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here

Results 231 - 240 of 893

검색결과

Free Content
기사

에디티지, 물리학협회(IOP: IOP Publishing)와 업무협약 체결

에디티지가 물리학/공학 분야 학술연구 출판사 IOP Publishing(Institute of Physics Publishing)과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IOP 영문교정 서비스를 통해 저자의 출판을 지원하게 되었습니다. 영문 교정 및 출판 지원 서비스를 선도하는 에디티지(Editage)는 영문 교정, 학술 논문번역, 저널투고 등의 서비스를 지원합니다. IOP Publishing의 출판 운영팀 Associate Director Marc Gillett 는 “ ...

날짜: 2016년 04월 08일
Registered Content
기사

박사 학위자를 위한 분야별 직업 선택 범위와 글로벌 동향

“학계에 남아야 할까? 아니면 산업계로 진출해야 할까?” 이것은 모든 박사과정 학생이나 박사후과정 연구원이 연구를 완료해 갈 무렵 마주하는 중요한 질문입니다. 박사후 연구원의 경우 학술 연구직이 진로로 선호되지만, 신임 연구원에게 다양한 선택의 폭을 제공하는 산업계도 그에 못지않은 매력을 갖고 있습니다. 전 세계 박사 학위자와 박사후연구원의 우려와 관심을 끌고 있는 주요 이슈 중 하나는 교수직 부족 문제입니다. 이로 하여 테뉴어 트랙(tenure tra ...

날짜: 2016년 04월 11일
Free Content
기사

학술 이력서(academic CV) 작성 방법

학계 구직 시장은 경쟁이 매우 치열하며, 구직에 한참 앞서 준비를 마쳐야 합니다. 훌륭한 학술 이력서를 갖추는 것은 박사과정 이후의 진로를 향한 첫 번째이자 가장 중요한 단계라고 할 수 있습니다. 많은 경우 이력서는 인터뷰 제의를 받는 결정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학술 이력서(CV)는 일반 이력서(resume)보다 훨씬 더 상세히 작성됩니다. 여기에는 개인의 업적과 출판물은 물론, 학력, 연구, 교수 경력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포함됩니다. 다음은 학술 이 ...

날짜: 2016년 04월 14일
Free Content
기사

학술 인터뷰 준비하는 방법

주로 박사후과정 연구직과 교수직 채용을 위해 시행되는 학술 인터뷰 과정은 일반 인터뷰와 다릅니다. 일반적으로 학술 인터뷰는 하루나 이틀 내내 진행되며 아래 나열된 항목 중 몇 가지를 포함합니다.   일대일 인터뷰 단체 인터뷰 전문 프레젠테이션이 수반되는 job talk 강의 시연 친목 행사와 식사 기관/대학 투어   인터뷰 전 준비를 철저히 하고 자신감 있는 상태로 응해야 합니다. 아래는 인터뷰 준비에 도움이 되는 몇 가지 실질적인 팁입니다. 지원 기관 ...

날짜: 2016년 04월 18일
Free Content
기사

미국에서 박사과정을 진행하고자 하는 유학생을 위한 4가지 팁

박사과정은 그 자체로 매우 힘든 도전입니다. 거기에 새로운 국가, 새로운 학교 문화에 적응해야 하는 일이 더해진다면, 그 과정은 더욱 빠르게 위압으로 다가올 수 있습니다. 새로운 국가에서 박사과정이나 박사후과정을 밟는 경우 몇 가지 극복해 나가야 할 도전이 있습니다. “각 상황에서 사람들은 내가 어떻게 대처하기를 바랄까?” “지도교수/상사와 소통할 때와 같은 특정 상황에서 어떻게 하는 것이 적절한 행동일까?” 이러한 의문을 갖고 고민하는 것은 매우 흔한 ...

날짜: 2016년 04월 20일
Registered Content
기사

박사후연구원(postdoc)을 위한 10가지 생존 전략

박사후 연구원은 박사과정 완료 후 학술 경력을 쌓고자 하는 연구자들의 수습 또는 훈련의 기회로서 의의가 있습니다. 박사후과정은 고급 연구를 수행하고, (그에 대한 보수를 받으며) 관련 분야의 지식을 늘리는 기회입니다. 또한 이 과정은 멘토링이나 연구자금 획득, 일상적인 연구실 활동 관리, 다른 연구 기관과의 네트워크 구축과 같은 교수로서의 책무와 관련된 실질적인 지식을 제공하며, 흔히 테뉴어 트랙 교수직을 향한 발판으로 여겨집니다. 하지만 박사후과정에는 ...

날짜: 2016년 04월 25일
Free Content
기사

박사후연구원(postdoc)을 위한 성공적인 학계 구직 8가지 팁

학계에서 평생직장을 찾아 정착하는 일은 쉽지 않습니다. 여기에는 크게 두 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점점 더 많은 대학이 테뉴어 트랙 자리를 임시 교수직이나 겸임 교수직으로 교체하고 있고, 한편 이와는 상반되게 전 세계적으로 박사학위 졸업자 수는 매년 증가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하나의 자리를 놓고 수백 명의 지원자가 다투고 있으며 경쟁은 날로 치열해지고 있습니다. 학계에 발을 들여놓기 위해서는 남들보다 좀 더 앞서나갈 필요가 있습니다. 만일 학계 밖으로 나 ...

날짜: 2016년 04월 29일
Free Content
기사

[포스닥 경력개발 시리즈] 미국 및 그 외 국가 박사과정 졸업자의 취업 결정 관련 조사 살펴보기

미국은 세계적으로 가장 많은 과학 인력을 포용하고 있는 국가로 고등 교육 및 연구 업무를 추구하는 이들의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지난 십 년간 연구자들의 국제적 이동은 매우 증가 하였으며 이에 따라 정책 입안자들은 연구자들의 취업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데 관심을 두기 시작하였습니다. 미국 국립과학재단(NSF)에서 최근 발표한 보고서 는 미국 내 과학, 공학, 의료 분야의 미국 시민권을 가진 박사과정 졸업자 수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 조사 ...

날짜: 2016년 05월 10일
Free Content
기사

피어리뷰의 중요성 및 리뷰를 잘 하는 방법

[이 글은 Wolters Kluwer 에서 발행한 기사를 허가를 받아 재수록한 것입니다. 이 글은 ≪ Academic Medicine ≫ 의 편집자인 Elizabeth S. Karlin, 선임 편집자인 Jennifer Campi, 편집 간사인 Mary Beth DeVilbiss에 의해 작성되었습니다.] 피어 리뷰(Peer review)란 연구 주제나 때로 적용된 방법론에 대해 전문 지식이 있는 학자(동료)가 연구를 평가하는 (또는 심사하는) 것을 말합니 ...

날짜: 2016년 05월 12일
Free Content
기사

Sci-Hub: 저작권 침해와 연구에 대한 보편적 접근 사이에서 계속되는 논쟁

학술 연구에 대한 접근은 자유로워야 할까요? 이 문제는 오랜 세월 동안 학계를 괴롭혀왔습니다. 하지만 지난해 엘스비어가 Sci-Hub의 창립자를 고소하면서 도덕적인 문제로 보이는 듯했던 이 문제가 법적인 문제로 전환되었습니다. 이에 대한 배경을 좀 더 덧붙이자면, Sci-Hub 는 유료화 장벽에 막힌 거의 모든 연구 논문에 대한 접근을 승인 없이 제공하는 웹사이트입니다. 카자흐스탄의 신경 과학 연구자인 Alexandra Elbakyan은 이러한 아이디어 ...

날짜: 2016년 05월 26일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