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here

Results 371 - 380 of 893

검색결과

Free Content
기사

교신저자(corresponding author)를 위한 투고 전 단계 5가지 팁

모든 연구자는 저자권(authorchip)을 진지하게 생각합니다. 논문에 저자로 이름을 올리는 것은 중대한 일입니다. 출판을 위해 글을 쓰는 것은 모든 연구자의 삶의 여정에서 협상할 수 없는 부분이며 여러분도 자신의 여정을 따라가다 보면 곧 이와 같은 일을 하고 있을 것입니다. 여러분이 만약 연구실이나 집중 연구 그룹의 연구 책임자(Principal Investigator, PI) 밑에서 일한다면 여러분은 아마 자신이 수행한 일을 PI에게 보낼 것이며, ...

날짜: 2018년 01월 17일
Free Content
기사

“약탈적" 해적 출판사 및 저널리스트를 수록한 Beall's list의 폐쇄

의심스러운 저널과 출판사 목록으로 유명해진 블로그 Scholarly Open Access 가 최근 폐쇄됐습니다. 이는 미국 덴버의 콜로라도대학 (UC 덴버) 사서인 Jeffrey Beall 이 2008년부터 운영해 오던 블로그입니다. 그뿐 아니라 Beall의 교원 정보 페이지 또한 접속 할 수 없어졌습니다. 이 사태가 일어난 정확한 이유는 알 수 없지만, UC 덴버 대변인에 따르면 이는 Beall의 개인적인 결정이었다고 합니다. 또, “ Beall 교수 ...

날짜: 2018년 01월 17일
Free Content
기사

에디티지 인사이트 2017: 연구자가 뽑은 가장 유용한 기사

학술 출판 세계의 최신 소식들을 알려 드리고 여러분의 커리어 개발을 위해 에디티지 인사이트에는 2017년 한 해 동안 인터뷰, 기사, Q&A, 퀴즈 등 600개에 달하는 글이 실렸습니다. 에디티지 인사이트의 기사는 오로지 독자의 관심사와 니즈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으며, 전 세계 3백만 명이 넘는 구독자 수 만큼 주제 또한 매우 광범위해졌습니다. 그런데 그중 가장 많은 사람이 읽은 기사는 어떤 기사일까요? 2017년 에디티지 인사이트 커뮤니티에서 ...

날짜: 2017년 12월 30일
Registered Content
기사

저널 투고 후 교신저자가 해야 할 일

지난 글에서는 논문의 교신저자가 되는 것의 의미와 원고가 저널에 투고되기 전에 교신저자로서 해야 할 가장 중요한 일들이 무엇인지 이야기했습니다. 이 글에서는 논문을 저널에 투고한 후 교신저자가 해야 할 일들을 간략히 짚어보겠습니다. 또한, 효과적인 업무 수행을 위해 교신저자가 가져야 하는 자질에 관해서도 이야기하겠습니다. 논문이 투고된 후 교신저자가 해야 할 일 ·  연결 고리 역할 수행: 논문이 투고된 후 교신저자는 단독으로 공저자들과 저널을 연결하는 ...

날짜: 2018년 01월 20일
Registered Content
기사

박사후연구원(postdoc)이 반드시 알아야 할 멘토/PI 선택 팁 7가지

박사후과정 기간은 경력 초기 연구자가 독립적인 직업 세계로 뛰어들기 이전의 도약대입니다. 거대한 연구자 집단에 열려있는 일자리 수는 상대적으로 적은 가운데 현재의 학술 연구 지형은 치열한 경쟁 속에 성장을 거듭하고 있습니다. 어쩌면 그 어느 때 보다 올바른 멘토를 찾는 것이 박사후과정 기간을 보람 있는 경력 이동뿐만 아니라 만족스러운 학습 경험으로 귀결짓는 데 결정적 역할을 할 것입니다. 지난 글에서는 박사후연구원들이 겪는 어려움과 멘토가 이들의 성공을 ...

날짜: 2018년 01월 25일
Free Content
기사

중국, 미국 제치고 세계 최대 학술 출판국으로 부상

미국 국립과학재단 (NSF) 이 발표하는 2018 세계 과학·공학 지표 에 따르면, 중국이 최근 미국을 누르고 세계에서 가장 많은 학술 논문을 출판하는 나라로 올라섰습니다. 2016년 중국은 42만 6천 개가 넘는 연구를 출판하였는데, 이는 엘스비어의 Scopus 데이터베이스에 색인된 전체 출판물의 18.6%에 달합니다. 같은 해 미국은 40만 9천 개의 연구를 출판하여 중국에 뒤처지게 되었습니다. 중국의 출판량은 최근 몇 년간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여 ...

날짜: 2018년 02월 02일
Free Content
기사

윤리적 저자권(authorship): 어느 저널 에디터의 다이어리 기록

이 글은 Education & Self Development 저널에 게재된 글이며 저널의 허가를 받아 이곳에 재수록합니다. 각 학술 논문의 시작 부분에는 제목 아래 저자 목록이 있습니다. 우리는 공저자 이름과 함께 우리 이름을 쓰는 것에 상당히 익숙해져서 그에 대해 별다른 생각을 하지 않습니다. 이 글에서 저는 이를 올바르게 이해하는 것이 왜 중요한지 설명하고자 합니다. 출판 논문의 저자나 저자 중 한 사람으로 이름을 올리는 것은 연구자로서의 신 ...

날짜: 2018년 02월 07일
Free Content
기사

과학 저널의 국제화에 발맞추지 못하는 저널 편집위원회의 국제화

이 글은 ≪THE WIRE ≫ 에 게재된 글이며 저자인 Sarah Iqbal(인도 알리가르 무슬림 대학 생화학과 선임 연구원)과 출판 에디터 Vasudevan Mukunth의 허가를 받아 이곳에 재수록합니다. 오늘날 우리가 ‘과학’이라고 부르는 많은 것들은 연구 저널에 실린 논문과 관련된 지표에 의해 좌우됩니다. 따라서 누가 출판 가능한 과학을 생산하고 공리적으로 어느 출판사가 이들의 논문을 인쇄하기로 했는가에 초점을 맞춰 많은 논의가 이뤄지는 것은 당 ...

날짜: 2018년 02월 13일
Free Content
기사

엘스비어와 계약 갱신한 한국 대학들, 구독료에 불만

300개의 한국 대학과 대학 도서관들이 조직한 컨소시엄이 거대 출판사인 엘스비어와의 긴 협상 끝에 이견을 좁히고 협상을 타결했습니다. 사이언스다이렉트(ScienceDirect) (3500여 개의 학술 저널과 여러 전자책으로 구성된 엘스비어의 데이터베이스) 구독료 인상이 이 의견 충돌의 원인이었습니다. 엘스비어는 협상 기간 동안 한국의 대학교 및 연구기관들에게 사이언스다이렉트를 계속 접속할 수 있도록 허가해 주긴 했지만, 협상이 길어지면서 접속 권한이 중 ...

날짜: 2018년 02월 13일
Free Content
기사

[인포그래픽] 논문 번역 및 작성을 위한 올바른 콤마 사용법 6가지

해당 인포그래픽 은 먼저 GrammarCheck   에 게재되었던 것으로, 허가를 받아 이곳에 다시 게재되었습니다. 콤마 (,) 는 영어에서 매우 유용하게 쓰이는 문장 부호로, 글쓴이의 필요에 따라 문장 안의 여러 요소를 효과적으로 구분하는 데 사용됩니다. 한 문장 안에서 의미와 의미 사이를 끊어 주는 역할을 하며, 적절히 사용했을 경우 글을 읽기 쉽게 할 뿐 아니라 문장의 의미를 더 정확하게 전달하는 데도 도움이 됩니다. 하지만 사전이나 논문 번역 사 ...

날짜: 2018년 03월 03일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