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here

연구자를 위한 Q&A 포럼

Error message

신규 이용자의 경우 계정을 생성하여 등록하시거나 이미 계정이 있으신 경우에는 오른쪽 상단의 버튼을 클릭하시어 로그인 해주시기 바랍니다.
에디티지 인사이트에 등록하시고 관심있는
기사를 마이 라이브러리에 담아보세요.

학술 출판에 관한 질문 사항이 있으신가요? 논문 준비부터 저널 투고, 출판 윤리, 학술 최신 트렌드에 관한 질문을 Q&A 포럼에 남겨주세요. 에디티지 학술 전문 팀이 답변해드립니다. 많은 연구자 님들이 내용을 공유할 수 있도록 남겨주신 질문은 에디티지 인사이트 Q&A 포럼에 공개됨을 안내드립니다.

 
 
Free

임팩트팩터(IF)는 연구 영향력을 측정할때 가장 널리 사용되는 지표로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 제 동료들은 인덱스(h-index)를 계산해 보라는 이야기들을 합니다. h-index 계산은 복잡해 보이는데요. h-index와 IF 중 더 영향력 있는 지표는 무엇인가요?

주제 저널출판전략 | [totalcount] | 의견 0
매우 흥미로운 질문입니다. 저널 임팩트 팩터와 h-index는 기본적인 컨셉부터 다릅니다. 임팩트 팩터는 저널의 명성을 측정할 때 사용되고 h-index는 연구자의 영향력을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그러므로 이 두 가지는 비교를 할수 없습니다. 그 이유를 설명드리겠습니다.저널 임팩트 팩터는 2년 동안 해당 저널에 게재된 논문이 인용된 평균입니다. 저널의 명성을 측정하는데 있어서는 신뢰할 수 있는 지표이지만, 이것으로 개별 논문이나 연구자의 영향력을 측정할 수는 없습니다.한편으로 h-index는 연구자가  출판한 논문 수와 그 논문이... 자세히보기
Free

신경의학과 조교수입니다. 지금까지 제 논문의 90%를 임팩트 팩터가 높은 저널 <Stroke>에 게재를 했습니다. 그런데 학과장은 다른 학술지에 논문을 게재하는 것도 고려해 보라고 권합니다. 단 하나의 학술지에 여러 논문을 게재하는 것과 여러 다양한 학술지를 고려해 보는것 중 어떤것이 좋을까요?

주제 | [totalcount] | 의견 0
단일 학술지에 여러 논문을 투고하는 데에는 장단점이 있습니다. 가장 큰 장점이라면 해당 학술지가 다루는 영역, 투고규정, 작성양식을 숙지할 수 있기에 이러한 기본적인 사실들을 이해하기 위해 시간을 들일 필요가 없다는 것입니다.자신의 논문이 해당 학술지가 다루는 영역에 잘 들어맞는다는 사실을 알고 있기에 투고 과정과 피어 리뷰 단계에서 시간을 더욱 효율적으로 쓸 수 있을 것입니다. 또 다른 장점은 한 학술지, 특히 특수한 분야의 학술지에 모든 논문을 게재했다면 이 분야에서 인지도를 얻기가 쉬워진다는 것입니다.  같은 분야의 모든... 자세히보기
Free

제가 주요 기여자로 참여했던 논문을 투고하려고 합니다. 연구 과정에서 제가 속한 랩의 연구원 선배가 문제 해결을 도와주고 또 데이타 분석에도 도움을 주었습니다. 저는 이 논문의 공동필자로 그 선배의 이름을 넣고 싶습니다. 제 지도 교수는 이번 실험에 사용한 세포주를 제공한 협력연구원의 이름을 공동필자로 넣기를 권했는데 이 경우는 확신이 없습니다.

주제 | [totalcount] | 의견 0
논문의 저자가 누구인지를 결정하는 것은 무척 논란이 많은 주제라 선임 연구원들도 언제나 확신할 수는 없습니다.ICMJE(국제 의학 학술지 편집자 위원회)에서는 기여자의 이름을 공동필자로 넣을지 논문의 감사의 말에 넣을지를 결정할 때 도움이 되는 가이드라인을 만들었습니다.이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필자가 갖추고 있어야 할 자격은 다음과 같습니다. ·      논문 구상 및 계획, 데이터 획득, 데이터 분석과 해석 단계에서 본질적인 기여를 했다·      논문에서 지식정보를 담고 있는 주요 부분에 대해 초고를 작성했거나 비평적으로... 자세히보기

Pages