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here
검색결과
박사후과정 과학자로서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맞추는 법
많은 사람이 박사후과정 연구원으로서의 삶을 살면서 동시에 가정을 꾸리거나 주택을 구매하거나 학자금 대출을 갚는 등의 새로운 개인적인 책무를 맡습니다. 박사후과정 연구직은 일반적으로 미래의 테뉴어 트랙(tenure track) 교수직을 위한 디딤돌입니다. 이 자리는 박사학위 과정의 연장으로 보일 수 있지만, 개인적 책무와 함께 부가된 직업적 책무를 관리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신입 박사후연구원의 경우 자신의 가치를 증명하고 명성을 쌓아야 하는 필요성 ...
연구자가 반드시 피해야 할 네 가지 통계적 오류
통계학은 둘 이상의 변수 간 관계를 가늠하고 연구 질문을 평가하는 데 사용되는 도구입니다. 좀 더 깊이 들어가, 통계학과 확률, 수학, 전산학을 결합한 생물통계학(biostatistics)은 의생명 과학 분야 문제들을 해결하는 데 사용됩니다. 연구자는 생물통계학을 연구에 적용하여 신약의 효과 여부, 질병의 원인 요소, 질병에 걸린 개인의 기대 수명, 인구의 사망률(mortality)과 이환율(morbidity) 등을 분석할 수 있습니다. 통계는 생의 ...
학문적 회복탄력성 개발을 위한 일곱 가지 비밀
누군가에게 끈기와 의지를 가지고 목표를 추구하도록 격려하거나 동기를 부여하기 위해 다양한 상황에서 '회복 탄력성 (resilience)' 이라는 단어가 사용되는 것을 들어보셨을 겁니다. 회복 탄력성은 실패하더라도 역경을 극복하고 다시 일어설 수 있는 능력을 말합니다. 또는 어떤 물질이나 사물이 원래 모양대로 돌아가는 힘을 말하기도 하지요. 그런데 이러한 회복 탄력성이 학술 분야에서도 적용되는 개념이라는 사실을 알고 계셨나요? 학문 ...
젊은 연구 과학자로 살며 얻은 10가지 값진 교훈
제 이름은 Elodie Ekoka 라고 하고, 남아프리카 공화국 위트워터스랜드 대학의 위츠 말라리아 연구 센터에서 일하는 박사 학위생입니다. 오늘 저는 지금까지 저의 박사 학위 여정에서 배운 간단한 인생 교훈들을 몇 가지 공유하고자 합니다. 연구자로서 아직 경력이 많지 않은데도 저의 경험을 공유할 기회를 갖게 되어 영광입니다. 이 기사는 복잡한 학술 세계에서 길을 탐색하며 성공을 위해 애쓰는 모든 젊은 연구자들을 위해 쓰였습니다. 앞으로 알게 되시겠지만 ...
연구비 지원서 거절을 피하기 위한 유용한 팁
다른 일들도 제쳐 둔 채 연구비 지원서 작성에 노력을 들였고, 희망차게 지원서를 제출하였는데 지원서가 거절되었다는 연락을 받았다면 어떨까요? 대단히 실망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연구비 지원서 거절을 피하기 위해서는 강력하고 설득력 있는 연구비 지원서의 요소가 무엇인지 더욱 잘 이해하고 있어야 합니다. 이 기사에서 연구비 지원서 작성에 유용한 팁과 지침들을 알려드리고, 지원서가 거절되는 경우를 대비해 그다음 단계에 대한 조언을 드리고자 합니다. 연 ...
저자 기여도를 파악하기 위해 저널은 Editorial Manager에서 CRediT을 어떻게 활용하고 있을까요?
[이 글은 Wolters-Kluwer의 저자 뉴스레터 Author Resource Review 에 게재된 글을 허가를 받아 재수록한 것입니다. 이 글은 Aries Systems Corporation의 마케팅 전문가인 Jocelyn Koller가 저술하였습니다.] 저자의 연구 기여도는 때로는 출판물에 나타난 저자명 기재 라인의 이름 순서로 확인할 수 있지만, 이러한 방식으로 상대적 기여도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은 어려울 때가 많습니다. Contribut ...
온라인, 오프라인 네트워킹 전략
연구자들은 대체로 같은 분야 내의 다른 연구자들과 함께 촘촘한 공동체를 이루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렇게 단단한 공동체를 뚫고 들어가 관심을 얻어 내는 것은 정말로 부담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이상적인 세계라면, 여러분의 연구 자체만으로도 충분할 것이고 출판한 논문과 인용 지수 등을 통해 저절로 시간이 지나며 인정을 받게 될 것입니다. 하지만 이런 방법으로 인정을 받는 것은 오랜 기다림이 필요한 일이기에 우리는 다양한 채널을 통해 네트워크를 ...
과학을 이야기하자: 연구자는 왜 대중에게 다가가야 하는가?
과학이 거실 대화의 주제가 되는 경우는 드뭅니다. 일반 대중은 과학은 복잡한 주제이고 과학의 이해관계자, 즉 연구자에게 맡기는 것이 최선이라고 믿는 경향이 있습니다. 더욱이 대중은 연구자들을 상아탑에 은둔한 엘리트 무리로 인식합니다. 대중과 연구자 사이의 이러한 의사소통 격차는 결과적으로 과학에 관한 잘못된 의사소통의 증가, 즉 과학 문제에 관한 의견 충돌 및 충분한 정보에 근거한 의사 결정 미비로 이어졌습니다. 몇 달 전 UC San Diego의 유명 ...
내 인생 궤도를 바꾸어 준 나의 멘토들
* 편집 노트: 재키 하월즈(@jackiehowells1) 는 브라운 대학교 병리 생물학 박사과정 학생입니다. 이 글 에서 재키 는 학문의 길을 걷는 동안 만난 훌륭한 멘토들 덕분에 자신의 목표와 가치관이 학문적, 윤리적, 개인적으로 어떻게 변화했는지 이야기합니다. 이 글은 본래 2017 년 6 월 25 일 Jackie 의 블로그 에 게시되었으며 (이곳 에서 볼 수 있습니다) 허가를 받아 이곳에 재게재되었습니다. 시작 지금까지 과학 분야에서 ...
최대한 글을 잘 쓰기 위한 끝없는 도전
저는 1999년 뉴델리 유수의 연구소에서 박사 과정을 시작했습니다. 2000년 연구방법론에 대한 제 논문이 최고점을 받았습니다. 그런데 저는 어째서 제 논문이 10점 만점인지 알 수 없었습니다. 흔한 맞춤법이나 스펠링 실수는 없었을지 몰라도 제가 알고 있는 엄격한 연구방법론에 완벽히 부합하지 않아 10점 만점을 받기에는 많이 부족했기 때문입니다. 제가 속해 있던 박사과정 프로그램의 연구주제도 방법론도 완벽히 이해할 수 없었던 저는 2001년 연구소를 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