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here
검색결과
연구 가설에 대해 알아야 할 모든 것
가설 (hypothesis) 은 실험이나 통계 분석 수행과 같이, 과학적 방법을 사용하여 검증할 수 있는 아이디어입니다. 잘 구성된 연구 가설은 적절한 실험 설계와 수집할 데이터의 정확한 특성을 식별하여 효과적으로 검증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연구 가설은 실험 결과가 연구 질문에 어떻게 답할 수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한 추측이며, 연구 목표를 가능한 한 명확히 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이 번 기사 에서는 좋은 연구 가설을 구성하는 방법에 관해 ...
연구배경과 문헌 검토의 차이점 및 작성 팁!
오늘은 연구 논문에서 연구 배경 과 문헌 검토 (literature review) 의 차이점을 알아보고, 연구 배경과 문헌 검토의 작성법의 기초를 알아보려고 합니다. 우선, 연구 배경은 논문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상대적으로 적지만, 논문의 맨 서두에 오는 만큼 논문의 연구 주제를 결정하고, 전체 맥락을 설정하는 데 중요한 요소입니다. 독자들에게 연구 주제의 중요성과 연구의 궁극적 목적을 이해하도록 설명해 주기 때문에 이를 통해 논문의 방향성과 맥락을 파악 ...
학술 출판에서 SCIE란 무엇이고, 어떻게 작용할까?
SCIE (Science Citation Index Expanded, 과학인용색인 확장판) 는 Eugene Garfield 가 창안하고, ISI(Institute for Scientific Information) 에서 제작된 학술 저널 서지 (書誌) 데이터베이스 입니다. 현재는 클래리베이트 애널리틱스 (Clarivate Analytics) 가 소유하여, 매년 저널 임팩트 팩터를 발표하고 있습니다. SCIE는 9,200 개 이상의 저널 서지 정 ...
학술 서평 잘 작성하는 법- 언제, 어떻게, 왜?
학술 서평의 필요성과 역할 " 학술 서평은 문헌을 평가하는 핵심으로, 저자, 독자 및 학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합니다."- 케빈 스타인메츠 박사, 저널 서평 에디터 학술 서평은 문헌을 비판적으로 평가한 보고서로서, 문헌에 대한 분석을 제공하여 연구자가 해당 문헌을 선택하고 자세히 살펴볼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안내해 줍니다. 연구자들은 한 분야에 출판된 모든 책을 읽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서평을 통해 상당량의 문헌을 축약 형태로 ...
한국 초기 경력 연구자들이 겪는 어려움과 이를 이겨내기 위한 전략
초기 경력 연구자 (Early Career researchers, ECR) 에 대한 정의는 기관마다 차이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박사과정 수료 후 4~5 년 이내의 연구 경력을 가진 연구자, 혹은 그와 동등한 연구 경력을 가진 자들을 포함합니다. 일부 기관에서는 박사 후 연구 경력 8 년 이내 혹은 박사 과정까지도 넓혀서 정의하고 있습니다. 1, 2 한국은 초기 경력 연구자들의 경력 개발을 위한 시도를 해 왔습니다. 90년대 후반에 출범된 BK21(B ...
[사례 연구] 의학 연구자가 임상 시험 등록에서 알아야 할 필수 사항
[사례] 한 의학 연구자 분이 자신의 논문을 주요 의학 저널에 투고할 계획이라며, 편집 교정을 위해 저희에게 논문을 보내주셨습니다. 임상 연구를 기반으로 한 이 연구 결과는 정말 참신하였습니다. 이메일 소통 과정에서 저희 에디터가 임상 연구 등록 여부를 문의하였고, 저자는 등록했음을 확인했습니다. 저자는 교정 결과에 만족하였고, 투고 저널에 해당 의학 논문이 출판되기를 바라며, 저널이 이 논문에 관심이 있는지 투고 전 사전 투고 문의를 보냈습니다. 저널 ...
성 소수자 인권의 달(Pride Month) 이후, LGBTQ+ 학술 행사 소식
성 소수자 인권의 달(프라이드 먼스·Pride Month)는 6월로 마무리가 되었지만, 학계가 내년 6월까지 이에 관한 대화를 보류하는 것은 아닙 니다! 올해 안에도 아직 많은 행사가 있습니다. 이 기사에서는 다양한 국가와 분야에서 예정된 다양한 LGBTQ+ 관련 학술 행사 중 일부 요약하여 공유드립 니다. 학계에서 이 행사가 중요한 이유 중심축이 된 1969년 스톤월 폭동 과 1970년에 개최된 최초의 프라이드 행사 이래로 레즈비언, 게이, 양성애자, ...
임팩트 팩터(IF)는 절대적인 척도일까?
임팩트 팩터(IF, Impact Factor)는 피인용지수 라고도 불리우며, 1955년 유진 가필드(Eugene Garfield)에 의해 만들어진 저널 영향력을 나타내는 지표 입니다. 유진 가필드가 설립한 데이터베이스 업체 ISI(Institute for Scientific Information)는 이후, 톰슨 로이터(Thomson Reuters)에 인수되었고, 현재 별도로 분리된 회사인 클래리베이트(Clarivate Analytics)에서 논문을 출판 ...
올해 '피어 리뷰 주간' 행사 주제를 알아볼 준비가 되셨나요?
학술 출판사 및 협회, 기관, 연구자들을 포함한 전 세계의 학술 커뮤니케이션 관계자들이 학술 출판계의 가장 큰 연례 행사인 <피어 리뷰 주간> 행사를 준비하기 시작하는 시기입니다 1. 피어 리뷰 주간 (Peer Review Week, PRW)은 신뢰할 수 있고 수준 높은 연구가 출판되기 위해 피어 리뷰가 수행하는 역할을 기념하기 위해 열리는 연례 국제 행사입니다. 이 행사는 매년 피어 리뷰 과정의 특정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됩니다. 피어 ...
2022년 저널 인용 보고서(JCR) 하이라이트
지난 6월 말, 클래리베이트(Clarivate)는 2022년 저널 인용 보고서 (JCR, Journal Citation Reports)을 발표했습니다. JCR은 학계 커뮤니케이션에서 중요한 연례 보고서이며, 모두가 손꼽아 기다리는 저널의 영향력 정보, 저널 임팩트 팩터(JIF, Journal Impact Factor)에 대한 수치를 제공합니다. 이 지표는 어느 출판사에 치우치지 않는 중립적인 자료이기 때문에 저널을 평가할 때에 크게 의존하는 자료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