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here
검색결과
'두뇌 유출(Brain drain)’에서 ‘두뇌 순환(Brain circulation)으로: 국제 협력연구와 연구자 이동성의 세계 동향
과학연구와 출판의 지형은 빠른 속도로 변하고 있습니다. 과학연구가 세계화됨에 따라 종전처럼 과학의 3대 강대국인 미국, 유럽, 일본이 과학연구의 지형을 장악하던 시절은 끝났습니다. 중국, 싱가포르, 인도, 브라질, 남아프리카, 그리고 중동 국가가 연구개발(R&D) 예산을 늘림에 따라 새로운 과학 강대국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습니다.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서로 보다 가까워진 세계에서 과학자들은 국제적으로 협력하면서 최고의 시설, 최고의 연구팀, 지식 ...
한국의 STM 저널 국제화는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나
연구개발 예산의 지속적인 증가 한국은 총 연구개발(R&D) 예산으로는 세계 5위권에 속하는 국가입니다. 뿐만 아니라 OECD 국가들 중에서는 연구개발 예산의 비중이 가장 높습니다. 2015년 한국 정부는 연구개발에 170억 달러를 투자했습니다. 그 결과, 과학/공학/의학 (STM) 연구는 질적으로도, 양적으로도 빠르게 성장하게 되었습니다. Web of Science에 수록된 한국 논문은 2014년 53,593건에 달해 국가 랭킹 11위를 차지했 ...
저널이 논문을 거절하는 8가지 이유
모든 저자들은 저널에 논문을 제출할 때 한 가지 두려움이 있을 것입니다.- Rejection, 바로 논문 거절입니다. 혹시 논문이 거절되는 이유가 아주 단순한 이유 혹은 저널 제출 시에 아주 잠깐이라도 다시 훑어보면 고칠 수 있는 몇 가지 실수 때문일 수도 있다는 사실을 알고 계신가요? 아래 그림을 통해서 저널이 논문을 거절하는 8가지 이유를 살펴보시고 이를 예방하기 위한 팁도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모든 저자들은 저널에 논문을 제출할 때 한 가지 ...
멋진 신세계: 과학적 진보를 위해 오픈 데이터 의무사용 정책을 받아들이는 국가들
독자분들은 “Open”이라는 단어를 보면 어떤 생각이 떠오르시나요? “ 오픈 사이언스 (Open Science)”또는 “ 오픈 데이터 (Open data)”를 떠올렸다면, 여러분은 오늘날 학술출판계에서 가장 활발히 논의되는 주제 중 하나를 지적한 셈입니다. 몇 년 전 까지만 해도 연구 데이터 공유란 상상조차 할 수 없는 아이디어였습니다. 연구자들은 연구 업적을 도용 당할까 우려했으며, 연구 결과를 출판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하다는 인식이 있었습니다. 하 ...
[논문 쓰는 법] 표와 그림(tables and figures) 제목 작성 팁
학술 논문에서는 본문 내용을 보충하는 표, 그림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논문작성법 글에서는 표와 그림의 한 요소인 제목(title)을 제작하는 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표와 그림(Tables and figures)에 사용되는 제목 작성 시의 주요 포인트는 아래와 같이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제목 짓는 법 (완결된 문장 vs 완결되지 않은 구) 2. 인쇄를 위한 제목 스타일과 포맷을 결정하는 법 (일반 폰트 vs 볼 ...
사례연구: 저널의 저작자 인정(authorship credit)에 오류가 있다면?
사례: 한 저자 (저자 A)가 저널에 논문을 제출했습니다. 논문은 승인되어 저널의 1월호에 출판되었습니다. 저자는 저널의 1월호와 2월호를 무료로 받아 보게 된다는 안내를 받았습니다. 2월호를 받은 저자는 깜짝 놀랐는데, 자신이 쓰지 않은 논문에 저자로 이름이 올라 있었던 것입니다. 저자는 곧바로 저널 편집자에게 연락을 취해 이 논문의 저자는 자신이 아니며 이 논문을 제출한 적이 없다는 사실을 알렸습니다. 편집자는 이번 일은 저널 측의 실수라며 다음 호 ...
그리스 부채 위기: 국가 부채가 연구개발, 의료, 두뇌유출율에 미치는 영향
한동안 경제위기를 겪던 그리스는 국제통화기금(IMF)에 17억 달러의 채무 상환 일정을 이행하지 못함에 따른 정치적, 경제적 파국에 접어들었습니다. 국가가 파산하고, 유로존과 EU를 탈퇴하는 최초의 국가가 될지도 모른다는 두려움 속에서, 연구자들은 그리스의 경제적 위기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될 그리스의 연구개발, 의료 시스템, 그리고 두뇌유출율에 대해 높은 우려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그리스의 연구개발 비용은 지난 몇 년간, 특히 2008년에 시작된 불황 ...
특허 괴물(Patent trolls)은 무엇이며, 과학의 혁신에 어떤 악영향을 줄까?
트롤(troll)은 북유럽 신화에 등장하는 작은 악마로 주로 다리 아래에 살면서 여행자들을 괴롭힌다. 이와 비슷하게 PAE(특허소송기업) 또한 돌이킬 수 없는 투자를 한 기업들을 불시에 습격한다는 비난을 받고 있다. Alain Strowel, “ 미국과 유럽의 특허 트롤의 위험 " “특허 괴물”이 과학의 혁신에 수십 년간 해악을 끼치는 와중, 지적재산권 전문가 51인이 “ 효율적 혁신의 대가(Rewards)는 막대할 것이다 (The Rew ...
연구와 보고의 투명성: 저자와 편집자를 위한 노력 확대
[Transparency in research and reporting: Expanding the effort through new tools for authors and editors] 이 글은 Wolters-Kluwer가 발간하는 저자 뉴스레터 Author Resource Review 를 위해 씌어진 글로, 저자의 허가를 받아 게재합니다. 이 글은 Patricia K. Baskin과 Robert A. Gross가 공동으로 집필했습니다. Dr. G ...
피터힉스(Peter Higgs), 2015년 코플리메달 수상자 선정
코플리 메달 (Copley Medal) 은 세계 최초의 과학상으로, 노벨상보다 170년이나 앞선 1731년 왕립학회(Royal Society) 에 의해 시작된 상입니다. 매년 “ 과학 연구의 뛰어난 업적 ”에 주어지는 코플리 메달은 물리학과 생물학 분야 연구에 교대로 시상하고 있습니다. 올해 코플리 메달의 주인공은 피터 힉스 교수(Peter Higgs) 로, 힉스입자 이론에 있어 선구적인 업적을 남긴 공로로 이 상을 받게 되었습니다. 왕립학회가 웹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