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here

Results 861 - 870 of 895

검색결과

Free Content
기사

언어를 초월하여: 저널이 멀티미디어 초록을 활용하여 연구 영향력을 재정의할 수 있을까요?

오늘날 정보의 공유 방식은 틱톡, 인스타그램 릴스, 유트뷰 쇼츠와 같은 플랫폼에 의해 압도적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정보 제공업체는 정보를 제공하고, 공유하는 방식을 재고하게 합니다. 디지털 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미디어 소비가 증가하면서 청중은 이제 흥미진진하고 쉽게 소화할 만한 콘텐츠를 기대합니다. 이러한 변화는 전통적으로 새로운 연구를 소개하는 텍스트 기반의 초록에 의존해 왔던 학계에 과제를 안겨줍니다. 이러한 기존의 서식은 변화하는 의사소 ...

날짜: 2025년 03월 06일
Free Content
기사

그래픽 초록: 연구 논문의 접근성을 높여주는 기술

연구자님이 아무리 오랫동안 연구 논문을 작성해 왔다 해도, 연구자님의 논문이 전 세계 연구 동료들에게 호소력이 있다고 할지라도, 흥미로운 연구만으로는 독자의 호기심을 끌어내기 충분치 않습니다. 독자의 관심을 효과적으로 유도하고 유지하려면 추가적인 수단이 필요합니다. 그래픽 초록이 대표적이죠.  그래픽 초록 은 연구 논문의 내용을 시각적으로 설명하는 방법입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학자는 서면 논문만으로도 충분하다고 여기므로 그래픽 초록도 활용할 수 있는 ...

날짜: 2025년 03월 20일
Free Content
기사

과학 출판계의 그래픽 초록 트렌드와 제작을 위한 유용한 팁

빠르게 움직이는 과학계를 누구보다 잘 이해하고 체감하고 있는 건 연구자 여러분일 텐데요. 그렇기에 최신 동향을 좇아가는 일이 심리적 부담으로 다가올 수 있습니다. 끊임없이 출판되는 논문을 살펴보며 도움이 될 만한 자료를 찾는 것도 어렵죠. 여기에서 그래픽 초록이 등장합니다. 연구의 핵심 결과를 이해하기 쉬운 서식으로 압축해 주기 때문에 복잡한 연구에 대한 접근성도 높여줄뿐더러 귀중한 시간을 아낄 수 있죠.  새로운 영역으로 여겨졌던 그래픽 초록은 지난 ...

날짜: 2025년 03월 27일
Free Content
기사

“표 2를 보라”, “그림 6 참조” 등의 표현은 피하자.

English 텍스트에 대해 부가적으로 표, 그림을 사용하는 것은 논문에서 일반적입니다. 그림은 언어로는 전달하기 힘든 정보를 담을 수 있으며, 표는 글자보다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제시할 수 있습니다. 논문 독자들은 이 사실을 알고 있습니다. 실제로 독자들은 문서를 빠르게 넘기다가 표나 그림에서 멈춰 문서의 주된 내용을 짐작하기도 합니다. 표, 그림, 부록 등의 부가자료에는 번호를 붙이며, 본문에서 해당하는 위치에서 번호로 지시하게 됩니다. 독자들은 이러 ...

날짜: 2014년 04월 11일
Free Content
기사

라틴어 표기법

English 학술 논문에는 라틴어가 사용되는 경우들이 있습니다. 축약어로서건 (et cetera를 etc. 로, et alii를 et al. 로 줄여쓰는 경우) 풀어 쓰건 (in vitro, in vivo, in situ) 말입니다. 이때, 라틴어는 이탤릭체로 써야 할까요? 자주 묻는 질문이지만, 사실 꼭 정해진 답은 없습니다. 그러나 최근의 경향은 이탤릭체를 쓰지 않는 것입니다. 여러 출판사, 스타일 가이드에서 위와 같은 라틴어구를 쓸 때 이탤릭체를 ...

날짜: 2014년 04월 11일
Free Content
기사

하이픈(Hyphen) 종류와 사용시 주의사항

English 하이픈, 엔 대쉬(en dash), 엠 대쉬(em dash) 사용,  많이 헷갈리셨을 겁니다. 이 기사에서는 하이픈에 대해 심층적으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하이픈에는 두 종류가 있습니다. 우연적인 하이픈 과 의도적인 하이픈 이 그것입니다. 우연적인 하이픈은 한 줄의 끝에 위치하여 이 줄의 마지막 단어가 끝나지 않았음을 알릴 때 사용됩니다. 페이지 여백을 조정하여 한 줄의 길이가 길어져 단어 전체가 같은 줄에 들어가게 될 때 이 하이픈은 ...

날짜: 2014년 04월 11일
Free Content
기사

레퍼런스 바로 쓰기: 정보의 출처로 단행본을 인용할 때

English 학술논문에서 가장 많이 인용되는 출처는 저널을 통해 발표된 다른 논문입니다. 그러나, 특히 인문학 분야에서는 단행본이 그 다음으로 가장 인용이 많이 되고 있습니다. 과학 분야에서도 단행본이 주로 논문의 소재 및 방법론 항목에서 표준 과정과 테크닉에 관한 정보의 출처로 인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글에서는 일반적으로 논문 마지막에 등장하는 참고문헌 목록에 단행본을 넣을 때 지켜야 할 사항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저널 논문을 인용할 때는 ...

날짜: 2014년 06월 26일
Registered Content
기사

논문 본문 내 저자 인용에서 et al. 사용하는 방법

English 연구자가 혼자만의 힘으로 논문을 출판하는 경우는 흔치 않습니다. 한 논문에는 여러 명의 공동 저자들이 있는데, 과학 분야의 협력연구가 증가함에 따라 평균 저자 수 역시 늘고 있습니다. 평균 저자 수가 늘어나는 상황에서 논문을 인용할 때 이름과 연도를 사용하는 하버드 시스템을 따라 한없이 이름을 나열한다면 읽기에 불편함이 따를 것입니다. 따라서 대부분 저널은 ‘그 외’라는 의미를 가진 라틴어 et alii 또는 et aliae 의 축약어인 ...

날짜: 2014년 07월 25일
Free Content
기사

[과학논문작성] 불릿포인트(bulletpoint) 를 사용한 목록에서 대문자 사용하는 법

학술논문을 작성할 때 불릿포인트(bulletpoint) 를 활용하기도 합니다. 불릿포인트 목록에서 각 항목의 첫 단어가 대문자인지 여부는 항목 앞에 등장한 문장부호에 따라 다릅니다. 보통 대문자는 문장의 시작을 표시하지요.  그런데, 불릿포인트로 작성된 목록에서는 마커(불릿 모양이거나 숫자, 글자), 그리고 공백으로 항목의 시작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그래서 불릿포인트 목록을 구성하는 항목의 대문자 표기 여부가 스타일에 따라 달라지는 것입니다. 대체로 ...

날짜: 2014년 08월 18일
Free Content
기사

[논문작성] 레퍼런스 바로 쓰기: SNS를 인용할 때

오늘날에는 소셜 미디어(SNS)도 정보의 출처가 될 수 있습니다. SNS를 인용할 때는 다음 세 가지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URL 주소 형식 개인 커뮤니케이션 형식 참고 목록 형식 이 세 가지 인용 방법을 간략히 설명해 보겠습니다.  1. URL:  SNS의 특정 컨텐츠가 아니라 SNS 사이트 전체를 가리키는 경우에는 URL을 첨부하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서 트위터의 특정 트윗이나 페이스북의 특정 게시물이 아니라, 트위터나 페이스북을 언급하 ...

날짜: 2014년 08월 27일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