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here

Results 31 - 40 of 939

검색결과

Free Content
기사

빈약한 영어 사용이 연구의 출간과 영향력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English 빈약한 영어 사용은 연구가 출판되는 과정을 지연시킬 수 있습니다. 영국의 과학 주간지 「뉴 사이언티스트」의 최근 호에서는 빈약한 영어가 "과학자들에게 불이익을 줄 수 있는 또다른 요소이다. 메사추세츠 공대에 재직중인 역분화줄기세포 연구에서 촉망 받는 미국 과학자 루돌프 재니쉬는 아시아에서 쓰여진 논문 일부는 언어적으로 너무나 부족하여 이해하기 힘들다고 밝혔다." 1 라고 쓰고 있습니다. 빈약한 영어 사용에는 스펠링, 문법 ...

날짜: 2014년 04월 24일
Free Content
기사

왜 연구평가를 위한 목적으로 저널 Impact Factor를 사용해서는 안될까요?

English 저널 영향력지수(JIF)의 설립자인 유진 가필드는 원래 저널을 선택하는데 도움되는 수단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Impact Factor를 만들었습니다. 현재 JIF는 개별적인 연구 부분이나 뛰어난 논문의 영향력을 평가하기 위해서 부적절하게 사용되곤 합니다. 이 측정지수는 이러한 남용 탓에 상당히 비판 받고 있습니다.  JIF는 특정기간 동안 저널이 받은 논문의 인용 횟수를 이용하여 얻은 단순 평균가입니다. 이전 글에서 " 임팩터 팩터 ...

날짜: 2014년 04월 25일
Free Content
기사

학술 출판에서의 표절 문제 정복하기

논문을 작성할 때, 항상 모든 출처를 분명하게 표시하고, 다른 저자가 사용한 용어를 그대로 사용하지 마십시오. 이를 어기면 재임이나 자금 지원 등에 실패할 수 있고 신뢰성을 잃게 됩니다.  연구과제에 착수할 때, 연구자는 유사한 아이디어를 전개시키고 있는지를 종종 찾아봅니다. 조사기법을 고안하고, 질병의 자연역사나 화합물의 구조를 설명하거나 일부 과정을 설명하는 사람도 있을 수 있습니다. 명쾌한 방식으로 더 잘 설명해내지 못해서 그 축어를 그대로 사용하 ...

날짜: 2014년 04월 30일
Free Content
기사

논문 발표에 대한 압박감

전 세계의 연구자들은 “Publish or Perish”라는 격언을 너무나 잘 알고 있습니다. 연구는 고귀하고 보람된 과정이 돼야 하지만 제한된 학술적 자원과 논문 발표에 대한 압박감이 때때로 연구 프로젝트가 완료되면서 기대치 않은 결과를 얻는 기쁨보다 더 크게 다가올 때가 있습니다. 종종 연구자들의 학술 경로는 연구를 위한 열정보다는 성공적인 논문 발표에 의해 좌우됩니다. 연구자의 이름으로 발표된 논문의 갯수가 연구의 퀄리티보다 더욱 중요하게 느껴질 ...

날짜: 2014년 05월 08일
Free Content
기사

인용통계가 연구에 미치는 영향- H인덱스

English 최근 몇 년 동안, 많은 연구 단체들은  연구의 영향력을 측정하는 지표를 개발하기 위해 독립적으로 노력해 왔습니다.  저널 Impact Factor 는 저널의 명성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잘 알려진 지표입니다. 하지만 연구자 개인의 영향력을 어떻게 측정할 수 있는가에 대한 중요한 질문에 대해서는 답을 주지 못합니다. 이런 점에서 가장 중요한 혁신 중 하나는 h-지수 (h-index)이며 이 지수는 발명한 조지 허쉬 (Jorge Hirsch) ...

날짜: 2014년 05월 12일
Free Content
기사

이해충돌

과학의 기본은 객관적이며 편향되지 않아야 합니다. 만약 연구에서 특정 결과치를 얻을 경우, 재정적으로 또는 경력에 이득이 된다고 가정해봅시다. 비록 그 자체는 허용가능 하지만, 어떤 이들은 이러한 고려사항은 연구결과의 연구설계, 시행, 또는 출판을 훼손한 것으로 의심할지도 모릅니다. 특히, 연구자가 잠재적인 이득을 공개하지 않았을 때 말이죠. 이러한 상황을 이해충돌(COI)라고 합니다.  이해충돌 이란? 연구자의 논문에 잠재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

날짜: 2014년 05월 20일
Registered Content
기사

사전 동의: 임상실험에서 잊지 말아야 할 필수 사항

English 아프리카의 에이즈 확산에 대한 연구를 마치고, 독자들이 환자들에 대해 좀 더 잘 이해할 수 있었으면 하고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논문에 현장 조사에서 찍은 소년의 웃는 사진(질병에 대한 언급)을 포함하였습니다. 잘못된 점이 있을까요? 1998년 4월, 캐나다 의료 협회 저널(CMAJ)에 논문 하나가 발표되었습니다. 소년의 부모나 보호자로부터 사진 출판에 대해 서면으로 동의를 얻었는지를 궁금하게 여긴 독자가 이를 강하게 비판했습니다. ...

날짜: 2014년 05월 23일
Free Content
기사

[논문 작성법] 문장의 첫 시작에서는 숫자와 약어를 피하자!

대부분의 저널은 문장의 첫 시작을 약어나 숫자로 시작하지 않기를 권장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laser나 radar 등과 같은 독립단어나 NASA, CERN과 같은 기관명을 나타내는 경우 약자 사용이 허용되기도 합니다. 일반적으로 논문의 '결과' 항목에서 “식물의 15%가 생존했다(15% of the plants survived)” 또는 “환자의 48%가 회복되었다(48% of the patients recovered)”등 숫자로 문장 ...

날짜: 2014년 05월 26일
Free Content
기사

학술 논문에서 1인칭(I 와 We) 사용이 가능할까요?

신진 연구자들은 종종 영어논문 작성이나 학술 번역 에서 'I' 나 'We' 를 써서는 안 된다는 지적을 받습니다. 객관적여야 하는   학술 논문에서 1 인칭을 사용하면 독자들에게 주관적인 견해로 받아 들여질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학술 논문에서 일인칭을 사용해서는 안 된다는 일반적인 규칙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유려한 과학 Eloquent Science』 1 의 저자 데이비드 슐츠(David Schultz) 박 ...

날짜: 2014년 05월 29일
Free Content
기사

[출판윤리] 사이비 출판사를 조심하세요!

오픈 액세스가 인기를 얻음에 따라 개인이 사이비 저널을 개설해 게재를 약속한 뒤 값비싼 게재수수료를 요구하기도 쉬워졌습니다. 최근 오픈 액세스 저널이 급증했기에 매일같이 새롭게 생겨나는 저널들을 따라가기도, 이들 출판사의 신뢰성을 측정하기도 어려워졌습니다. 다음은 여러분이 처음 들어보는 새로운 저널에 논문 투고를 결정하기 전에 고려해볼 사항들의 리스트입니다.  저널 웹사이트에 주소를 포함한 연락처 정보가 정확히 공개되어 있습니까? 온라인 연락처만 공개되 ...

날짜: 2014년 05월 30일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