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here
검색결과
연구 문제 설정하는 방법
연구 문제를 설정하는 일은 출판 성공과 더불어 연구자로서의 경력 개발에 있어서 가장 처음이자 기본적인 단계입니다. 본인의 호기심을 통해 자연스럽게 연구 문제를 찾게 되는 연구자들도 많지만, 출판에 대한 막대한 부담 때문에 연구 문제 설정에 큰 스트레스를 받는 연구자도 많습니다. 이 후자의 연구자들은 스스로 이 문제의 답을 찾아내야 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다른 사람들에게 물어보기를 망설이는 경우가 많아 더 힘들어집니다. 연구 문제를 ...
최대한 글을 잘 쓰기 위한 끝없는 도전
저는 1999년 뉴델리 유수의 연구소에서 박사 과정을 시작했습니다. 2000년 연구방법론에 대한 제 논문이 최고점을 받았습니다. 그런데 저는 어째서 제 논문이 10점 만점인지 알 수 없었습니다. 흔한 맞춤법이나 스펠링 실수는 없었을지 몰라도 제가 알고 있는 엄격한 연구방법론에 완벽히 부합하지 않아 10점 만점을 받기에는 많이 부족했기 때문입니다. 제가 속해 있던 박사과정 프로그램의 연구주제도 방법론도 완벽히 이해할 수 없었던 저는 2001년 연구소를 그 ...
중국 내 41개 기관이 연구부정행위에 대처하는 공동 서약서 발표
이달 초, 중국 내 41개 기관 및 부처가 중국의 과학 연구의 엄격성을 높이기 위하여 학계와 기관을 위해 연구 부정행위에 대한 표준화된 대응방안을 담은 공동 서약 을 발표했습니다. 이 서약에 의하면 중국 정부는 과학기술 혁신을 위한 정직하고 신뢰성 높은 연구 환경을 만들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 서약에 따르면, 세계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윤리 규정과 표준을 어긴 연구자는 지원금 및 수상 내역 회수 등 다양한 처벌을 받게 됩니다. 또한 연구 부정행위에 관여 ...
전세계 연구자들은 오픈액세스를 어떻게 바라볼까?: 에디티지 글로벌 조사 보고서를 통해 알게 된 것들
10년 전부터 시작된 오픈액세스(OA)는 지속적으로 전세계적 출판환경을 변화시키고 있습니다. 오픈액세스란 그 이름처럼 지금까지 관습적으로 구독의 장벽(paywall)에 가로 막혔던 학술논문의 접근성을 높이고자 하는 시도입니다. 오픈액세스라는 개념이 퍼지기 시작하자 일부 학자들은 이 개념을 굳건히 지지했지만 일부는 오픈액세스와 학술 출판의 지속가능성을 놓고 벌어진 설전에서 회의적인 태도로 임하기도 했습니다. 전세계적으로 오픈액세스를 수용하거나 아예 필수 ...
오늘부터 박사과정을 시작했습니다!
오늘은 아주 중요한 하루였습니다. 제가 박사과정을 시작했거든요! 앞으로 박사과정을 시작할 다른 독자 분을 위해 저의 박사과정 첫날 풍경에 대한 짧은 글을 쓰기로 했습니다. 무엇보다도, ‘모르는 것에 대한 두려움’ 보다 더 괴로운 건 없으니까요! 07:00 AM 중요한 일이 있는 날엔 늘 그렇듯 아침에 일어나니 속이 쓰리고 울렁거렸습니다. 평소처럼 아침 일과를 마친 다음 필요할 것 같은 노트와 전공 서적을 가방에 챙겼습니다. 10:00 AM 학교에 도착했 ...
내가 석사논문을 출판하기로 마음먹은 이유
한 달 전, 저는 석사논문 을 출판했습니다. 이 모든 것을 가능하게, 또 수월하게 해준 ScienceOpen 팀에게 특별한 감사를 전합니다. 논문 출판 과정에 대해서는 다음에 다른 글에서 쓰고자 합니다. 제가 석사논문을 출판하고자 한 이유 중 하나는 출판을 하게 되면 연구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석사논문은 요즘 들어 상대적으로 흔해졌습니다만, 출판을 한다면 구직 활동에서 다른 경쟁자들보다 돋보일 수 있습니다. 또, 직장을 구할 때 인사담당 ...
여러분이 논문에서 사용하는 그래프가 매력적인 스토리를 전달하고 있을까요?
논문을 쓰는 것은 아주 큰 일입니다. 복잡한 개념을 최대한 단순하게 풀어내야 하기 때문입니다. 즉, 연구자들은 여러 모로 훌륭한 이야기꾼이 되어야 합니다. 모든 파트에서 여러분은 논문의 주요 개념 또는 내러티브를 주요 독자들이 이해하기 쉽고, 이에 더해 공감하기 쉬운 방식으로 제시해야 합니다. 특히, 논문에서 그래프를 제시할 때가 그렇습니다. 그래프는 논문의 중요한 요소입니다. 그래프는 복잡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시해 독자들이 연구 결과를 이해할 수 ...
연구 배경 잘 작성하는 법
연구 논문에서 가장 눈에 띄는 것은 연구 결과지만, 연구 배경 역시 그만큼 중요합니다. 연구 배경을 잘 작성하면 연구에 맥락이 생기고 독자들이 논문의 나머지를 읽어나갈 수 있는 촉진제가 됩니다. 그러나 많은 저자들이 논문에서 연구 배경 부분을 쓸 때 어려움을 겪습니다. 또, 연구 배경과 문헌 검토를 혼동하는 저자들도 많습니다. 연구 배경과 문헌 검토는 때로 혼동해서 쓰이지만, 각각의 역할이 분명히 구분됩니다. 그러므로 이 글에서는 연구 배경을 작성하는 ...
학술 커뮤니케이션 업계 동향 – 2018 STM 보고서 하이라이트
Sneha 는 연구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관심이 많아 현재 연구자와 저자를 위한 콘텐츠를 개발하고 디자인하는 일을 하게 되었습니다. 2018 년 한해 동안 약 3 백만 편의 논문이 출판되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콘텐츠 접근성 또한 오늘 자로 기록적인 수치에 다다랐다는 사실은요? 역동적인 학술 커뮤니케이션 업계를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최신 소식과 동향에 뒤처지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학술 출판에 관심이 있고 관련이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Inter ...
구부러지지만 부러지지는 않는다
때는 2008 년, 저는 뉴욕 맨하탄 다운타운 지하철 승강장에서 열차를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열차를 타려고 기다린 것이 아니라 그 앞에 뛰어들기 위해서였습니다. 그 날은 저의 오랜 육체적, 정신적, 금전적, 성적 학대가 이제 끝난다는 확신을 품고 들어갔던 가족 법정에서 패배를 맛보고 지쳐 나온 날이었습니다. 그곳에 서서 지옥을 끝내는 순간을 기다리고 있다가 어느 순간 엄마 없이 자랄 한 소년이 떠올랐습니다. 그리고는 어쩌면, 정말로 어쩌면 인생에 이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