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here
검색결과
하이픈(Hyphen) 종류와 사용시 주의사항
English 하이픈, 엔 대쉬(en dash), 엠 대쉬(em dash) 사용, 많이 헷갈리셨을 겁니다. 이 기사에서는 하이픈에 대해 심층적으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하이픈에는 두 종류가 있습니다. 우연적인 하이픈 과 의도적인 하이픈 이 그것입니다. 우연적인 하이픈은 한 줄의 끝에 위치하여 이 줄의 마지막 단어가 끝나지 않았음을 알릴 때 사용됩니다. 페이지 여백을 조정하여 한 줄의 길이가 길어져 단어 전체가 같은 줄에 들어가게 될 때 이 하이픈은 ...
레퍼런스 바로 쓰기: 정보의 출처로 단행본을 인용할 때
English 학술논문에서 가장 많이 인용되는 출처는 저널을 통해 발표된 다른 논문입니다. 그러나, 특히 인문학 분야에서는 단행본이 그 다음으로 가장 인용이 많이 되고 있습니다. 과학 분야에서도 단행본이 주로 논문의 소재 및 방법론 항목에서 표준 과정과 테크닉에 관한 정보의 출처로 인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글에서는 일반적으로 논문 마지막에 등장하는 참고문헌 목록에 단행본을 넣을 때 지켜야 할 사항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저널 논문을 인용할 때는 ...
논문 본문 내 저자 인용에서 et al. 사용하는 방법
English 연구자가 혼자만의 힘으로 논문을 출판하는 경우는 흔치 않습니다. 한 논문에는 여러 명의 공동 저자들이 있는데, 과학 분야의 협력연구가 증가함에 따라 평균 저자 수 역시 늘고 있습니다. 평균 저자 수가 늘어나는 상황에서 논문을 인용할 때 이름과 연도를 사용하는 하버드 시스템을 따라 한없이 이름을 나열한다면 읽기에 불편함이 따를 것입니다. 따라서 대부분 저널은 ‘그 외’라는 의미를 가진 라틴어 et alii 또는 et aliae 의 축약어인 ...
[과학논문작성] 불릿포인트(bulletpoint) 를 사용한 목록에서 대문자 사용하는 법
학술논문을 작성할 때 불릿포인트(bulletpoint) 를 활용하기도 합니다. 불릿포인트 목록에서 각 항목의 첫 단어가 대문자인지 여부는 항목 앞에 등장한 문장부호에 따라 다릅니다. 보통 대문자는 문장의 시작을 표시하지요. 그런데, 불릿포인트로 작성된 목록에서는 마커(불릿 모양이거나 숫자, 글자), 그리고 공백으로 항목의 시작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그래서 불릿포인트 목록을 구성하는 항목의 대문자 표기 여부가 스타일에 따라 달라지는 것입니다. 대체로 ...
[논문작성] 레퍼런스 바로 쓰기: SNS를 인용할 때
오늘날에는 소셜 미디어(SNS)도 정보의 출처가 될 수 있습니다. SNS를 인용할 때는 다음 세 가지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URL 주소 형식 개인 커뮤니케이션 형식 참고 목록 형식 이 세 가지 인용 방법을 간략히 설명해 보겠습니다. 1. URL: SNS의 특정 컨텐츠가 아니라 SNS 사이트 전체를 가리키는 경우에는 URL을 첨부하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서 트위터의 특정 트윗이나 페이스북의 특정 게시물이 아니라, 트위터나 페이스북을 언급하 ...
의학 논문에서 인명을 딴 질병, 증상, 사물 이름의 대문자 표기
인용과 임팩트 팩터가 중요해지기 이전에는, 과학자들의 업적을 기리는 방법 중 하나는 “보일의 법칙”, “플랑크 상수”, “페트리 접시”, “에를렌마이어 플라스크” 와 같이 그들의 발견이나 발명품에 과학자의 이름을 붙이는 것이었습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며 모든 사람이 알고 있는 사실을 언급할 때 논문에서 별도로 인용 표시를 하지 않는 것과 마찬가지로, 과학자의 업적이 너무 유명해져서 대문자를 탈락시키는 경우가 많고, 이 때문에 과학자와 그가 ...
학술 논문에서 생물의 학명을 표기하는 4가지방법
과학에서 양화(집계 및 측정)는 무척 중요하고 연구와 불가분의 관계를 가지기에, 양적 요소를 나타내기 위한 엄격한 법칙과 관습이 발전해 국제단위계(Le Système International d’Unités: SI)가 만들어졌습니다. 이와 마찬가지로 구체적이고 엄격한 것이 바로 생물의 이름을 나타내는 시스템입니다. 이 시스템은 보통 ‘명명법(nomenclature)’ 이라고 일컬어지며, 그 예로 ‘국제 동물 명명법’, ‘국제 박테리아 명명법’, ‘국제 ...
논문양식, 중요한가?
저널에 투고할 논문 준비를 돕는 일을 일상적으로 하고 있는 학술 교정자인 저는 저널의 가이드라인에 따라 논문 양식을 수정하는 일을 하고 있습니다. 이 가이드라인은 종이 크기와 언어 형식 등 기본적인 지시에서부터 각 항목의 포맷, 데이터의 제시방식, 참고문헌 작성법까지 다양한 사항을 포괄합니다. 포맷 가이드라인은 스펠링, 문장부호, 데이터의 명확한 제시(참고문헌 목록 등) 등의 측면에 일관성을 유지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시카고 스타일 매뉴얼 ...
[논문쓰는법] IMRAD를 기억하자!
논문이 아이디어를 잘 전달하려면 짜임새 있는 구조가 중요합니다. 대부분의 저널에서는 과학논문의 경우 전통적인 포맷인 IMRaD (서론, 자료 및 방법, 결과, 토론) 포맷으로 작성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논문이 연구 내용을 잘 전달할 수 있도록 IMRaD 의 각 항목을 구성하는 방법에 대해 간단히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서론 (Introduction) 서론에서는 연구 대상과 연구 이유를 명확하게 설명해야 합니다. 연구의 맥락을 설정하는 것 ...
유전자, 유전자 생산물의 표기 방식
표기 법칙 중 어떤 것은 단순하고 직설적이지만, 무엇을 다루느냐에 따라 깊은 이해가 필요하기도 합니다. 유전자와 그 생산물이 이런 경우입니다. “종의 학명은 이탤릭체로 쓴다”, 그리고 “유전자 기호는 이탤릭체로 쓴다” 같은 단순한 지시사항도 있는 반면, 유전자의 명칭은 보다 복잡합니다. 이 글에서는 단순한 설명보다는 이렇게 복잡한 사항에 대해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유전자 명칭 표기가 복잡한 까닭 중 하나는, 표기 방식이 생물의 종류에 따라 다르기 때문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