에 맞추어 재 지원 절차를 거쳐야 한다고 발표 했습니다.  2003년 시작되어 현재 10,000개 이상의 저널로 구성된 DOAJ는 품질 관리가 잘 이루어지지 못한다는 비판을 받아왔습니다. 캘리포니아 주 리버모어에 ...

날짜: 2014년 09월 22일
Free Content
기사

어떤 표절이든 반드시 논문 게재가 철회되어야 할까?

표절은 논문 게재철회의 주된 사유 중 하나입니다. 그러나 어떤 형태의 표절이든 반드시 게재 철회로 귀결되는 것일까요? 응집물질 물리학자이며 인도 대학교 연구보조금 위원회장을 역임한 프라빈 차다 박사는 <네이처>에 기고한 글을 통해 “저널 편집자는 표절 논문에 대해 주먹구구식으로 게재를 철회하지 않고, 철회 결정 전 저자의 의도를 가늠해 보려는 결정을 해야 하지 않을까?” 라는 흥미로운 질문을 던집니다.  이 개념을 설명하기 위해 차다 박사는 ...

날짜: 2014년 09월 24일
Free Content
기사

[참고문헌 작성법] 연구자가 지켜야 하는 참고문헌 인용법

올바른 포맷, 그리고 정확한 인용 및 참고문헌 작성 시 가장 중요한 것은 인용 표시의 정확성입니다. “저자1과 저자 2(2013)는 화학물질 xyz의 0.5% 용액을 사용해 유의미한 결과를 얻었다. (author1 and Author2 (2013) used a 0.5% solution of chemical xyz and obtained remarkable results)” 고 쓰고 이에 해당하는 자세한 출처를 참고문헌 항목에 정확하게 기재했는데, 원 논 ...

날짜: 2014년 09월 25일
Registered Content
기사

전공분야가 중첩되는 연구에서 일어날 수 있는 실수

사례: 자궁경부암을 진단할 수 있는 새로운 진단 기법에 대한 논문을 산부인과 저널에 제출했습니다. 논문은 1차 심사에서 거절되었으며 다음과 같은 편집자 의견과 함께 저자에게 거절 결정이 전달되었습니다. 1. 편집자는 이 연구가 지나치게 특수하기에 저널의 범위에 맞지 않는다고 언급했습니다. 2. 또한, 서론 항목에 대해서는 “배경지식 불충분”이라는 의견이 있었으며, 인용된 문헌 은 연구의 주요 쟁점과 무관했습니다. 저자는 논문에 알맞은 목표 저널을 찾고 ...

날짜: 2014년 09월 26일
Free Content
기사

논문 게재 거절로 이어질 수 있는 5가지 기본 실수

저자라면 누구나 논문을 출판하고 싶어합니다. 하지만 참신하고 독창적인 결과를 가진 논문이라 해도 집필 과정에서의 기초적인 실수 때문에 출판을 거절당할 수 있습니다. 이 같은 사태를 피하기 위해서는, 서론, 실험, 결과, 토론, 결론 항목에서 다음과 같은 실수들을 조심하십시오.  1. 서론에 중요한 참고문헌이 빠진 경우: 대부분의 참고문헌은 서론에 등장합니다. 일반적으로 저널마다 참고문헌 개수는 30개, 60개 등 일정한 수로 제한되어 있습니다. 또, 많 ...

날짜: 2014년 09월 29일
Free Content
Q&A 포럼

리뷰어를 추천하는 이유와 이때 주의할 점

Language Korean 저널로부터 최소 3인의 선호하는 검토자 이름을 제출하라는 연락을 받았습니다. 이는 어떤 시스템이며 왜 검토자를 추천해야 하나요? 검토자 추천이 필수인 저널도 있고 선택인 저널도 있습니다. 어떤 경우든 검토자 추천은 보통 저자에게 이득이 됩니다. 저널에서 검토자 추천을 요구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저널 측에는 검토자가 부족한 경우가 많으며, 적절한 검토자를 찾지 못해 검토 절차가 길어지는 경우도 잦습니다. 추천하거나 ...

날짜: 2014년 09월 30일
Free Content
기사

[설문조사] 국제 출판 가이드라인 ICMJE와 GPP2에 대해 얼마나 알고 계십니까?

최근 학술 출판에서의 부정행위와 비윤리적 행위는 우려될 만큼 늘어나고 있습니다. 미디어의 집중보도가 쏟아졌던 STAP 세포 사례 와 같은 사진 조작, SAGE의 논문 대량 철회사태 와 같은 피어 리뷰 부정심사 등이 저자, 저널, 그리고 학술 출판계 전체에 경종을 울렸습니다. 여러분은 다만 논문 통과만을 목표로 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분의 명성에 큰 해를 끼칠 수 있는 윤리적 스캔들을 막을 수 있을 정도로 출판 윤리에 대한 깊은 지식을 갖추고 있습니까? 윤 ...

날짜: 2014년 10월 01일
Free Content
Q&A 포럼

국제 학술저널에 부정적인 연구결과가 잘 출판되지 않는 이유

Language Korean 오랜 시간을 들여 연구한 끝에 제 가설이 틀렸음을 알았습니다. 하지만 제 분야의 다른 연구자들에게도 도움이 될 만한 중요한 결과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 연구 결과를 출판하려 했지만 두 군데 저널에서 제 논문을 거절했습니다. 부정적인 연구결과가 긍정적인 연구결과에 비해 널리 출판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저널이 선생님의 연구를 즉각 출판하지 않았다니 안타깝습니다. 잘 알려진 바대로, 출판과 보도편향 은 과학 출판계에서 ...

날짜: 2014년 10월 02일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