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here
검색결과
교수가 되는 것만이 연구자의 길인가요?- 스벤 헨드릭스 박사
스마트사이언스커리어 사이트 설립자 스벤 헨드릭스 박사 Language Korean 20+ 스벤 헨드릭스 박사는 스마트사이언스커리어 사이트의 설립자이자, 벨기에 하셀트 대학의 신경해부학 정교수, 의학 및 생명과학 부문 박사 프로그램 책임자이기도 합니다. 박사는 의학을 공부하면 과학에 대한 열정을 발견했고, 이후 초기 경력 연구자들과 커리어 관련 조언을 나누기 위해 새로운 플랫폼을 설립했습니다. 스마트사이언스커리어 라는 사이트에 대해 들어본 적 있으신 ...
에디티지 인사이트 편집장 클라린다 세레조와의 인터뷰- 더 활기찬 연구자 커뮤니티로 발전시키고 싶어요!
클라린다 세레조, 편집장, 에디티지 인사이트 Language Korean 에디티지 인사이트 편집장 클라린다 세레조는 연구자들을 위한 글로벌 플랫폼의 콘텐츠와 커뮤니티를 총괄하고 있습니다. 클라린다는 11년이 넘는 시간 동안 연구자들이 국제적 저널에 원고를 투고하고 게재 승인을 받을 수 있도록 돕기 위해 비영어권 저자들과 긴밀하게 협력하여 왔습니다. 학술 출판 편집자 및 트레이너로서의 경험을 통해, 연구자들이 직면하는 압박감과 논문 출판 과정에서 당면하게 ...
"모든 편집자들이 리뷰어 자원의 다양화를 적극적으로 모색할 것을 강력히 권합니다.”- 피파 스마트 (Pippa Smart), Learned Publishing 저널 편집장
피파 스마트 (Pippa Smart), Learned Publishing 저널 편집장 Language Korean 30+ 저는 피파 스마트 (Pippa Smart)와 함께 편집자들이 피어 리뷰에서 다양성과 포괄성을 촉진하기 위해 할 수 있는 역할에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피파 스마트는 자신의 회사인 PSP Consulting을 운영하는 연구 출판 및 커뮤니케이션 컨설턴트입니다. 30년 이상 학술 및 연구 출판 분야에서 일한 피파는 이 분야에 예리하고 깊 ...
출판사가 피어리뷰에서 포괄성을 보장하는 법: 힌다위 찰리 켈너(Charlie Kelner) 인터뷰
찰리 켈너 (Charlie Kelner), 힌다위 연구자 참여 매니저 Language Korean 출판사가 어떻게 피어리뷰에서 포괄성을 촉진할 수 있는지 이해하고자 힌다위의 찰리 켈너(Charlie Kelner)와 인터뷰를 진행했습니다. 찰리 켈너 (Charlotte(Charlie) Kelner)는 힌다위의 연구자 참여 매니저입니다. 찰리는 리뷰어가 가능한 최고의 경험을 갖도록 하는 데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힌다위의 피어 리뷰 프로세스에 참여하는 모든 ...
"좋은 과학도 제대로 전달되지 않으면 나쁜 과학이 될 수 있습니다."- 크리스티나 조, 예일대 의과대학 박사후 연구원
크리스티나 조, 예일대 의과대학 박사후 연구원 Language Korean 과학 커뮤니케이션이 연구자에게 어떤 의미인지, 연구자가 자신의 분야에서 가시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지 이해하기 위해 예일대 박사후 연구원 크리스티나 조 박사를 인터뷰하였습니다. 박사와의 대화에서 자신의 연구에 대해 더욱 잘 알리고, 소통하는 팁을 얻어보세요! 에디티지 인사이트는 예일대 박사후 연구원, 크리스티나 조(@ChochrPhD) 박사와의 인터뷰를 통해, 과학 커뮤 ...
[학계 밖 경력 탐색 시리즈 01] 바이오·제약 전문 변호사, 이우진 박사 인터뷰
이우진, 바이오/제약 전문 변호사 Language Korean 연구자들을 위한 ‘학계 밖 경력 탐색’을 주제로 다양한 전문가와 만나는 시리즈의 첫 인터뷰입니다. 이우진 박사는 신경과학 분야의 연구 경험을 바탕으로, 변호사로서 제약회사 및 병원에 법률 문제를 자문하고, 생명과학 및 제약 분야 전문 특허 문제를 다루고 있습니다. 이우진 박사의 학계 밖 경력 탐색 경험과 조언을 확인하세요! * 이 인터뷰는 연구자들을 위한 ‘ 학계 밖 경력 탐색 ’을 주제로 ...
[학계 밖 경력 탐색 시리즈 02] 과학자와 엄마로서의 삶 함께하기- 윤정인 (주)리윤바이오 공동 대표 인터뷰
윤정인, (주)리윤바이오 공동 대표 Language Korean 유기화학자인 윤정인 대표님은 벤처 창업가로서 신약을 연구하고 개발하는 ㈜리윤바이오를 설립하고, 현재 공동대표이자 CTO로 일하고 있습니다. ESC(변화를 꿈꾸는 과학기술인 네트워크) 이사 및 젠더다양성 위원회 부위원장으로도 활동하고 있습니다. * 이 인터뷰는 연구자들을 위한 ‘ 학계 밖 경력 탐색 ’을 주제로 다양한 전문가와 만나고, 학계 밖의 직업과 커리어 전환 여정을 탐구하는 시리즈 기 ...
국내 동료심사(Peer review) 현황 및 연구 진실성 개선을 위한 방안: 이효빈 대학연구윤리협의회 집행이사 인터뷰
이효빈, 대학연구윤리협의회 집행이사 Language Korean 피어 리뷰 주간 2022를 맞아, 대학연구윤리협의회 집행이사이자, 한국연구재단 연구윤리정보센터 자문위원으로 활동하고 계신 이효빈 박사님과 국내 동료심사 현황 및 연구 진실성 개선을 위한 방안을 주제로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이효빈 박사님은 한국연구재단에서 발간한 <신진연구자를 위한 연구윤리 첫걸음>, <학술연구와 관련된 동료심사(Peer Review)의 윤리기준에 관한 연구 ...
[학계 밖 경력 탐색 시리즈 03] 파이펫을 놓은 연구자, MSL(Medical Science Liaison)의 세계- 조인수 박사 (Ph.D.) 인터뷰
조인수 / 글로벌 제약사 사노피 (Sanofi) 특수질환 사업부, 희귀질환, 신경계질환 메디컬팀 리드 Medical Lead Language Korean 조인수 박사님(Ph.D.)은 10년 간 함께한 파이펫과 실험복, 연구실의 실험 과학자 여정에 마침표를 찍고, 글로벌 제약회사 메디컬팀(의학부) MSL(Medical Science Liaison)을 거쳐, 현재 글로벌 제약사 사노피 (Sanofi)의 특수질환 사업부에서 희귀질환, 신경계질환 메디컬팀 리드 ...
[학계 밖 경력 탐색 시리즈 04] 전문성과 확장성을 동시에 추구하는 융합적 투자자, 바이오헬스케어 전문 투자심사역(VC) 곽용도 박사 (Ph.D.) 인터뷰
곽용도 / 바이오헬스케어 전문 투자심사역, 유안타인베스트먼트 Language Korean 곽용도 박사님 (Ph.D.)은 뇌질환과 생체리듬 간의 분자적 연결고리 연구로 박사학위를 마치고 산업계에서 다양한 뇌질환의 신약개발 연구를 하다가, 현재는 학계와 산업계의 경험을 바탕으로 투자업계에서 바이오 헬스케어 전문 벤처캐피탈리스트(Venture Capitalist)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과학적 전문성에 뿌리를 두고 다양한 영역으로 가지를 확장해 나가고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