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here
검색결과
[영문법] 연구 논문에서 과거시제와 현재시제 사용
영어에는 다양한 시제 구분이 있지만, 연구 논문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시제는 단순과거와 단순현재이며, 이를 현재완료와 과거완료가 보충합니다. 여기서 ‘완료’란 동작이 완성되어 끝이 났다는 의미로, ‘완료시제’는 두 가지 사건의 시간적인 관계를 특정할 때 사용합니다. 전형적인 연구논문은 IMRaD 포맷을 따르며, 이때 시제는 항목마다 다른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면 서론에서는 현재시제와 과거시제가 함께 사용되고, 결과 항목에서는 과거시제가 주로 사용됩니 ...
논문 집필에 사용되는 다양한 영어
저널 출판, 특히 “과학, 기술, 의학”의 약자인 STM 저널 출판은 미국, 영국, 유럽의 몇 출판사의 전유물이며, 이들 저널에서 인정하는 영어는 적어도 스타일에 있어서는 미국 영어와 영국 영어가 전부입니다. 스타일 상의 차이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대부분 사소합니다. 예를 들면, 중요한 단어의 첫 자를 모두 대문자로 쓰는 “헤드라인 스타일”이나 제목 바로 아래 등장하는 단락의 첫 줄 들여쓰기는 미국에서는 흔치 않은 영국식 스타일입니다. 많은 저널에서, ...
과학 논문에서 “woman”과 “female” 구분해서 사용하기
최근 들어 인류를 나타내는 “ man kind”를 “ human kind”로, 의장을 의미하는 “chair man ”을 “chair person ”으로, 노동력을 나타내는 “ man power”를 “ work force”로 (또는 “human resource,” “labour force”, “personnel” 등의 표현을 쓰기도 합니다) 대체하는 것이 통상적입니다. 저자가 젠더 특정적인 용어를 사용했다 할지라도, 교정자가 이를 보다 적절한 젠더 중립적 ...
의학 논문에서 “케이스”, “환자”, “피실험자” 중 가장 적절한 표현은?
인간이 참여하는 실험을 할 때 연구자들은 데이터의 원천인 개인들보다 데이터에 집중하곤 합니다. 과학은 주체성보다 객관성을 우선하기에 연구 논문에서는 “나”, “우리”등의 주어가 잘 쓰이지 않으며 수동태를 선호합니다. 아마도 개인에 대한 언급을 피하기 위해 “케이스(case)”, “피실험자(subject)” 심지어 “데이터포인트(data point)” 등의 용어를 사용하는 경향 때문에 AMA 스타일 매뉴얼에서는 정확하며 선호되는 단어 및 구 안내에 이에 ...
심리학 실험 보고서 작성 시 잊지 말아야 할 5가지
지난 20년간 실험심리학 보고에 있어 상당한 발전이 이루어졌는데, 이는 특히 미국심리학회에서 발간한 < 심리학 실험의 보도기준 > 덕분이기도 합니다. 심리학 실험의 보고서 작성 시 빠뜨리거나 불완전하게 기술하는 경우가 많지만 매우 중요하고, 특히 실험의 재현 가능성을 위해서 필수적인 요소 들을 아래에서 살펴보겠습니다. 1. 피험자들이 왼손잡이인지, 오른손잡이인지, 뇌기능이 정상인지, 항정신성 약물을 복용하는지, 정상 시력을 가졌는지 또는 교정 ...
[공학논문작성법] 공학 논문을 집필할 때 지켜야 할 4가지
공학 분야에서 엔지니어와 연구자의 차이 공학은 응용지향적인 분야로 간주되는 경향이 있기에, 응용의 바탕이 되는 이론에 대해 중요성을 두는 경우가 적고, 또 공학 분야의 저자들이 연구 논문을 집필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습니다. 엔지니어와 연구자의 차이 중 가장 큰 것은 접근법의 차이입니다. 엔지니어는 이론을 적용하는 행위로 접근하며, 연구자는 이론을 연구하거나 설명하는 방식으로 접근합니다. 제 의견은, “엔지니어”와 “학문 연구자” 의 차이를 반드시 이해 ...
초보 연구자를 위한 '체계적 문헌고찰(systematic review)' 가이드
체계적 문헌고찰 (systematic review) 이란 무엇일까요? 체계적 문헌고찰이란 기존의 문헌을 철저히 검토해 명확한 질문을 만들어내는 것입니다. 이런 검토에서는 명백하고, 반복 가능하며, 최소한의 바이어스를 가진 방법론을 사용해 연구질문에 관련된 근거를 검색하고, 식별하고, 선정하고, 평가하고, 종합합니다. 체계적 문헌고찰은 특히 근거에 기반한 의학에서 결정적인 역할을 하지만, 다른 분야에서도 높은 가치를 갖습니다. 체계적 문헌고찰은 일반적인 ...
[의학논문] 임상사례보고서(clinical case report) 작성법
임상사례 보고서란? 임상사례 보고서는 의학 커뮤니케이션의 가장 초기 형태라고 볼 수 있습니다. 임상사례 보고서 또는 사례연구는 임상 실무에서 얻은 새로운 지식을 전파하는 수단입니다. 의학 실무자는 기존에 알려지지 않았던 질병, 기존에 알려진 질병의 새로운 형태, 치료에 대한 보기 드문 부작용 또는 역반응, 잘 알려진 의학적 질병에 대한 새로운 접근 등 독특하거나 보기 드문 사례를 다루게 될 때가 많습니다. 즉 임상사례보고서에서는 질병의 증상, 예후, 진 ...
[논문 쓰는 법] 표와 그림(tables and figures) 제목 작성 팁
학술 논문에서는 본문 내용을 보충하는 표, 그림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논문작성법 글에서는 표와 그림의 한 요소인 제목(title)을 제작하는 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표와 그림(Tables and figures)에 사용되는 제목 작성 시의 주요 포인트는 아래와 같이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제목 짓는 법 (완결된 문장 vs 완결되지 않은 구) 2. 인쇄를 위한 제목 스타일과 포맷을 결정하는 법 (일반 폰트 vs 볼 ...
학술 논문에서 대문자와 소문자의 사용
학술 논문 작성에 있어서 대문자를 지나치게 많이 사용하는 실수가 그 반대로 대문자가 들어가야 할 곳에 소문자를 쓰는 실수보다 보다 흔히 일어납니다. 대문자 표기는 저자, 편집자가 무척 자주 맞닥뜨리는 실수이며, <New Hart’s Rules 1 >, <Scientific Style and Format 2 >, <AMA Manual of Style 3 >등 많은 스타일 가이드에서 대문자 표기법에 각 한 챕터 씩을 할애하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