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here
검색결과
[연구자를 위한 파워 런치 세션] 국제 저널 편집자와 효과적으로 소통하는 법
연구자 여러분, 안녕하세요. 벌써 올해 반이 지나버렸어요! 올해 초에 세웠던 연구 및 저널 투고 계획은 잘 진행되고 계신가요? 많은 연구자 분들이 아마도 국제 학술지에 원고를 게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계실 거예요. 어떤 분들은 이미 원고를 제출하고 투고 과정 중에 있을지도 모르겠습니다. 국제 저널 투고와 관련하여 혹시 저널 편집자와의 소통 문제를 걱정하신 적이 있으신가요? 편집자와 ‘영어로’ 소통해야 한다는 사실에 불안했던 경험은요? 많은 연구자 분들 ...
IRB 표기 관련 문의
Language Korean 안녕하세요 1. 대부분의 저널들이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논문은 IRB 를 표기하도록 하고 있는데, 무엇에 근거해서 이렇게 표기를 요구하나요? 2. Case report가 아닌 단순한 Images in clinical medicine (Image vignette, Images..) 등의 원고도 IRB를 표기해야 합니까? 답변 부탁드립니다. IRB (Institutional Review Board) 는 즉, 생명윤리심의위원회는 ...
연구의 장벽을 넘는 법: 글과 영감이 흐르게 하세요
이런 상황을 떠올려보세요. 당신은 카페인을 충전하고 연구실에 앉아 있습니다. 또 한 잔의 커피도 책상에 대기 중입니다. 앞에는 노트북이 펼쳐져 있고 방은 티끌 한 점 없이 깨끗합니다. 주변은 차분하고 조용하며 아무런 방해도 없습니다. 논문을 시작하기에 더할 나위 없는 조건이지요. 그런데, 시작할 수가 없습니다. 숱한 생각들로 머릿속이 어지럽습니다.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까? 10 가지 아이디어가 맴돌지만 어느 것 하나 맘에 쏙 들지 않습니다. 결정을 ...
온라인 학술 컨퍼런스 백배 활용하기
코로나19 팬데믹은 우리의 삶 면면에 많은 영향을 미쳤습니다. 일상 뿐 아니라 업무의 많은 부분이 원격작업 또는 재택근무 등 비대면으로 전환되었지요. 학술계에서는 연례행사로 개최되었던 크고 작은 학술 세미나와 컨퍼런스가 취소되거나 온라인으로 전환되었습니다. 전환 초기에는 다소 어수선하게 준비되고 진행되었던 온라인 행사들이, 그간 짧게나마 쌓인 운영 노하우들을 토대로 이제는 좀 더 자리를 잡아가는 모습입니다. 참석자들도 스크린을 통해 연사의 발표를 듣고, ...
박사과정생이 교신저자가 될 수 있나요?
Language Korean 안녕하세요. 사회과학계 박사과정생입니다. 박사과정 중 논문 투고를 하려고 하는데요. 이과쪽 다른 전공 박사과정생과 함께 융합연구를 시도하였구요. 제1저자는 저이고, 제2저자는 다른 박사과정생입니다. 저자가 총 2명이고, 둘다 박사과정생이다보니 교신저자를 지정하기가 애매해서요. (학술지 투고프로그램에서 교신저자를 반드시 지정해야 함) 제1저자인 제가 교신저자가 될 수 있나요? 교신저자의 정의만 놓고 보면, 논문에 대한 책임을 ...
에디티지에서 논문 cross check 이나 유사도 측정 같은 서비스를 제공하는지요?
Language Korean 논문 리비젼중 your manuscript was found to have a high repetition rate with previously published articles. Please rewrite your manuscript to reduce similarity. You are encouraged to have a re-check with one of the following software (Turnitin, C ...
투고 논문의 ‘수정 및 재투고’를 위한 7가지 팁
논문 투고는 농구 골대에 공을 골인시키는 것에 비유됩니다. 골대의 높이와 각도를 조준하여 여러 차례 슈팅 끝에 공이 골인이 되듯이 논문도 한 번의 시도만으로 통과되는 경우는 매우 드물고, 수정 후 재투고하는 사례가 비일비재합니다. 만약 여러분이 학술지에서 제출한 원고가 수정 작업이 필요하다는 리뷰를 받게 되면, 수정 후 재투고를 해야 합니다. 아마도 이 과정에서 많은 연구자들은 좌절감과 실망감을 경험하실지도 모르지만, 전혀 위축될 필요가 없습니 ...
국제 저널 편집자와의 커뮤니케이션 팁에 관한 모든 것 (이메일 및 커버레터 템플릿 포함)
여러분은 마침내 국제 저널에 제출할 영어 논문을 완성하였습니다! 얼마나 기쁜일인가요? 비영어권 연구자로서 영어로 논문 한편을 작성해 내는 것은 정말 쉽지 않을 일이었을 겁니다. 그런데, 사실 우리는 인정해야 합니다. 이는 논문 출판 여정에서 시작에 불과하다는 사실을요 (눈물을 닦고). 논문을 완성하고 제출할 저널을 탐색하고, 제출 후 출판 여부에 관한 결과를 받을 때까지 연구자들은 긴장의 끈을 놓칠 수 없습니다. 모든 과정이 순조롭게 진행된다면 좋겠지만 ...
논문 투고 관련하여 질문 드립니다
Language Korean 안녕하세요 아주 멍청한 실수를 저질렀습니다. 며칠 간 잠도 안 오고 정말 너무너무 걱정이 되어 문의 드립니다. 6월 초에 A 저널에 서브미션을 하였습니다. 며칠 후, A 저널의 시스터 저널로 트랜스퍼 하겠다는 메일이 왔습니다. 저는 승진 등등의 이유 때문에 SCI 실적이 꼭 필요해서 그 오퍼를 거절하였습니다. 그러고나서 A 저널에서 리젝 당한 줄 알았습니다. (8년 전에도 그런 적이 있었거든요) 머리 속에 온통 리젝리젝 생각 ...
내 연구를 번역해야 하는지 결정하는 3가지 방법
오늘날 영어가 전 세계에서 가장 널리 통용되는 언어임을 부인할 수 없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비즈니스, 교육, 의학계 등 전 분야에 걸쳐 사용되며 과학계에서도 학문적 소통을 하고 지식과 의견을 공유하는 데 사용되는 세계적인 공용어로 자리매김하였습니다. “과학의 바벨탑 (Scientific Babel) ”의 저자 마이클 고딘은, 지난 수 세기 동안 역사적, 정치적 배경 속에서 과학자들은 언어의 차이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는데 다양한 언어를 공용어로 사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