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here
검색결과
연구 논문에서 시사점(implication)과 제언(recommendation)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Language Korean 연구 논문에서 시사점(implication)과 제언(recommendation)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연구의 시사점(implication)이란 연구 결과가 국가 정책, 실무, 이론이나 후속 연구에 어떤 중요한 의미를 가지느냐를 설명하는 부분으로, 결국 연구 결과에서 끌어 낸 결론과 같습니다. 시사점은 적절한 증거를 통해 입증되어야 하며 연구의 범위, 한계를 설명하여 결과의 과도한 일반화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합니다. 연 ...
피어 리뷰어 추천을 하지 못하면 논문이 거절당할 수도 있나요?
Language Korean 논문을 제출한 저널의 커버 레터에 제 논문을 읽어 본 동료 학자 목록을 제출해야 한다는데, 적을 이름이 없습니다. 목록을 제출하지 못하면 논문이 거절당할까요? 저널의 안내를 잘못 이해한 것 같습니다. 저널의 가이드라인을 자세히 읽어 보고 요구 사항이 무엇인지 다시 한번 확인해보세요. 저널이 논문을 이미 읽어 본 동료의 이름을 요구할 일은 없습니다. 아마도 저널이 요구한 것은 해당 분야 내에서 피어 리뷰어로 추천할 만한 사람의 ...
투고 전 사전 질의 단계에서 편집장에게 논문 원고를 보내도 괜찮을까요?
Language Korean 투고 전 사전 질의 메일을 보냈는데, 편집장에게서 다음과 같은 답변을 받았습니다. “검토를 위해 논문 원고를 보내주기 바랍니다.” 하지만 투고 전 문의 단계에서는 논문 원고를 보내지 말라는 조언을 항상 들었는데요, 아무래도 보내지 않는 것이 나을까요? 참고로 저널은 «Pharmaeconomics» 입니다. 투고 전 사전 질의 단계에서 편집자가 논문 원고를 요구하다니 이상하군요. 이는 권위 있는 저널에서는 일어나지 않는 일입 ...
제출한 논문 수정본의 최종 결정이 선임 편집자 때문에 지연되고 있습니다.
Language Korean 지난 7월에 논문을 제출했고, 8월에 “일부 수정 (minor revision)” 결정을 받은 뒤 즉시 수정원고를 제출했습니다. 그 후 논문의 상태가 “Editorial assessment”로 바뀐 지 4개월이 지났습니다. 처음 보낸 두 번의 문의 메일에는 답장을 받지 못했습니다. 세 번째 이메일을 보냈더니 편집실에서 결정 지연을 사과하며 답장이 오기를, 선임 편집자에게 제 논문을 우선으로 처리해 달라고 연락하였으나 본인 ...
제출한 논문이 정규 논문으로 출판되기에 부족할 경우, 다른 형태의 논문으로 출판될 수 있을까요?
Language Korean 어떤 형태건 상관없이 저널에 출판하고 싶은 논문이 있습니다. 제가 제출하려는 저널에서는 연구 논문, 연구 노트, 연구 보고서 등 세 가지의 형태로 출판을 하고 있습니다. 연구 논문으로 출판되면 가장 좋겠지만, 노트나 보고서로 출판하는 것도 괜찮습니다. 저널에 커버 레터를 보낼 때 이런 생각을 전달해야 할까요? 그렇다면 커버 레터를 어떻게 쓰는 것이 좋을지 표본을 부탁해도 될까요? 여러 형태의 논문을 출판하는 저널에 투고할 ...
도표의 데이터를 재사용하고 싶은데, 저자에게 허가를 받아야 하나요?
Language Korean 인용한 논문에서 데이터를 가져와 저희가 도출한 공식을 증명하는 데 사용했습니다. 그 논문은 참고문헌 목록에 제시하였고, 변수 이름은 우리 연구에 맞게 바꾸어 사용했습니다. 그리고 우리의 데이터에 간단한 계산으로 도출한 변수를 추가했고, 그 논문에 나온 원본 공식을 참조로 사용했습니다. 우리 논문은 이미 게재 승인을 받아 곧 출판될 예정입니다. 인용한 논문의 저자에게 이 사실을 알려야 하나요? 알려야 한다면 어떻게 연락을 하는 ...
연구 문제는 논문의 어느 부분에 제시해야 하나요?
Language Korean 연구 문제가 논문에서 아주 중요하다고 배웠고, 공들여 연구 문제를 작성하였습니다. 하지만 논문의 어느 부분에 연구 문제를 제시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연구 논문은 통상 서론(Introduction), 연구 방법(Methods), 연구 결과(Results), 결론 및 논의(Discussion) 등의 섹션으로 나누어집니다. 이를 IMRA식 구성이라고 합니다. 연구 문제는 즉 연구의 목적이나 가설이라고도 하는데, 이는 연구의 맥 ...
연구 방법 섹션에서 기술된 모든 연구절차에 대해 결과 섹션에서 전부 보고해야 하나요?
Language Korean 연구방법 섹션에서 언급되고 사용된 모든 연구 방법에 대한 결과를 결과 섹션에서 전부 제시해야 한다는 이야기를 최근에 읽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저는 이때까지 연구 결과는 데이터의 검증과 요약을 통한 “데이터 분석” 안에 포함해야 한다고 생각해왔습니다. 어떤 것이 맞나요? 연구 결과 섹션은 연구를 통해 도출해 낸 주요 결과를 의미 추론 없이 제시하는 부분입니다. 이때, 연구 방법 섹션에서 논의된 순서에 따라 그 결과를 체계적으 ...
시제때문에 고민하다가 오게 됐습니다.
Language Korean 이러이러한 사실이 참인지 알아보려했다. 이런 식의 문장을 만드는데요 예를 들어 I sought to determine whether the fact is true. 만약 이렇게 쓴다면요 한 문장에 시제가 저러면 안 된다고 배웠는데 여러 논문을 읽어보니 주로 저렇게 쓰는 사람이 많더라고요. 그렇다고 I sought to determine whether the fact was true. 이렇게 쓰면 종속절이 과거니까 현재 ...
학위 논문 주제 정하기
Language Korean 안녕하세요? 저는 올 3월에 석사과정에 입학하였고 달의 기원을 연구하기 위해 행성과학을 공부하고 있습니다. 제가 궁금한 점은 첫째 어떤 조건들을 충족해야 논문 주제를 정할 수 있는지 입니다. 이제껏 제 관심 있는 연구 분야에 대한 논문과 서적들을 읽어오고 있지만 이런 것 들을 읽어도 특별히 뭘 연구해 봐야겠다는 생각도 안 들고, 아이디어도 없고, 초중고대학생 때 학교 공부 하듯이 '아~그렇구나' 하고 말아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