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here

Results 61 - 70 of 74

검색결과

Registered Content
기사

박사후연구원들이 겪는 어려움과 그들의 경력 개발을 위해 멘토가 도울 수 있는 부분

박사후연구원들은 준비 단계에 있는 차세대 연구자들입니다. 그들은 연구실이 순탄하게 돌아갈 수 있게 하는 인력이기도 하지만, 심한 압박에 시달리기도 합니다. 논문이나 연구실 일과는 별개로, 박사후연구원들을 위축되게 하는 또 다른 어려움은 주체적인 연구자로서의 경력 개발일 것입니다. 스스로 연구실을 만들고 지원금을 따내는 것이 새내기로서는 벅차게 느껴질 수밖에 없기에, 박사후연구원이 성공적으로 연구자 경력을 쌓기 위해서는 멘토나 책임연구원의 지원이 있어야 ...

날짜: 2017년 11월 13일
Free Content
기사

학술 출판과 학술 커뮤니케이션: 2017년 10월의 좋은 읽을거리

학술 출판과 학술 커뮤니케이션: 2017 년 10 월의 좋은 읽을거리 2017년 10월은 노벨상 발표와 함께 전 세계 학자의 뜨거운 관심과 논의 속에 시작되었습니다. 10월 하반기도 국제 오픈 액세스 주간 덕분에 그에 못지않게 바쁘게 지나갔습니다. 이렇게 바쁘게 지나는 동안 혹시 중요한 학술 출판에 관한 빠뜨린 소식은 없을까요? 에디티지 인사이트가 있으니 걱정하지 마세요! 이 달에는 통계적 유의도의 임계값을 문제 삼은 학자들서부터 스티븐 호킹의 1966 ...

날짜: 2017년 11월 16일
Free Content
기사

스프링거 네이처, 중국의 검열 요구에 약 1000개의 논문을 중국 웹사이트에서 차단

스프링거 네이처, 중국의 검열 요구에 약 1000 개의 논문을 중국 웹사이트에서 차단 2017년 11월 대형 출판사 스프링거 네이처가 중국 당국이 민감하게 여기는 주제에 관한 약 1000개의 논문을 중국 웹사이트에서 내렸습니다. 이 결정으로 인해 학문적 자유에 관해 많은 토론이 발생하였으며, 여러 학자가 이런 강제적 검열에 난색을 보였습니다. 중국은 대중에 공개되는 뉴스와 정보를 엄격하게 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습니다. 중국 정부의 법규를 준수하기 위 ...

날짜: 2017년 11월 16일
Free Content
기사

훌륭한 문헌 검토(literature review) 작성을 위한 다섯 가지 팁

훌륭한 문헌 검토 (literature review) 작성을 위한 다섯 가지 팁 연구하고 싶은 연구 분야/주제가 정해지고 연구 질문이 만들어졌다면 해당 주제에 대한 문헌 검토가 필요합니다. 문헌 검토는 특정 주제에 관하여 출판된 모든 연구를 비평적으로 요약하는 것입니다. 포괄적인 문헌 검토를 수행하는 것은 연구 및 출판의 필수 단계입니다. 훌륭한 문헌 검토에는 여러 이점 이 있습니다. 최근 Science Careers는 과학자들에게 연구 분야의 최신 문 ...

날짜: 2017년 11월 26일
Free Content
기사

강제적 인용 요청에 효과적으로 대처하는 법

이전 글 에서는 편집자의 강제적 인용 요청과 적절한 인용 요청을 구별하는 법에 관해 설명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편집자로부터 강제적 인용 요청을 받았을 때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알아보겠습니다. 대개의 경우 수정을 위해 논문을 되돌려 받을 때 다른 개선 방안 제안 등과 함께 인용 요청을 받게 됩니다. 검토 중인 논문을 수정하기 위해 편집자로부터 추천을 받았다면 저자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편집자의 한가지 제안에 대해 답변하는 최고의 전략은 편집자의 모든 ...

날짜: 2017년 11월 26일
Free Content
기사

편집자의 강제적 인용(Coercive Citation) 요청을 구분하는 방법

학술계의 부정행위에 대한 논의는 더 이상 몇몇 과학자들 소수만의 비밀스러운 이야기가 아니게 되었습니다. 과학적 무결성에 대한 논평은 지난 10년 동안 유명 신문, 블로그, 공개 토론회 등에서 이루어져 왔으나, 오히려 그동안 과학적 노력의 정직성이 흐려지고 있습니다. 저자는 학문의 사다리를 더 빨리 올라가기 위해 비도덕적 행위에 가담합니다. 대학이 더 자주 출판하는 사람과 주요 기여자로 인정받는 학자, 즉 인용 횟수가 높은 학자들을 우대하기 때문입니다. ...

날짜: 2017년 11월 26일
Free Content
기사

학술 대회에서 논문을 효과적으로 발표하는 8가지 팁

학술 대회에서 논문을 효과적으로 발표하는 8 가지 팁 연구자로 살아가는 데 있어 학술 대회 발표는 중요한 한 부분이며, 많은 젊은 학자들이 고대하는 기회입니다. 하지만 학회 발표가 설레는 경험인 만큼, 많은 연구자에게는 두려운 일이기도 합니다. 경험이 많은 연구자들도 많은 청중 앞에서 발표할 때는 약간 긴장하기 마련인데, 처음으로 학회 발표에 임하는 젊은 연구자로서는 모든 절차 자체가 압도적으로 느껴지는 것이 당연합니다. 효과적인 학회 발표의 핵심은 철 ...

날짜: 2017년 11월 27일
Free Content
기사

박사 논문을 저널 논문으로 전환하는 기본 과정

출판에 대한 압박은 젊은 연구자에게 큰 부담으로 다가옵니다. 박사후연구원으로서 학계에서 신뢰도를 다지기 위해서는 본인의 이름으로 최소한 몇 편의 논문을 출판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데, 대부분의 젊은 학자들에게는 출판용 논문을 쓰는 것도 어려울뿐더러 연구 문제를 생각해내기도 벅찬 것이 현실입니다. 박사를 마치고 최대한 빨리 논문 출판을 시작할 수 있으려면 박사 연구 동안에 수집한 자료를 재검토해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석사 학위 논문과는 다르게, 박사 ...

날짜: 2017년 11월 27일
Free Content
기사

에디티지, ISMTE 2017 유럽 컨퍼런스: 3명의 아시안 저널 편집인 참여 지원

에디티지(Editage)가 영국 런던에서 열리는 국제 책임/기술 편집자 협회(International Society of Managing and Technical Editors, ISMTE) 유럽 회의에 아시아 지역의 학술지 편집인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여행경비를 지원 했습니다. 많은 편집인들이 에디티지 프로그램에 지원했고 그중 한국, 중국 그리고 네팔 학술지 편집인이 선정되었다고 ISMTE 회장 Michael Willis가 발표했습니다.  총 3명의 ...

날짜: 2017년 11월 28일
Registered Content
기사

통계적 유의도와 임상 데이터(Trial data)의 중요도와의 관계: 패러다임의 변화

근거중심의학(evidence-based medicine)에서는 검사자가 관찰 결과를 해석하고 진료 지침을 내리기 위해서는 통계 정보가 아주 중요합니다. 최근 학술계에서는 임상 시험 데이터 해석에 있어 그동안 널리 받아들여지며 자주 실행되는 방법인 P값에 기반한 의사 결정에 대한 지나친 의존을 향한 반대의 목소리가 거세지고 있습니다. 최근 유명 저널들에 실린 여러 편의 논문들이 “통계적 유의도(statistical significance)”라는 대중화된 ...

날짜: 2017년 12월 08일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