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here

Results 871 - 880 of 891

검색결과

Free Content
기사

논문양식, 중요한가?

저널에 투고할 논문 준비를 돕는 일을 일상적으로 하고 있는 학술 교정자인 저는 저널의 가이드라인에 따라 논문 양식을 수정하는 일을 하고 있습니다. 이 가이드라인은 종이 크기와 언어 형식 등 기본적인 지시에서부터 각 항목의 포맷, 데이터의 제시방식, 참고문헌 작성법까지 다양한 사항을 포괄합니다. 포맷 가이드라인은 스펠링, 문장부호, 데이터의 명확한 제시(참고문헌 목록 등) 등의 측면에 일관성을 유지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시카고 스타일 매뉴얼 ...

날짜: 2015년 01월 22일
Free Content
기사

[논문쓰는법] IMRAD를 기억하자!

논문이 아이디어를 잘 전달하려면 짜임새 있는 구조가 중요합니다. 대부분의 저널에서는 과학논문의 경우 전통적인 포맷인 IMRaD (서론, 자료 및 방법, 결과, 토론) 포맷으로 작성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논문이 연구 내용을 잘 전달할 수 있도록 IMRaD 의 각 항목을 구성하는 방법에 대해 간단히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서론  (Introduction) 서론에서는 연구 대상과 연구 이유를 명확하게 설명해야 합니다. 연구의 맥락을 설정하는 것 ...

날짜: 2015년 02월 10일
Free Content
기사

유전자, 유전자 생산물의 표기 방식

표기 법칙 중 어떤 것은 단순하고 직설적이지만, 무엇을 다루느냐에 따라 깊은 이해가 필요하기도 합니다. 유전자와 그 생산물이 이런 경우입니다. “종의 학명은 이탤릭체로 쓴다”, 그리고 “유전자 기호는 이탤릭체로 쓴다” 같은 단순한 지시사항도 있는 반면, 유전자의 명칭은 보다 복잡합니다. 이 글에서는 단순한 설명보다는 이렇게 복잡한 사항에 대해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유전자 명칭 표기가 복잡한 까닭 중 하나는, 표기 방식이 생물의 종류에 따라 다르기 때문입 ...

날짜: 2015년 02월 16일
Free Content
기사

논문 제목 뒤의 콜론과 마침표는 생략한다

제목(heading 또는 headline)은 일반적인 맞춤법 관행에 엄격히 지배를 받지 않는 특수한 텍스트입니다. 특히, 제목을 독립된 줄에 쓸 때(소제목에 이어지는 텍스트가 다음 줄에서 시작될 때) 소제목에 콜론(colon)이나 마침표(full stop)를 쓸 필요가 없습니다. 유럽 연합 출판국(The Publication Office of the European Union)[1] 은 이 문제를 다음과 같이 간단명료하게 정리하고 있습니다. “제목 뒤, ...

날짜: 2015년 05월 11일
Free Content
기사

과학 논문에서 비율 표기하기

속도(예: 시간 대비 킬로미터), 농도 (예: 리터 당 그램), 복용량(예: 체중 1킬로그램대 밀리그램) 등의 양을 어떻게 표현할 수 있을까요? 답은 두 가지입니다. 예를 들어 시간당 60킬로미터를 60 km∕h 또는 60 km h −1 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둘 중 어떤 방법을 선택할지 결정할 때 중요한 포인트를 논의해 보겠습니다. 1. 마이너스(−) 기호 사용 마이너스 기호 대신 많은 저자들은 하이픈을 사용하지만, 이는 틀린 사용입니다 ...

날짜: 2015년 05월 15일
Free Content
기사

소제목(major headings, subheadings, minor headings) 사용법

이런 테스트를 해 봅시다. 여러분의 연구 주제에 대해 거의 아무것도 모르는 사람 한 명을 골라서, 논문 초안을 준 다음에 여러분이 사용한 소제목을 가지고 조직도 (organogram, organizational chart)를 만들어 보라고 해보십시오. 만약 그 사람이 소제목을 적절한 위치에 배열해 조직도를 만들 수 있다면 성공입니다.   소제목을 적절하게 구성하고 일관성 있게 배치하면 독자들이 논문을 훑어볼 때 전체적인 내용을 대략 파악하기가 더 쉽습니 ...

날짜: 2015년 11월 05일
Registered Content
기사

내 연구가 유의미할까? p-value(유의 확률)에 의존해서는 안 되는 이유

학술 논문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보고되는 통계는 아마도 가장 많이 오해되고 있기도 하고 오용되고 있기도 할 것입니다. 바로 p-value(유의 확률)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최근 미국통계학회 (ASA)는 p-value의 해석과 적절한 사용에 관한 여섯 가지 원칙을 세워 <통계적 유의성과 p-value에 관한 성명서> 를 발표하였습니다.  ASA의 원칙과 이 원칙이 연구에 어떻게 적용되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p-value 는 데이터가 특 ...

날짜: 2016년 06월 02일
Free Content
기사

논문 본문 안에 참고문헌 저자 표기법- 하버드 스타일(Harvard style, Editage 제공)

연구는 공동의 노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새로운 연구는 이전에 이루어진 연구를 기초로 계획되며 다음으로 그 새로운 연구가 마침내 출판에 이르면 그 연구는 또 다른 새로운 연구의 기초가 됩니다. 해당 글을 통해 본문 문장 안에 참고문한 인용할 때 저자 표기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연구 논문의 전형적인 한 문장을 예로 살펴보겠습니다. ‘Vegetable xyz is the highest nitrate-accumulating salad vegetable, e ...

날짜: 2016년 09월 04일
Free Content
기사

[논문작성법 팁] 과학 저술에 비율 표기 중 음의 지수(negative exponents) 사용 팁

지난 기사에서는 논문에 속도, 농도, 용량과 같은 수량을 표현 하는 방법을 설명하였습니다. 이 외에 연구 논문에는 milligrams per litre, kilometres per hour, tonnes per hectare와 같은 비율 표현도 흔히 등장합니다. 비율은 몇 가지 방식을 이용하여 표현할 수 있습니다. 위에 언급한 세 가지 예는 mg/L, km/h, t/ha로, 또는 mg L –1, km h –1, t ha –1 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 ...

날짜: 2016년 09월 26일
Free Content
기사

[인포그래픽] APA 참고문헌 양식 한눈에 보기

참고문헌을 APA 양식으로 작성하기가 어려우시다면, 이 기사를 참고해보세요. 아래 인포그래픽에 주요 부분이 이해하기 쉽도록 순서대로 제시되어있으므로 아래 내용을 끝까지 읽어 주시기 바랍니다. *기사 하단의 인포그래픽 PDF 파일을 다운 받아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논문 출판 목표가 너무 멀어 보이나요? 학술 목표를 위한 솔루션 #POWERofMORE 을 탐색하세요. 자세한 내용을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참고문헌 목록은 학술 논문에서 아주 중요한 부 ...

날짜: 2018년 02월 02일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