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here

Results 111 - 116 of 116

검색결과

Free Content
기사

한국의 코로나19 발표 논문 수는 왜 적은가?- 4명의 연구자 의견

올해 1 월부터 시작된 국내의 코로나 19 발병 이후, 감염병에 대한 한국의 대응은 국내외에서 긍정적인 평가 를 받고 있습니다. 그러나 코로나 19 연구에 관해서는 어떨까요? 팬데믹이 시작된지   거의 1 여 년의   시간이 흐른 지금,  많은 연구자들의 노력 덕분에 전 세계적으로 관련 논문이 쏟아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과학 분야에서 선도적인 연구 성과를 보이며, 코로나19 대응 방역에서도 모범이 된 한국이 코로나19 관련 연구에서는 상대적으로 빈약한 ...

날짜: 2020년 11월 27일
Free Content
기사

[전문가 의견] 피어 리뷰의 신뢰를 높이기 위해 저널이 해야 할 일

순진한 대학원생 시절, 피어 리뷰 과정이 학술 출판에 근본적인 과정이며 출판 원고의 질을 보장하기 위한 단계라고 배웠습니다. 그러나 사실,   피어 리뷰 시스템은 학술 출판의 한   규범으로 자리잡은지 얼마 되지 않은   시기부터 다양한 비난을 받아왔습니다. 1845 년, 한 기사는 피어 리뷰어들을  ' 질투, 증오, 악의, 무자비함으로 가득한 교활한 심판관'이라고 묘사합니다. 1 피어 리뷰의 근본적인 문제는 이 과정이 비밀스러운 블랙 ...

날짜: 2020년 12월 02일
Free Content
기사

피어 리뷰 심사가 준비된 원고 투고를 위한 5가지 팁

“피어 리뷰는 망가졌다”, “과학이 망가졌다”는 원성이 점차 높아지고 있습니다. 코로나 19 팬데믹은 ‘ 인포데믹 (infodemic, 거짓 정보의 범람)’ 현상을 불러일으키며, 이름 있는 저널에서의 논문 철회도 잇따르고 있습니다. 연구자들은 “그렇게 큰 결함이 있는 논문이 피어 리뷰를 통과할 수 있다면 어떤 정보를 믿을 수 있을까? ”, “저런 논문이 피어 리뷰를 통과한다면 내가 출판하려고 애써야 할 이유가 있을까? ”라고 생각할지도 모릅니다. 첫 질 ...

날짜: 2020년 12월 03일
Free Content
기사

석사 논문 발표 준비하는 학생들을 위한 가이드

편집 노트: 이 글은 저자의 블로그  Sue Moon's Blog 에 실렸던 글 을 저자의 허락을 받고 재발행하였습니다. 이번 주 월화 이틀에 걸쳐 석사 논문 심사를 했다. 내 지도학생 2명과 다른 학생들 포함해서 5번. 심사를 하면서 학생들의 슬라이드를 보니 내용에 상관없이 해주고 싶은 말이 많았다. 지도학생들이 슬라이드를 만들어오면 그때부터 잔소리를 했지 어떻게 준비하라고 따로 정리해서 얘기해준 적이 없는 것 같다. 해서 부리나케 적어본다. ...

날짜: 2020년 12월 10일
Free Content
기사

아시아와 서양 연구자들의 업무 스트레스 인식은 어떻게 다를까?

연구 문화는 연구의 우수성을 위한 열쇠입니다. 긍정적인 연구 문화는 연구자들이 더 나은 성과를 내도록 격려하고, 직면하는 어려움에 대해 열린 대화를 가능하게 합니다. 그러나 전 세계적으로 연구 문화는 근본적으로 경쟁적이고, 스트레스가 많으며, 위계적인 경우가 많습니다. 우수한 연구를 위해   오랜 근무 시간과 업무 압력을 당연하게 받아 들이게 되는 일도 흔합니다. 이는 전 세계으로 볼 수 있는 현상이지만, 이 글에서는 아시아의 연구 문화를 좀 더 자세히 ...

날짜: 2020년 12월 11일
Free Content
기사

대학원생 절반, 코로나19로 경제적 어려움 가중

지난 달, 한국연구재단의 ‘청년과학자의 연구 및 학업 관련 애로요인 분석’ 설문 결과 보고서 가 발표되었습니다. 본 연구는 2018년도부터 수행한 설문의 후속 연구로, 올해는 1,899명의 청년과학자와 3,301명의 연구책임자가 응답한 설문을 분석하였습니다. 해당 설문에 따르면, 청년 과학자들이 겪는 가장 큰 어려움은 ‘불확실한 졸업 후 진로’와 ‘경제적 문제의 어려움’으로 나타났습니다. 응답자의 64.9%가 최저 시급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준인 2천만 ...

날짜: 2020년 12월 16일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