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here
검색결과
중앙대 연구진, 새로운 저비용 에너지 수확형 정전소자 개발
왜 고양이 털에 스티로폼 조각이 들러붙는지 궁금했던 적이 있으신가요? 어떤 천은 서로 문지르면 달라붙는 건 왜일까요? 이는 어떤 물질들이 접촉할 때, ‘ 정전기 ’ 로 알려진 전하가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과학자들은 새로운 에너지원에 대해 주목할 때면, 이 ‘ 접촉 전기 ’ 가 유용한 전기 에너지로 전환될 수 있을지 궁금했습니다. 그리고 2012 년, 표면 간의 기계적 접촉을 통해 에너지를 발생시킬 수 있는 장치인 ‘ 정전소자 (TENG, T ...
나에게 적합한 셀프케어 유형은? 연구자를 위한 7가지 셀프케어
"자신을 돌보는 것은 사치가 아니라, 자기 보호이며 정치적 싸움이다."- 오드리 로드, A Burst of Light and Other Essays 중 매일 어떤 방식이든 자신을 돌보는 일은 매우 중요합니다. 지금까지 저희는 셀프케어가 무엇이며, 연구 과정에서 자신감을 갖고 동기부여를 하는 데에 자신을 우선으로 두는 것 이 얼마나 중요한지에 대해 이야기하였습니다. 또한 어떻게 하면 스스로에 대해 더 잘 인지하고, 휴식이 필요하거나 ...
중국 연구진, 코로나19 원인 규명한 논문 발표
작년 12월 초, 중국 후베이성 우한시 지역 수산시장에 다녀온 몇 사람이 병에 걸리기 시작했습니다. 이들은 기침, 열, 호흡 곤란 등과 심지어 급성호흡곤란증후군(ARDS)과 관련된 합병증과 유사한 증상까지 보였습니다. 즉각적인 진단은 폐렴이었으나, 정확한 원인은 알 수 없었습니다. 이 새로운 바이러스의 원인은 무엇인지, 사스 혹은 메르스 바이러스와 유사한 것인지 과학자들은 12월에 처음의 몇 사례를 분석하고, 해당 바이러스의 정체를 확인하기 위한 연구에 ...
연구자를 위한 6가지 셀프케어 앱
학계나 그 주변에 있는 이들은 연구자들이 얼마나 심한 스트레스 환경에 처해 있는지 알고 있습니다. 실패의 경험, 지속적인 집중력, 연구비 지원, 개인적 삶과 연구 사이의 균형 같은 문제들을 늘 마주해야 하며, 스트레스와 불안 으로 밤을 지새우는 날이 많지요. 체계적 지원의 부재 역시 연구자들을 더 어렵게 만듭니다. 특히 이미 우울이나 불안과 같은 정신 건강 문제를 겪고 있는 이들에게는 이러한 문제가 더 심각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셀프케어는 요즘 ...
연구자를 위한 10가지 실험실 안전 규칙
실험실에서의 안전 문제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습니다. 실험실에는 화학적, 생물학적, 물리적, 심지어 방사능까지 포함한 수많은 위험요소를 지니고 있습니다. 따라서 연구자들은 잠재적인 위험 환경에 늘 노출되어 있는 것이지요. 2019년 11월, 네이처지에 실린 다나 머나드와 존 트랜트의 논문 은 실험실 안전에 관한 무서운 장면들을 보여줍니다. 다음은 이 연구의 놀라운 결과들입니다. 과학자 30%가 의료진의 치료를 요하는 심각한 실험실 사고를 목격한 ...
엄마 과학자의 생존기: 내 배는 누가 지켜주나?
임신인 것이 확인이 되었다. 입덧이 시작되었다. 배가 점점 나오기 시작했다. 하지만 나는 실험을 놓지 않고 있었다. 임신을 확인하고, 내가 제일 먼저 한 행동은 회식자리에서 “저 임신했습니다! ”라고 지도 박사님 이하 팀에 오픈하는 것이었다. 보통 임신 초기에는 유산이 되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아기집이 생기고 태아가 자리잡기 전까지는 알리지 않는다고 하지만, 나는 아기집이 보이기도 전 혈액검사만으로 임신을 확인한 뒤 바로 그 사실을 공개했다. 왜? ...
연구 프로젝트 관리를 위한 5가지 필수 팁
연구 프로젝트 펀딩에 성공적으로 지원하고 지원금을 받게 되었다면, 이제 프로젝트 관리를 시작할 시간입니다! 하지만 연구 프로젝트를 처음 관리하신다면, 당면하게 될 문제들에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을 수 있습니다. 프로젝트를 시작하는 것은 여러 측면을 고려해야 하는 일입니다. 이 기사에서는 성공적인 연구 프로젝트 로드맵을 만들 수 있는 5가지 유용한 팁을 드립니다. 업무 공유 위치 설정하기 여러분이 개인 연구실에서 일하든, 다학제적 프로젝트를 이끌고 있든 ...
저는 논문 디펜스에 실패했습니다. 하지만 실패자는 아닙니다
아무도 논문 디펜스에 대한 최악의 시나리오에 대해서 당부해 주지 않았습니다. 그러니까, 실패에 대해서 말입니다. 90분이 넘게 복도 밖에서 심사 결과를 기다린 후에, 저는 실패를 확신하게 되었습니다. 지도교수는 저를 뒤로 불러서는 “다시 해야 할 거야.” 하고 말했습니다. 심사위원들의 말이 잘 들리지도, 정확하게 이해되지도 않았습니다. 이들이 모두 떠나고, 지도교수가 “이건 내 잘못이야...”하고 말했을 때에 탁자를 뚫어져라 쳐다고 보고 있었던 기억은 ...
현장연구 중 유산을 경험했습니다
강도 높은 2주 간의 현장연구 기간 동안, 저는 유산을 경험했습니다. 이 스토리는 그다지 드라마틱한 것도 아니고, 공포스러운 내용도 없습니다. 그저 온 세계의 여성들이 매초마다 겪는 임신 초기의 평범한 결말일 뿐이지요. 저는 이러한 일들이 주변에서 일어나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기 위해 이 글을 쓰고 있습니다. 보통 하지 않는 이야기이지만 말입니다. 그 당시 저는 핀란드의 올랜드 제도에 있었습니다. 애벌레 둥지를 찾아 들판과 초원을 걷고 있었지요. 석사 ...
혼자라고 느껴지나요? 연구자 그룹에 참여해보세요
연구자들의 여정을 어떻게 표현할 수 있을까요? 울툴불퉁한 길 위에서 길고 어두운 터널 속을 홀로 운전하는 것 같은 기분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한 바퀴를 돌 때면 빛이 나타나기를 바라지만, 눈앞에 길고 어두운 또 하나의 커브가 있다는 것만을 확인하게 되지요.어둠과 불확실함, 휘청거림 속에서도 함께 웃으며 서로의 경험을 나눌 누군가를 바란 적이 있지 않으신가요? 6년이 넘는 시간 동안 연구자 그룹과 긴밀하게 일해 오면서 저는 여러분들의 다양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