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here
검색결과
Scientists discover new genus of sea creatures—Dendrogramma
Plant and Animal Science A zoologist at the Natural History Museum of Denmark in Copenhagen, Jean Just, discovered sea creatures in the Tasman Sea that cannot be classified into any known major phyla. These invertebrate creatures—now classified as Dendrog ...
Quantum imaging produces pictures of invisible objects
Physics Anton Zeilinger, a physicist at the Austrian Academy of Sciences in Vienna, has developed a method of taking pictures using light that has not interacted with the object being photographed. Conventionally, an object is seen because it reflects lig ...
Dr. Jo Røislien 인터뷰
노르웨이의 과학 커뮤니케이터이자 연구자, 작가, 석유공학과에서 공부한 지구통계학 박사이자 응용지구물리학 조교수이기도 한 Jo Røislien 박사와 함께, 생물통계학에서 데이터가 어떤 속성을 가지는지, 학술 및 출판계의 과제는 무엇인지 알아보고, 또 피어리뷰어의 관점에서 저자들에게 하고 싶은 조언을 나누어 보겠습니다.
Caroline Sutton 인터뷰
이번 인터뷰의 주인공은 다양한 학제의 연구를 다루는 국제 오픈액세스 학술출판사인 Co-Action 출판사의 공동 창립자인 Caroline Sutton 박사입니다. 오픈액세스 출판 전문가 Sutton 박사와 함께, 오픈액세스의 개념, 오픈사이언스의 지속가능성, 그리고 학술커뮤니케이션에서 오픈액세스와 관련해 이루어지고 있는 공개적인 논의 등 학술출판과 오픈액세스 출판의 여러 가지 이슈들에 대한 Sutton 박사의 관점과 경험을 나누어 보겠습니다.
Dr. Kevin Steinmetz 인터뷰
캔자스 대학교 사회학/인류학/사회복지 학부 조교수이자 <Journal of Qualitative Criminal Justice and Criminology> 의 서평 편집자 Kevin Steinmetz 박사와의 인터뷰를 통해 과학 커뮤니티에서 서평의 중요성, 그리고 저널에서 서평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지는 방식을 알아봅시다.
미국 박사후과정 팁
이 시리즈는 외국인 연구자가 미국에서 성공적인 박사후과정을 밟기 위해 계획해야 하는 점들에 대한 짧은 글들로 엮었습니다. 스페인 출신으로 박사후과정을 위해 미국으로 이주한 Emma Perez-Costas 박사는 지금까지 여러 박사후과정을 밟으려는 여러 연구자들에게 도움을 주었습니다. 이번 시리즈를 통해 Costas 박사는 젊은 연구자들을 위해 자신의 개인적 경험을 나누고 있습니다.
피어리뷰 지연
저널의 의사결정이 이루어지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저자들은 피어리뷰 절차를 두려워하기도 합니다. 왜 편집자는 저자에게 논문의 운명을 곧바로 알려주지 않는 걸까요? 이번 시리즈에서는 <Polar Research> 저널의 편집장 Helle Goldman 박사가 편집자의 관점에서 이런 질문들에 대답해 드립니다.
글로벌 사이언스
과학은 엄청난 속도로 성장하는 글로벌 학문입니다. 이번 시리즈에서는 전 세계적인 과학과 학문의 위상을 연구개발(R&D) 비용, 인용지수, 협력연구, 그리고 국제화라는 측면에서 살펴보겠습니다.
여성의 날 특집
젠더 편향(Gender bias)이라는 주제에 대해 학술계 안팎에서 심도 깊은 토론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번 여성의 날 특집 시리즈는 학계 내에서 젠더 편향이 나타나는 다양한 양상에 대해, 과연 이런 현상이 실재하는가에 대한 논의에서부터 여성 연구자들이 가진 의견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다루고 있습니다.
빅테이터
빅데이터(Big data)는 연구가 이루어지는 방식에 지금까지 없던 새로운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그런데, 빅데이터의 정확한 의미는 무엇이며, 과학에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여겨지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연구자들은 어떻게 빅데이터를 연구에 최대한으로 활용할 수 있을까요? 여러분이 빅데이터에 대해 알고 싶은 모든 것을 이 글에서 알려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