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here

Results 111 - 120 of 209

검색결과

Free Content
기사

학술 논문에서 1인칭(I 와 We) 사용이 가능할까요?

신진 연구자들은 종종 영어논문 작성이나 학술 번역 에서 'I' 나 'We' 를 써서는 안 된다는 지적을 받습니다. 객관적여야 하는   학술 논문에서 1 인칭을 사용하면 독자들에게 주관적인 견해로 받아 들여질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학술 논문에서 일인칭을 사용해서는 안 된다는 일반적인 규칙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유려한 과학 Eloquent Science』 1 의 저자 데이비드 슐츠(David Schultz) 박 ...

날짜: 2014년 05월 29일
Free Content
기사

[출판윤리] 사이비 출판사를 조심하세요!

오픈 액세스가 인기를 얻음에 따라 개인이 사이비 저널을 개설해 게재를 약속한 뒤 값비싼 게재수수료를 요구하기도 쉬워졌습니다. 최근 오픈 액세스 저널이 급증했기에 매일같이 새롭게 생겨나는 저널들을 따라가기도, 이들 출판사의 신뢰성을 측정하기도 어려워졌습니다. 다음은 여러분이 처음 들어보는 새로운 저널에 논문 투고를 결정하기 전에 고려해볼 사항들의 리스트입니다.  저널 웹사이트에 주소를 포함한 연락처 정보가 정확히 공개되어 있습니까? 온라인 연락처만 공개되 ...

날짜: 2014년 05월 30일
Free Content
기사

임팩트 팩터를 대체할 새로운 연구 영향력 척도

저널 임팩트 팩터, h-인덱스 등 학술적 영향력에 대한 기존 척도들은 모든 연구자들에게 익숙할 것입니다. 그러나 인기에도 불구하고 인용횟수에 기반한 출판통계분석은 여러 가지 이유로 비판을 받고 있는데, 인문학 등 분야에서는 연구 영향력을 적절히 측정하기 힘들다는 이유 등입니다. 학술문헌의 온라인 출판이 늘어남에 따라 연구의 영향력은 형식적인 인용 이상으로 확장되었습니다. 학술출판은 과학 블로그, SNS, 온라인 토론 포럼 등을 통해 사용되고 의견이 오가 ...

날짜: 2014년 06월 02일
Free Content
기사

[영어 논문 작성] 자주 혼동하는 논문용 영단어 특강 2

English 저는 지난 수 년간 영어가 모국어가 아닌 사용자들이 학술번역 에서 흔히 저지르는 실수들을 여럿 마주쳤습니다. 영어 단어와 구문을 잘못 사용하면 독자들에게 혼란을 주거나 오해를 빚을 수 있습니다. 영어 사전이나 논문 번역 사이트 등을 활용하여도 의미의 차이를 명확하게 이해하기 어려운 경우도 있습니다. 혼란을 없애고 여러분이 영어에 능숙해질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지난 포스트 에서 자주 혼동하는 단어들에 대해 이야기했는데, 이번 포스트에서 몇 ...

날짜: 2014년 06월 03일
Free Content
기사

[논문작성법] 그래프의 패턴 채우기

English 그래프는 종종 그림, 혹은 숫자로 간주되곤 합니다. 그래프는 일련의 숫자 이면의 의미를 담고 있으며, 이 의미를 한 눈에 이해할 수 있도록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연구자로서 여러분은 분명 변수의 크기나 빈도를 나타내는 막대그래프에 익숙할 것입니다. 예를 들어서 각 국가의 사람들이 하루에 섭취하는 칼로리라든지, 각 도시의 연간 강수량(mm)을 비교할 때 막대그래프가 쓰입니다. 막대그래프에서 중요한 것은 각 막대의 높이 (또는 수평으로 나열 ...

날짜: 2014년 06월 09일
Free Content
기사

[학술 글쓰기] 용어 관련 편견 줄이기

학술적 글쓰기에서는 정확성, 간결성, 객관성이 중요합니다. 그러므로 필자로서, 편집자로서, 우리는 감수성이 결여된 언어나 흠결 있는 용어에 파고드는 편견을 줄여야 합니다. 글쓰기가 사상을 형성한다는 사실을 기억하고, 아래의 주제에 대해 글을 쓸 때는 포괄적인 언어를 사용하도록 합시다. 장애Disability:  인간중심적인 화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즉, 그 사람의 상태보다 그 사람을 가리키는 명사를 앞에 둠으로써 장애가 아닌 인간을 강조해야 합니다. ( ...

날짜: 2014년 06월 11일
Free Content
기사

[출판윤리]논문 게재 철회가 늘어나는 이유

연구논문은 오류와 실수 없는 모습으로 출간되기 위해 아주 길고 험한 피어 리뷰의 과정을 거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알아차리지 못한 오류가 발견되는 일도 있지요. 출판 윤리 위원회 (COPE) 는 “신뢰가 갈 만한 논문의 일부에 오해의 소지가 있는 경우 (특히 의도치 않은 오류인 경우)” 수정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주소의 오기 등 정오표를 첨부하는 것만으로도 해결되는 단순한 기술적 오류가 있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그러나 가끔 출간된 저널에서 논문 전체 ...

날짜: 2014년 06월 13일
Free Content
Q&A 포럼

학술지에서 답변을 받을 때까지 얼마나 기다려야 하나요?

English Language Korean 학술지에 논문을 투고한 지 한 달 반이 흘렀습니다. 편집자의 답변을 받는 데 보통 얼마나 걸리는지, 언제쯤 확인을 요청하는 이메일을 보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만약 제가 확인 요청 이메일을 보낸다면 뭐라고 써야 적절하고, 또 편집자의 기분을 상하게 하지 않을까요? 조언 부탁드립니다. 투고한 논문에 대한 답변을 기다리는 동안 분명 초조하겠지요. 제 경험에 따르면, 학술지마다 검토에 걸리는 시간은 전공 별로 ...

날짜: 2014년 06월 16일
Free Content
기사

의학 논문에서 조심해야 할 실수들

요약   논문 스타일에 일관성이 없거나 내용 제시방식이 부적절하면 가독성과 이해도가 떨어져 연구의 영향력을 감소시킵니다. 이 글에서는 교정과 편집 과정에서 흔히 마주치는 스타일 상의 실수들에 대해 소개합니다. 대문자 표기, 이탤릭체 표기 등 겉보기에 사소해 보이는 실수에서부터 인명을 따온 명사에서 사용하는 어포스트로피의 사용 등 복잡한 실수에 이르기까지 다루고 있습니다. 이러한 일관성의 문제를 잘 처리함으로써 편집자들은 논문이 스타일 상의 문제가 없이 ...

날짜: 2014년 06월 17일
Free Content
전문가

학술 커뮤니케이션의 디지털 전환 – 우리는 더 많은 변화를 기대했다.

Anthony Watkinson, Co-Founder & Principal Consultant, CIBER Research Language Korean 왓킨슨은 지원연구, 계약연구, 장학금 및 컨설팅을 전문으로 하는 간학문/독립 연구 집단 CIBER Research의 공동 창립자이자 수석 컨설턴트입니다. 앤소니 왓킨슨Anthony Watkinson은 40년 이상 아카데믹 프레스(편집 디렉터), 옥스포드 대학교 출판부 (저널 부장), 채프먼 &am ...

날짜: 2014년 06월 20일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