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here
검색결과
학계에 머물러야 할까요, 업계에서 일하는 것이 좋을까요?
English Language Korean 저는 박사후연구원 5년차의 박사학위 소지자입니다. 논문게재실적도 좋은 편이고, 수업경력도 2년 있습니다. 지난 일 년 간 교직원 자리를 얻으려고 애썼지만 성공하지 못했습니다. 제 경력이 학계에 남기에는 불충분한지, 업계에서 다른 직업을 찾아야 하는지 확신이 서지 않습니다. 조언을 받고 싶습니다. 종신교수의 자리를 얻는 데는 많은 시간이 걸립니다. 통계에 따르면 최근 학계의 수요에 비해 박사급 연구원들이 과 ...
이해충돌
과학의 기본은 객관적이며 편향되지 않아야 합니다. 만약 연구에서 특정 결과치를 얻을 경우, 재정적으로 또는 경력에 이득이 된다고 가정해봅시다. 비록 그 자체는 허용가능 하지만, 어떤 이들은 이러한 고려사항은 연구결과의 연구설계, 시행, 또는 출판을 훼손한 것으로 의심할지도 모릅니다. 특히, 연구자가 잠재적인 이득을 공개하지 않았을 때 말이죠. 이러한 상황을 이해충돌(COI)라고 합니다. 이해충돌 이란? 연구자의 논문에 잠재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
사전 동의: 임상실험에서 잊지 말아야 할 필수 사항
English 아프리카의 에이즈 확산에 대한 연구를 마치고, 독자들이 환자들에 대해 좀 더 잘 이해할 수 있었으면 하고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논문에 현장 조사에서 찍은 소년의 웃는 사진(질병에 대한 언급)을 포함하였습니다. 잘못된 점이 있을까요? 1998년 4월, 캐나다 의료 협회 저널(CMAJ)에 논문 하나가 발표되었습니다. 소년의 부모나 보호자로부터 사진 출판에 대해 서면으로 동의를 얻었는지를 궁금하게 여긴 독자가 이를 강하게 비판했습니다. ...
[논문 작성법] 문장의 첫 시작에서는 숫자와 약어를 피하자!
대부분의 저널은 문장의 첫 시작을 약어나 숫자로 시작하지 않기를 권장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laser나 radar 등과 같은 독립단어나 NASA, CERN과 같은 기관명을 나타내는 경우 약자 사용이 허용되기도 합니다. 일반적으로 논문의 '결과' 항목에서 “식물의 15%가 생존했다(15% of the plants survived)” 또는 “환자의 48%가 회복되었다(48% of the patients recovered)”등 숫자로 문장 ...
학술 논문에서 1인칭(I 와 We) 사용이 가능할까요?
신진 연구자들은 종종 영어논문 작성이나 학술 번역 에서 'I' 나 'We' 를 써서는 안 된다는 지적을 받습니다. 객관적여야 하는 학술 논문에서 1 인칭을 사용하면 독자들에게 주관적인 견해로 받아 들여질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학술 논문에서 일인칭을 사용해서는 안 된다는 일반적인 규칙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유려한 과학 Eloquent Science』 1 의 저자 데이비드 슐츠(David Schultz) 박 ...
[출판윤리] 사이비 출판사를 조심하세요!
오픈 액세스가 인기를 얻음에 따라 개인이 사이비 저널을 개설해 게재를 약속한 뒤 값비싼 게재수수료를 요구하기도 쉬워졌습니다. 최근 오픈 액세스 저널이 급증했기에 매일같이 새롭게 생겨나는 저널들을 따라가기도, 이들 출판사의 신뢰성을 측정하기도 어려워졌습니다. 다음은 여러분이 처음 들어보는 새로운 저널에 논문 투고를 결정하기 전에 고려해볼 사항들의 리스트입니다. 저널 웹사이트에 주소를 포함한 연락처 정보가 정확히 공개되어 있습니까? 온라인 연락처만 공개되 ...
임팩트 팩터를 대체할 새로운 연구 영향력 척도
저널 임팩트 팩터, h-인덱스 등 학술적 영향력에 대한 기존 척도들은 모든 연구자들에게 익숙할 것입니다. 그러나 인기에도 불구하고 인용횟수에 기반한 출판통계분석은 여러 가지 이유로 비판을 받고 있는데, 인문학 등 분야에서는 연구 영향력을 적절히 측정하기 힘들다는 이유 등입니다. 학술문헌의 온라인 출판이 늘어남에 따라 연구의 영향력은 형식적인 인용 이상으로 확장되었습니다. 학술출판은 과학 블로그, SNS, 온라인 토론 포럼 등을 통해 사용되고 의견이 오가 ...
[영어 논문 작성] 자주 혼동하는 논문용 영단어 특강 2
English 저는 지난 수 년간 영어가 모국어가 아닌 사용자들이 학술번역 에서 흔히 저지르는 실수들을 여럿 마주쳤습니다. 영어 단어와 구문을 잘못 사용하면 독자들에게 혼란을 주거나 오해를 빚을 수 있습니다. 영어 사전이나 논문 번역 사이트 등을 활용하여도 의미의 차이를 명확하게 이해하기 어려운 경우도 있습니다. 혼란을 없애고 여러분이 영어에 능숙해질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지난 포스트 에서 자주 혼동하는 단어들에 대해 이야기했는데, 이번 포스트에서 몇 ...
[논문작성법] 그래프의 패턴 채우기
English 그래프는 종종 그림, 혹은 숫자로 간주되곤 합니다. 그래프는 일련의 숫자 이면의 의미를 담고 있으며, 이 의미를 한 눈에 이해할 수 있도록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연구자로서 여러분은 분명 변수의 크기나 빈도를 나타내는 막대그래프에 익숙할 것입니다. 예를 들어서 각 국가의 사람들이 하루에 섭취하는 칼로리라든지, 각 도시의 연간 강수량(mm)을 비교할 때 막대그래프가 쓰입니다. 막대그래프에서 중요한 것은 각 막대의 높이 (또는 수평으로 나열 ...
[학술 글쓰기] 용어 관련 편견 줄이기
학술적 글쓰기에서는 정확성, 간결성, 객관성이 중요합니다. 그러므로 필자로서, 편집자로서, 우리는 감수성이 결여된 언어나 흠결 있는 용어에 파고드는 편견을 줄여야 합니다. 글쓰기가 사상을 형성한다는 사실을 기억하고, 아래의 주제에 대해 글을 쓸 때는 포괄적인 언어를 사용하도록 합시다. 장애Disability: 인간중심적인 화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즉, 그 사람의 상태보다 그 사람을 가리키는 명사를 앞에 둠으로써 장애가 아닌 인간을 강조해야 합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